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을 이용한 마케팅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속담을 이용한 마케팅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발없는 말이 천리간다
②누울자리 봐가며 발 뻗는다
③ 같은 값 이면 다홍치마
④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⑤누이좋고 매부좋다
⑥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⑦ 첫술에 배부르랴
⑧공것이라면 비상이라도 먹는다
⑨백문이 불여일견
⑩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를 앞두고 여러 이름들이 후보작으로 올라왔습니다. 그 중에서 초콜릿폰이란 이름을 제가 고른 셈이지요. 까만 색상에 감성적인 제품의 특징을 그대로 얘기해 버리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의 은유가 더 재미있지 않나요.”
당시 ‘블랙 라벨’이란 이름도 거론됐다. 하지만 한 상무는 ‘한 개 제품의 이름보다는 디자인을 중시한 휴대폰들의 시리즈 이름으로 더 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렸다. 그는 “소비자가 제품을 살 때 성능이나 사양을 따지기보다는 우선 ‘예쁘다’, ‘갖고 싶다’는 느낌을 갖게끔 하자는 생각에서 초콜릿폰이란 이름을 선택했다”고 말한다. 제조자가 아닌 소비자의 입장에서 브랜드명을 정하고 광고를 해야 한다는 그의 예상과 기대는 시장에서 그대로 적중했다.
원래 그는 마케팅 전문가로 꼽힌다. 대우그룹 기획조정실과 P&G, 한국 코카콜라 등의 직장에서 대부분 마케팅 업무를 맡아왔다. 연세대 정외과 81학번인 그는 하지만 미국 MBA 명문인 펜실베니아대 와튼스쿨에서 마케팅이 아닌 파이낸스를 전공했다.
“마케팅을 주로 해왔지만 광고도 재미있게 잘 해볼 수 있다는 욕심에서 과감한 변신을 선택했습니다. 광고 역시 마케팅의 일환이고 서로 통하는 것이니깐요.”NHN의 히트작인 지식검색 마케팅을 이끌며 실력을 발휘한 그는 LG전자의 휴대폰 분야에서도 능력을 드러냈다. 그가 LG전자에 온 후 싸이언의 휴대폰 광고가 달라졌다는 얘기가 나왔다. “예전부터 LG그룹에 대한 이미지가 워낙 좋았다”는 그는 “특히 LG전자의 광고는 나름대로 훌륭하긴 했지만 좀 더 다른 방식으로도 향상시킬 수 있는 틈새가 있어 보였다”고 말한다.지난해 어린 소년이 양떼를 몰고 다니는 ‘조금은 이상한’ 광고 시리즈가 그가 만든 첫 단계 작품들. 당시 ‘생뚱맞다’는 얘기를 들었던 이들 광고는 싸이언의 변신을 예고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초콜릿폰 대박이 터졌고 지금은 차세대 히트폰 1순위로 꼽히는 ‘샤인’으로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LG전자 싸이언 휴대폰의 이미지도 많이 좋아졌다.“질 좋은 제품을 우선 잘 만들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요. 그리고 다양한 것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성능 좋고 디자인이 뛰어나다고 그게 다일까요. 제품들의 우수성과 매력을 잘 표현해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 또 그것을 유행과 패션, 트렌드로 이끌 수 있는 또 하나의 능력들이 더 필요합니다.”
그의 이런 시각과 도전은 휴대폰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를 바꿔 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휴대폰을 종전 성능 전쟁에서 디자인과 광고마케팅 경쟁으로 전환시켰고 현재 LG전자는 업계에서 이런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광고와 브랜드 마케팅 부문의 부속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 저의 역할일 뿐입니다. 전체적이고도 최종적인 결정은 박문화 LG전자 MC사업본부 사장이 하시는 것이겠죠.” 공을 대표이사에게 돌리는 그는 “앞으로 LG전자 싸이언 휴대폰의 성장과 성공을 지켜봐 달라”고 자신했다.
⑩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신세계 백화점의 친절마케팅
31일로 개점 16주년을 맞는 신세계 미아점은 ‘정(情)이 담긴 동네 사랑방’으로 소문이 나 있다. 부지 4,000여평에 6층 건물로 규모는 인근 현대백화점(부지 1만1천여평, 10층 건물)에 비해 왜소하다. 그러나 다른 점포와 달리 최근의 경기불황에도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알짜점포다.신세계 미아점이 이처럼 소비자의 사랑을 받는 이유가 있다. 1988년 문을 열 때부터 고객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 지역 밀착형 마케팅을 폈기 때문이다. 개점 초부터 ‘사랑방 만들기’ 전략으로 층마다 휴게시설을 늘리는 등 ‘친절 마케팅’에 앞장서 왔다.다른 점포와 달리 40~50대 비중이 전체 고객의 60%를 차지하는 것도 미아점의 특징이다.
최근에는 영업을 하지 않는 날에 방문하는 고객에게 음료수를 제공하고 있다. 매일 2~3차례 비행기에서나 볼 수 있는 기내식 왜건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이다.또 고객 노래자랑, 팔씨름 대회, 세발자전거 타기 등 이벤트도 마련하고 있다. 식품을 3만원 이상 구입하면 3~4시간내에 집까지 배달해주기도 한다.백화점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재개발 등 신규 아파트에 쿠폰을 직접 배포하는 ‘발로 뛰는’ 고객마케팅도 개발했다. 새 고객이 오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서 단골 고객을 확보하는 전략이다.미아점 윤수원 점장은 “지역주민이 먼저 매장 구성이 바뀌었다거나 행사 내용을 소개할 정도”라면서 “작은 사랑을 나누는 따뜻한 백화점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한편 신세계 백화점부문 석강 대표는 최근 “40대 중년 고객이 많은 미아점은 올말 마담풍의 캐릭터 백화점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석대표는 “타사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경쟁력이 있는 만큼 신세계에서 가장 유능한 직원을 배치하고 있다”면서 “고객에 대한 감사의 마음과 직원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내기 위해 한달에 한번은 꼭 미아점을 방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으로 속담을 이용한 마케팅사례 10가지를 정리해 보았다. 위의 마케팅사례들은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업종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어떻게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느냐 하는 것은 정도가 없는 것 같다. 각자 무궁무진한 방법으로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고 얼마나 더 크리에이티브하고 공감할 수 있냐에 따라서 마케팅이 성공할 수 있는 것 같다. 마케터라는 것이 쉬운 직업이 아니다 라는 것을 알았고 앞으로 새로운 마케팅에 대해 더욱 더 깊게 생각을 해봐야겠다.
참고문헌
-http://cafe.naver.com/temprano/38
-한겨레 21 칼럼 2007년01월25일 제645호
-http://blog.naver.com/che2005/80003969102
-http://blog.naver.com/remember0701?Redirect=Log&logNo=130017344314
-뉴마케팅 P429-431: 권기대
-뉴마케팅 P519-522: 권기대
-http://www.buyking.com/news/2004/04/news200404091624211
-http://tong.nate.com/moonfall7700/34310078
-주간한국 2006/12/04
-경향신문 2004년 08월 30일

키워드

속담,   마케팅,   사례,   경영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