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꼭두각시 놀음의 유래
2. 등장인물
3. 꼭두각시 놀음의 내용
4. 무대
5. 악사, 악기, 악곡
6. 춤사위
7. 인형과 소도구
8. 인형조종자 - 연희자(演戱者)
9. 연희 시간
10. 재담
11. 주제 및 시대상
12. 전 승
13. 연희 각본
14. 꼭두각시 놀음의 공연 모습
Ⅲ. 결론
Ⅱ. 본론
1. 꼭두각시 놀음의 유래
2. 등장인물
3. 꼭두각시 놀음의 내용
4. 무대
5. 악사, 악기, 악곡
6. 춤사위
7. 인형과 소도구
8. 인형조종자 - 연희자(演戱者)
9. 연희 시간
10. 재담
11. 주제 및 시대상
12. 전 승
13. 연희 각본
14. 꼭두각시 놀음의 공연 모습
Ⅲ. 결론
본문내용
때문이라고 하여,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풍자를 볼 수 있다.)
제5막 '표생원'으로서, 본부인을 찾으려다 실패한 표생원이 첩을 데리고 등장한다. 거기서 표생원이 오랫동안 헤어져 있던 본처 꼭두각시를 만나는데, 그들 사이에는 삼각관계가 생기고 본처는 재산의 분배를 강요하기에 이른다. 첩인 돌머리집을 상면시키자 싸움이 벌어지고, 박첨지는 살림을 나누어준다면서 첩에게만 후하게 나누어주자 꼭두각시는 금강산으로 중이 되러 가겠다고 퇴장함. (일부처첩제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모순과 서민층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제6막 '매사냥'으로서, 평안감사가 새로 부임해오자 마자 매사냥을 하겠다며 포수와 사냥하는 매를 대령하도록 한다. (지배계급의 횡포와 그에 대한 풍자를 보여준다.)
제7막 '평안감사 상여'로서, 평안감사가 모친상을 당해 상여가 나가는데 상제는 오히려 좋아하며, 상여가 나가는 도중 상두꾼 한 사람이 발병이 나자 발가벗은 홍동지가 불려와서 상여를 멘다. (지배계급에 대한 신랄한 풍자와 조롱을 보여준다.)
제8막 '건사(建寺)'로서, 박첨지가 나와 장례 후 명당에 절을 짓겠다고 알리면 중 2명이 나와 조립식 법당을 짓고는 다시 헐어버린다. (절을 짓는 것은 주인공의 종교에의 귀의로 해석할 수 있으며, 마지막에 다시 절을 허는 것은 토속사상과 외래종교인 불교와의 상극이라는 해석으로, 또는 종교마저 뛰어넘는 주인공의 초월사상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2) 핵심정리
▶ 갈래 : 전통극 중 인형극
▶ 성격 : 희극적, 골계적, 풍자적, 익살적
▶ 제재 : 가족 제도의 모순
▶ 문체 : 대화체
▶ 주제 : 일부다처제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모순 풍자
▶ 의의 : 전통극 중 유일한 인형극
3) 이해와 감상
우리 나라 전통극은 가면극과 인형극으로 대별되는데, 꼭두각시놀음은 유일한 인형극이다. 서구의 연극과 달리, 막과 막 사이에 줄거리상 연관이 없이 독자적인 내용을 가지는 것이 특색이다. 또한, 무대 밖의 악사나 관중이 무대 안의 인물들과 수시로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여 거리를 없애고 있다. 여기에 실린 작품은 전체 8막 중, 제5막 '표 생원'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표생원이 오랫동안 헤어져 있던 본처 꼭두각시를 만나는데 첩인 돌모리집을 상면시키자 싸움이 벌어지고, 박 첨지는 살림을 나누어 준다면서 첩에게만 후하게 나누어 주자, 꼭두각시는 금강산으로 중이 되러 가겠다고 퇴장하는 장면이다. 이 작품 역시 서민들 사이에서 연희되어 왔던 관계로 비속하고 해학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어 있어, 우리 나라 전통 인형극의 특징인 골계미를 엿볼 수 있으며, 또한 주제면에서도 일부 처첩제(一夫妻妾制)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 제도라는 사회적 모순에 대해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 전통 인형극이나 탈춤에서는 주로 대사의 적나라한 표현과 일상성에 의해 등장 인물을 희화화(戱畵化)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넓은 의미의 해학 혹은 골계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14. 꼭두각시 놀음의 공연 모습(사진자료)
Ⅲ. 결론
지금까지 옛날부터 전래되어 오는 민속 오락의 하나로서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에 대하여 그 전모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로서 이 두 놀음에 대한 특징 중 주요한 다음 몇 가지를 요약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꼭두각시 놀음의 특징으로서, 첫째로, 현재 한국 인형극은 ‘꼭두각시 놀음’ 하나가 인형극으로서 잔재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이 극에 반영되는 종교적 사상은 무격적, 불교, 유교 등 각종 종교에 걸쳐 있으며, 따라서 그 발달 면모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 꼭두각시 놀음이 고전극의 한 종류이면서도 색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는 것은, 박첨지의 일대기억 성격을 묘사한다는 점이다. 즉, 박첨지 일가의 파탄과 구원이라는 줄거리를 일괄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점이 특색이다. 넷째로, 꼭두각시 놀음은 당시의 시대생활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로, 등장인물이 인형이라는 특수한 조건이 있으나 역시 가장한 배우에 해당되며, 첨예한 갈등을 집약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대화와 몸짓, 춤사위, 노래 등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그것이 관중들 앞에서 다른 민간전승에 의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공연된다는 점에서 민속극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삶의 덧없음과 함께 양반의 횡포, 파계승, 처첩제도 등의 소재들을 가지고 시대 상황을 상징적으로 묘사한 내용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격조 높은 인형극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남사당패 놀음의 특징으로서는 남사당이 서민들로부터는 환영을 받았지만 지배층으로부터는 심한 혐오와 수모의 대상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남사당이 지배층으로부터의 멸시 속에서도 유지될 수 있었던 요인은 서민들의 입장을 잘 대변해주고 활력소를 불어넣었다는 점에 그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이 오늘날 전래되어 오고는 있지만 그것은 매우 극소수이며 거의 사라질 상태에 놓여 있다. 새 문명이 한국에 들어오자 민중은 점차로 새로운 것을 요구하게 되었고 그러므로 인해 이러한 옛것의 놀음들은 자연히 도태되고 만 것이다. 그러나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은 민족유산의 하나로써 큰 의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따라서 그것을 보존해야 하는 문제는 당연하다. 오늘날 한국에 있어서도 이러한 놀음들이 되살아나려면 꼭두각시와 남사당패 놀음이 오늘날의 시대적인 요구를 만족할만한 것으로 새롭게 발전시키고 거듭나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심우성, 『남사당놀이』(동문선. 2005)
심우성, 『남사당패연구』(동문선. 2004)
서연호, 『꼭두각시놀이』(열화당. 2002)
최상수, 『한국 인형극의 연구』(성문각. 2004)
심우성 외, 『한국의 민속극』(창작과 비평사. 2005)
임재해, 『꼭두각시 놀음의 이해』(한국한술정보. 2002)
서연호, 『꼭두각시 놀음의 역사와 원리』(연극과 인간. 2001)
박옥수닷컴, www.parkoksoo.com
고공닷컴, http://www.gogong.com
포비사랑 국어사랑, http://munsu.new21.org
서울육백년사, http://seoul600.visitseoul.net/index.html
제5막 '표생원'으로서, 본부인을 찾으려다 실패한 표생원이 첩을 데리고 등장한다. 거기서 표생원이 오랫동안 헤어져 있던 본처 꼭두각시를 만나는데, 그들 사이에는 삼각관계가 생기고 본처는 재산의 분배를 강요하기에 이른다. 첩인 돌머리집을 상면시키자 싸움이 벌어지고, 박첨지는 살림을 나누어준다면서 첩에게만 후하게 나누어주자 꼭두각시는 금강산으로 중이 되러 가겠다고 퇴장함. (일부처첩제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모순과 서민층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제6막 '매사냥'으로서, 평안감사가 새로 부임해오자 마자 매사냥을 하겠다며 포수와 사냥하는 매를 대령하도록 한다. (지배계급의 횡포와 그에 대한 풍자를 보여준다.)
제7막 '평안감사 상여'로서, 평안감사가 모친상을 당해 상여가 나가는데 상제는 오히려 좋아하며, 상여가 나가는 도중 상두꾼 한 사람이 발병이 나자 발가벗은 홍동지가 불려와서 상여를 멘다. (지배계급에 대한 신랄한 풍자와 조롱을 보여준다.)
제8막 '건사(建寺)'로서, 박첨지가 나와 장례 후 명당에 절을 짓겠다고 알리면 중 2명이 나와 조립식 법당을 짓고는 다시 헐어버린다. (절을 짓는 것은 주인공의 종교에의 귀의로 해석할 수 있으며, 마지막에 다시 절을 허는 것은 토속사상과 외래종교인 불교와의 상극이라는 해석으로, 또는 종교마저 뛰어넘는 주인공의 초월사상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2) 핵심정리
▶ 갈래 : 전통극 중 인형극
▶ 성격 : 희극적, 골계적, 풍자적, 익살적
▶ 제재 : 가족 제도의 모순
▶ 문체 : 대화체
▶ 주제 : 일부다처제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모순 풍자
▶ 의의 : 전통극 중 유일한 인형극
3) 이해와 감상
우리 나라 전통극은 가면극과 인형극으로 대별되는데, 꼭두각시놀음은 유일한 인형극이다. 서구의 연극과 달리, 막과 막 사이에 줄거리상 연관이 없이 독자적인 내용을 가지는 것이 특색이다. 또한, 무대 밖의 악사나 관중이 무대 안의 인물들과 수시로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여 거리를 없애고 있다. 여기에 실린 작품은 전체 8막 중, 제5막 '표 생원'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표생원이 오랫동안 헤어져 있던 본처 꼭두각시를 만나는데 첩인 돌모리집을 상면시키자 싸움이 벌어지고, 박 첨지는 살림을 나누어 준다면서 첩에게만 후하게 나누어 주자, 꼭두각시는 금강산으로 중이 되러 가겠다고 퇴장하는 장면이다. 이 작품 역시 서민들 사이에서 연희되어 왔던 관계로 비속하고 해학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어 있어, 우리 나라 전통 인형극의 특징인 골계미를 엿볼 수 있으며, 또한 주제면에서도 일부 처첩제(一夫妻妾制)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 제도라는 사회적 모순에 대해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 전통 인형극이나 탈춤에서는 주로 대사의 적나라한 표현과 일상성에 의해 등장 인물을 희화화(戱畵化)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넓은 의미의 해학 혹은 골계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14. 꼭두각시 놀음의 공연 모습(사진자료)
Ⅲ. 결론
지금까지 옛날부터 전래되어 오는 민속 오락의 하나로서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에 대하여 그 전모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로서 이 두 놀음에 대한 특징 중 주요한 다음 몇 가지를 요약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꼭두각시 놀음의 특징으로서, 첫째로, 현재 한국 인형극은 ‘꼭두각시 놀음’ 하나가 인형극으로서 잔재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이 극에 반영되는 종교적 사상은 무격적, 불교, 유교 등 각종 종교에 걸쳐 있으며, 따라서 그 발달 면모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 꼭두각시 놀음이 고전극의 한 종류이면서도 색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는 것은, 박첨지의 일대기억 성격을 묘사한다는 점이다. 즉, 박첨지 일가의 파탄과 구원이라는 줄거리를 일괄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점이 특색이다. 넷째로, 꼭두각시 놀음은 당시의 시대생활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로, 등장인물이 인형이라는 특수한 조건이 있으나 역시 가장한 배우에 해당되며, 첨예한 갈등을 집약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대화와 몸짓, 춤사위, 노래 등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그것이 관중들 앞에서 다른 민간전승에 의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공연된다는 점에서 민속극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삶의 덧없음과 함께 양반의 횡포, 파계승, 처첩제도 등의 소재들을 가지고 시대 상황을 상징적으로 묘사한 내용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격조 높은 인형극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남사당패 놀음의 특징으로서는 남사당이 서민들로부터는 환영을 받았지만 지배층으로부터는 심한 혐오와 수모의 대상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남사당이 지배층으로부터의 멸시 속에서도 유지될 수 있었던 요인은 서민들의 입장을 잘 대변해주고 활력소를 불어넣었다는 점에 그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이 오늘날 전래되어 오고는 있지만 그것은 매우 극소수이며 거의 사라질 상태에 놓여 있다. 새 문명이 한국에 들어오자 민중은 점차로 새로운 것을 요구하게 되었고 그러므로 인해 이러한 옛것의 놀음들은 자연히 도태되고 만 것이다. 그러나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은 민족유산의 하나로써 큰 의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따라서 그것을 보존해야 하는 문제는 당연하다. 오늘날 한국에 있어서도 이러한 놀음들이 되살아나려면 꼭두각시와 남사당패 놀음이 오늘날의 시대적인 요구를 만족할만한 것으로 새롭게 발전시키고 거듭나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심우성, 『남사당놀이』(동문선. 2005)
심우성, 『남사당패연구』(동문선. 2004)
서연호, 『꼭두각시놀이』(열화당. 2002)
최상수, 『한국 인형극의 연구』(성문각. 2004)
심우성 외, 『한국의 민속극』(창작과 비평사. 2005)
임재해, 『꼭두각시 놀음의 이해』(한국한술정보. 2002)
서연호, 『꼭두각시 놀음의 역사와 원리』(연극과 인간. 2001)
박옥수닷컴, www.parkoksoo.com
고공닷컴, http://www.gogong.com
포비사랑 국어사랑, http://munsu.new21.org
서울육백년사, http://seoul600.visitseoul.net/index.html
추천자료
세대별, 그들만의 문화, 문화, 문화의 종류, 반문화, 시대별 문화 코드, 시대별문화, 세대 차...
[영국문화][영국의 문화][영국 축제문화][영국 정치문화][영국 음주문화][영국 차문화][축제]...
[제주도문화][제주도 의식주][제주도 의복문화][제주도 음식문화][제주도 주거문화][제주도 ...
[대중문화][한국대중문화][문화][미디어][매스미디어][대중매체][한국문화][대중]대중문화의 ...
[문화산업][국내외 문화산업 동향][문화산업 성공 사례]문화산업 개념, 문화산업 특성, 문화...
[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
[한국의 문화] 한국의 음식문화와 기업문화, 음주문화, 민족문화에 대하여
[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에 대한 정의와 이해, 문화마케팅의 효과와 필요성, 문화마케팅 성공...
[문화교육][언어문화교육][시각문화교육][전통문화교육][통일문화교육][언어문화][시각문화][...
[다문화교육론 공통] 교육기관에서 진행된 교육프로그램이나 매체활용 강의를 선정하여 다문...
[문화관광축제][문화관광][관광][관광축제][축제][지원사업]문화관광축제의 의의, 문화관광축...
[문화유산, 문화유산 종류, 문화유산 보존, 문화유산 정보조직, 문화유산 관광자원화]문화유...
[일본문화][일본음식문화]일본문화와 일본음식문화, 일본식생활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쌀문화,...
복합문화공간 :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분석 ;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