강의: 나의 동양고전독법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의: 나의 동양고전독법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서양의 문화>
<책의 배경>
<오래된 시(時)와 언(言)>
<논어, 인간관계론의 보고>
<맹자의 의>
<장자의 소요>
<묵자의 겸애와 반전 평화>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법가와 천하 통일>
-나의 생각

본문내용

. 이러한 사상에 힘입어 진시황은 중국 천하를 통일하였습니다. 또한 법가 사상은 유교의 도덕론과 결합하여 중국 사회를 2000년 동안 전제 군주제로 이끌어 온 이론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법가의 이론은 인간의 자율적 성향은 고려하지 않은 중앙 집권적 전제 군주 국가가 합법적으로 독재를 행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사회의 현실적 토대를 기준으로 이론을 전개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라 옛 제도를 바꾸어야 하며, 이론은 현실적 실효성을 가져야 한다는 법가의 정신은 아직도 가치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의 생각>
책에서 저자는 마지막으로 우리의 고전 독법은 관계론의 관점에서 고전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담론이었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담론을 통하여 우리가 발견한 가장 중요한 것은 동양적 삶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가치는 ‘인성의 고양’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인성은 이웃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며 그 시대의 아픔을 주입함으로써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좋은 사람은 좋은 사회, 좋은 역사와 함께 만들어지는 것임을 간과하지 않은 것이지요.
제가 책의 내용을 그대로 담은 이유는 이 구절이 관계론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나 싶어서입니다.
책에 나오는 각각의 인물들은 같은 혼란기를 두고서 제각기 다른 해석으로 사상을 펼쳐 나갔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가지는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서로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조화시키는 것이 우리가 이 책을 읽는 의미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는 중간 중간에 나의 경험을 비추어보기도 했다. ‘말없이 실천하고, 자랑하지 말고, 개입하지 말고, 유유하고 자연스럽게 실천해야 한다’ 는 노자의 말은 비록 타인에게 하는 말이기 하였지만 나 자신에게도 해당된다면 과연 나는 ‘나 자신에게 좀 더 관대하고, 여유로워 져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 '옛것을 익혀서 새로운 것을 안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것은 시간을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하는 것은 결코 객관적 실체에 의한 구분일 수가 없고,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란 구절은 과거와 미래를 하나의 통일체로 인식하고 온고(溫故)함으로써 새로운 미래(新)를 지향(知)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읽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인식의 차이인 것입니다. 똑같은 일도 받아들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지요.
나는 어떻게 과거를 받아들이고 또 미래를 위해 적용하고 있는 것일까? 나에게 물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