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수업에서의 열린교육 방법의 적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수업에서의 열린교육 방법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열린교육의 배경

Ⅱ. 열린교육의 의의와 그 발전 방향

Ⅲ. 열린교육에서의 수업모형 탐색

Ⅳ. 한국 열린교육의 효과성 평가

Ⅴ. 사회과 열린 수업의 방향

본문내용

더라도) 좋은 효과가 나왔을 것이라는 짐작도 할 수 있다. 만일 그렇다면 한국에서의 열린교육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데 의문이 가게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는 어디까지나 가능성을 추정해보는 것이지 실제로 검증된 사실은 아니다. 위의 다섯가지 중에 몇가진가는 맞고 나머지는 틀릴 수도 있고 또 다른 이유들이 나올 수도 있다. 또한 학교에 따라서 위의 이유중 몇가지가 해당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앞으로 한국에서 열린교육의 효과에 대해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중장기 계획에 의한 종단적 연구나 열린 교육방식과 열린 교육시설을 구분한 연구, 열린교육과 일반교육의 구분 준거 마련, 그 구분이 아닌 열린정도'를 가지고 접근하는 연구들이 후속되어져야 할것이고 그렇게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열린교육이 튼튼한 바탕위에서 토착화되고 더욱 활기차게 장구한 발전을 이룩해 나갈수 있을것이다.
Ⅴ. 社會科 열린授業의 方向
단 계
수업의 순서
중심 활동
관련자료
문제파악
0.공부할 문제의 설정
(러그미팅)
0. 동기유발
0. 공부할 문제 설정(택일)
ㅇ차시학습 회상
ㅇ교과서의 공부할 문제 분석
ㅇ예습적과제 검토
ㅇ관련자료 분석
0. 공부할 문제 정리
문제파악 자 료
계획수립
0. 공부할 문제 해결 방법 수립
0. 공부할 문제 해결 방법 찾기
ㅇ 공부할 문제의 분석
ㅇ 공부할 문제 해결 순서 찾기
ㅇ 공부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료 찾기
예상수립 자 료
정보수집 및
처 리
0.정보 수집 및 분석, 종합
0 공부할 문제 해결
0. 공부할 문제 해결 방법 찾기
0. 문제해결
ㅇ개인학습->소집단학습-> 전체 학습
ㅇ다양한 방법의 적용
(역할 놀이, 문헌조사, 견학보고학습 등)
0. 자료의 분석 종합
증거제시 자 료
결과정리
0. 결과 정리하기
0. 예습적 과제 제시
0. 공부할 문제와 종합하여 결과정리하기
0. 예습적 과제 제시
결론도출 자 료
참고문헌
고영희, 수업기술, 서울 : 교육과학사, 1973.
권낙원 편역.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현대교육, 1995.
김성식, "개방교육 교수방법의 적용과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김순택, 수업모형, 서울 : 배영사, 1977.
김은우, 실존주의 교육철학 교육의 철학적 이해,서울:배영사.1971
김정환, 교육철학, 서울:박영사, 1987.
김종석 외 편역,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성원사, 1992.
김현재, 피아제이론과 임상법실제, 서울 : 배영사, 교육신서, 1981.
김현재, 현대초등과학교육론, 서울 : 전파과학사, 1984.
김현재, 임상적 사고진단기술, 서울 : 전파과학사, 1988.
김현재, piaget이론의 열린교육적 조명, 피아제열린교실연구응용학회지, 열린교실연구, 창간호, 1993
김현재, 열린교육의 이론적 고찰, 교원연수교재, 인천직할시 교육과학연구원, 제28집, 1993. PP.5~43.
김현재, 열린교실에서의 비형식적 교육, 인천 : 참글사, 1993.
김호권, 완전학습의 원리, 서울 : 배영사, 1970, PP.141~147.
김호권, 현대학습이론, 교육과학신서, 서울 : 교육출판사, 1974.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 위원회. "섹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제 2차 보고 서. 1995.
박성익, 수업방법탐구, 서울 : 과학교육사, 1987.
송용의, 김용국, 신현국 공역,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형설출판, 1993.
신옥순 외 역, 「개방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93.
오천석(1983), 교육철학 신간, 서울:교육과학사
유안진, 중학교 영어 수업과정모형, 한국교육개발원 4권 1호, 1977.
윤기옥 외 공역, 수업기술, 서울 : 형설출판사, 1987.
은용기 외, 「열린학교 열린교육」,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이대균, "일본의오픈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논총」제3집,서울교육대학 초등교육연구소, 1991.이용숙, "한국교육의 종합이해와 미래구상(Ⅲ)"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1992.
이승익, 현대교수·학습지도법, 청주 : 백합출판사 1973.
이은규, 열린교실의 준거에 관한 고찰, 피아제열린교실연구응용학회지, 열린교실연구, 창간호, 1993.
이은희, 교육철학 개론, 서울:교육과학사, 1983
이현남 외 역, 「개방적 교육」, 교육과학사, 1987.
이홍우, 인지학습의 이론, 서울 : 교육출판사, 1973, PP.323 ~ 334.임선희, 열린교육에서의 학습개념, 제1회 열린교육 연구발표회 자료집, 한국열린교육연구회, 1992.
장상호, 학습의 인간화, 서울:교육과학사, 1990.
정태범. 교육행정학. 서울: 정민사, 1994.
진위교, 홍성재, 교수·학습의 과정 ─ 학습지도 ─ 서울 : 교육출판사, 1973.
최희선, 김문수, 한상진외 1인. 선진국의 교육관리 및 교육과정 편 제 운영체제, 서울: 성화사, 1991.
한국열린교육연구회 한국초등학회 편 열린교육의 이해. 서울: 양서 원, 1994.
해평초등학교 "열린 공부방 운영을 통한 자기학습력 신장", 경북교 육청지정 시범학교 운영보고서, 1993. 「열린교육의 길잡이」 운영보고서 부록, 1993.
홍성윤, 김유미 공역,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기본, 서울 : 교육과학 사, 1993.
Bank, A. Henerson, M.E. Eu, L., A practical Guide to program planning - A teaching Models Approach, New York :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81.
박성익,권락원 편역, 수업모형의 적용기술, 서울 : 성원사, 1989.
Brinton, C. (1963), The Shaping of Mordern Thought, 최명관 역 (1979), 현대사상의 형성, 서울: 을유문화사.
Fromm,E.(1982),Humanism,사계절번역실역,휴매니즘, 서울 : 사계절.
Patterson, C. H. (1973), Humanistic Education, 장상호 역(1983), 인간주의 교육, 서울:박영사.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7.06.1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