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Ⅱ.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차이점
Ⅲ.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Ⅱ.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차이점
Ⅲ.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므로 김부식은 자연의 변화와 인간의 활동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역사 내용을 추출시켰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왕의 정치행위가 전개된다는 사실이다. 또한 묘청일판의 패배나, 권훤 궁예의 멸망을 통일에 대한 분열의 응징으로 설명하여 역사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게다가 이 책은 강렬한 국가의식과 자아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종래 삼국사기의 사대성에 대한 반론으로서 우리나라 현실과 독자성을 강조한 김부식의 사론에서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삼국을 하나의 완성된 국가로 보았으며, 왕을 절대적 지배자로 파악하였다. 말하자면 1세기부터 삼국이 국가로 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으므로,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을 역사적 전환점으로 보지 않았으며, 역사변천을 발전사관으로 파악하여 신라, 고려의 교체를 당위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삼국사기는 개인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것은 단순한 영웅주의 사관이 아니라, 고대에 있어서 개인의 역할을 강조함은 물론 멸사봉공의 공적인 윤리를 제공함으로써 국가와 민족에 희생하는 인간의 도리를 중시하려는 목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Ⅲ.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소론, 권영호, 2001
2. 삼국사기, 金完鎭, 1987
3. 三國遺事 所載 說話의 史料的 가치, 金杜珍, 2001
4. 13세기 고려 불교계의 경향과 삼국유사, 하정현, 종교와 문화, 2002
5. 한국민족문화사전 http://www.koreandb.net/dictionaries/
6. 디지털 한국학 http://www.koreandb.net/Sam/
게다가 이 책은 강렬한 국가의식과 자아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종래 삼국사기의 사대성에 대한 반론으로서 우리나라 현실과 독자성을 강조한 김부식의 사론에서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삼국을 하나의 완성된 국가로 보았으며, 왕을 절대적 지배자로 파악하였다. 말하자면 1세기부터 삼국이 국가로 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으므로,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을 역사적 전환점으로 보지 않았으며, 역사변천을 발전사관으로 파악하여 신라, 고려의 교체를 당위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삼국사기는 개인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것은 단순한 영웅주의 사관이 아니라, 고대에 있어서 개인의 역할을 강조함은 물론 멸사봉공의 공적인 윤리를 제공함으로써 국가와 민족에 희생하는 인간의 도리를 중시하려는 목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Ⅲ.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소론, 권영호, 2001
2. 삼국사기, 金完鎭, 1987
3. 三國遺事 所載 說話의 史料的 가치, 金杜珍, 2001
4. 13세기 고려 불교계의 경향과 삼국유사, 하정현, 종교와 문화, 2002
5. 한국민족문화사전 http://www.koreandb.net/dictionaries/
6. 디지털 한국학 http://www.koreandb.net/Sam/
키워드
추천자료
모유와 인공유의 차이점
(독후감)삼국유사-일연
단군신화와 동명왕편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 신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삼국에서 조선까지의 고등교육의 전개과정 및 현대대학과의 차이점
신라불교와의 차이점으로 추측해 본 백제불교의 모습
삼국유사에 신이한 기록이 많은 이유
구어생활(말하기)와 문자생활(쓰기)의 차이점
[시험대비,레포트용]'고전문학사의 라이벌'의 라이벌 비교,공통점과 차이점
제망매가와 처용가에서 뛰어난 문학적 표현부분 설명, 향가의 이해와 삼국유사의 이해
2009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C형(일연의 삼국유사)
2008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C형(삼국유사)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D형(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김부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