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기획의 이론과 실제>기획서 마케팅전략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콘텐츠기획의 이론과 실제>기획서 마케팅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획 의도

2. 컨셉 설정

3.장르 선택

4. 유사콘텐츠 분석
4-1. 건국신화를 모티브로 한 영화
4-2. 한국 SF 영화

5. 기획포인트 (차별성 및 컨텐츠 강점)
5-1. 단군 신화의 모티브 차용과 그에 대한 새로운 시각
5-2. 서사구조의 강화
5-3 마케팅의 차별성

6. 시놉시스(배경/ 캐릭터/ 전체줄거리)

7. 서사구조 분석
7-1프로프의 31가지 기능
7-2 의미생성 모델

8. 캐스팅 및 간단한 마케팅 전략
8-1. 배우 및 스텝 캐스팅
8-2. 개략적인 마케팅 전략
8-3 메인 카피

9. 참고 문헌
* 붙임 자료
1. 단군신화에 대한 자료조사

본문내용

전체 분석, 한국 SF에서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한국의 SF영화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장르이다. 하지만 우리가 크게 인식하지 못한 이유는 대부분 이렇다 할 흥행을 이룬 작품이 없기 때문인 것 같다. 한국 SF의 대표적인 실패 원인은 어디서 따온 듯한 화면과 탄탄하지 못한 서사구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서사구조는 관객들로 하여금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 아니면 할리우드 영화의 짜깁기 같다는 반응을 얻었다. 영화의 가장 중요한 것은 서사구조이다.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보여주는 매트릭스가 가지는 서사구조를 생각해 봤을 때 SF라는 것이 단순히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화려한 화면 보여주기에만 중점을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측면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지구를 지켜라>처럼 높이 평가되는 영화조차 흥행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은 비단 우리나라 SF영화의 실패가 질적 문제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 SF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편견과 이에 따른 배급사나 극장 주들의 문제도 한 몫 한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면서 또 하나 생각해 봐야 할 것은 관객보다 먼저 설득되어야 할 배급사나 극장 주들을 설득하지 못한 영화 자체나 그 외에 마케팅적 요소들이다. <지구를 지켜라>의 포스터가 나타낸 코믹적 요소가 관객들의 기대와 반응을 엇갈리게 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문제가 어떤 것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기획포인트(차별성 및 콘텐츠 강점)
5-1. 한국 건국 신화인 단군 신화의 모티브 차용과 그에 대한 새로운 시각
이 영화는 우리나라 건국 신화인 ‘단군신화’에서 모티브를 차용하여, 단순한 재현이 아닌 단군신화의 재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너무나도 당연하다고 생각해오던 단군신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우리나라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 한국 건국 신화의 변형
우리는 이 기본 틀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간, 즉 신 인류를 만들어내는 한 과학자와 사이보그의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인간이 되고 싶어한 곰의 모티브를 현대적 코드로 풀어 내기 위해 인간이 되고 싶어 하는 사이보그의 이미지가 차용되었다.

키워드

한국,   컨셉,   유사콘텐츠,   문화,   기획,   이론,   레포트,   단군신화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13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