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기
2. 과정
3. 결과
4. 영향
5. 결과
2. 과정
3. 결과
4. 영향
5. 결과
본문내용
급급한 상황으로 FTA를 체결한다면 결국은 더 큰 손해를 볼 것이다. 사실 나도 처음에는 우리에게 불리하게만 돌아가는 FTA를 왜할까 싶었다. 특히 정부가 나서서 보호해줘도 부족한 농민들을 힘들게 하면서까지 저렇게 무리해서 추진해야할 이유가 있을까 싶었지만 이번에 협상 진행을 보면서 점차 생각의 변화가 일어났다. 우리는 이번 한미FTA로 인해 세계시장에서 한층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세계로 나아가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번 FTA타결 선언은 미국이라는 제일 큰 시장을 선점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렇다고 해서 한미FTA가 만병통치약은 아닐 것이다. 다만 기회를 제공할 뿐이고 한국인의 도전정신을 시험하는 시험대가 될 수도 있다. 물론 할수있다는 자신감만으로는 부족하다. 미국과의 공정한 경쟁과 협력을 통해 한 수 배우겠다는 겸손한 자세와 뼈를 깎는 노력이 뒤따라야 하며 한미FTA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목표와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제 국회 비준 동의와 국민 설득해야하는 과제가 남아있는데 이 때 대통령은 한미FTA가 안겨줄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국민 모두가 동참하도록 설득하는데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