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개의 글
2. 도검의 기원
3. 일본의 경우
4. 태도
5. 무로마치 시대의 무기
6. 전국시대의 무기
7.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의 무기
8. 에도 초기시대의 무기
9. 에도시대 초기- 중기의 무기
10. 에도 중기
11. 에도중하기
12. 에도중기- 말기
13. 격동의 시대 막말(幕末)
14. 메이지시대의 무기
15. 스포츠로서의 발달 다이쇼(大正)
16. 검도의 탄생과 무기
2. 도검의 기원
3. 일본의 경우
4. 태도
5. 무로마치 시대의 무기
6. 전국시대의 무기
7.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의 무기
8. 에도 초기시대의 무기
9. 에도시대 초기- 중기의 무기
10. 에도 중기
11. 에도중하기
12. 에도중기- 말기
13. 격동의 시대 막말(幕末)
14. 메이지시대의 무기
15. 스포츠로서의 발달 다이쇼(大正)
16. 검도의 탄생과 무기
본문내용
이하고는 국정에 진력해 1888년 53세로 파란의 생애를 마쳤다.
격동의 시대 막말(幕末)
도쿠가와 가의 존망이 위험해지고 혼란의 양상을 띠기 시작하자 실전에 필요한 검술의 중요서이 클로즈업되기 시작했다. 에도 중기에서 말기에 탄생한 심형도류, 직심영류, 신도무넨류, 갑원일도류, 교신메이치류, 신도일심류, 천연이심류, 호쿠신 일도류의 유파로 실전색이 짙은 검을 배운 검객들은 각각의 전장에서 싸우고, 메이지 신정부의 수립에 피로 물들인 투쟁을 해야 했다. 반복되는 암투의 결과 각번들은 무력항쟁에 돌입했다. 여기에서 다시 각광을 받은 것이 창술이지만 화승총 대신 신무기로서 외국에서 수입된 연발총 앞에 전국시대 식의 창 부대는 참패를 당했다. 그러나 그 기술은 총검술에 들어가 새로운 시대에 활약의 장을 얻었다.
메이지시대의 무기
1876년에 발표된 폐도령(廢刀令)에 의해 막말의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제 유파의 검객들은 심각한 생활고에 빠졌다. 서양 문명을 존경하는 개명파의 비판에 항쟁할 조직력도 없는 그들은 지도자로서의 입장을 잃고 군인이나 경관으로서 단련된 기량을 발휘하거나 유행한 격검 흥행(상업 시합)에 참전하는 것으로 활로를 찾았다. 이 「겨울 시대」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1895년에 설립된 일본무덕회(武德會)다. 일본무도계의 총합 단체로서 민족의식의 고양을 기치로 거는 한편 공통형 (技)을 제정하는 것으로 각 유파의 교류를 하고, 1905년에는 무도전문학교의 전신에 해당하는 무술교원양성소가 개교되어 1911년에 중학교령 시행규칙의 개정과 함께 격검(검도)와 유술이 정규 과목이 되었다. 학교교육의 일환으로서 도입된 것에 의해 검도 인구가 확대된 것인데 현대의 스포츠 색이 짙은 검도보다도 가혹한 내용이었다. 한편 장병 무기의 새로운 스타일로서는 총검술은 육군 도야마(戶山)학교의 교육 과목으로 도입되었다.
스포츠로서의 발달 다이쇼(大正)
1915년에 도쿄 고등사법학교의 체육과에 무도전공과가 설치되고 지도자 육성을 강화하는 한편 학생들을 중심으로 스포츠로서 인지된 검도는 보다 적정한 룰이 필요하게 되어 3인제심판, 토너먼트 제라는 지금에 이르는 시합 방법의 개선이 보였다. 1926년의 체조 교수 요목의 개정으로 「격검」이 「검도」로 변경된 것도 경기 종목으로서의 인식이 침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924년 대일본무덕회 검도 부문의 일부로서 인정된 총검술은 다음해에 「총검술부」로서 독립. 정식 무도의 장르로서 확립되었다.
격투기와 검기의 믹싱 합기도 쇼와 -현대
유술이나 포박술이라는 일본 고래의 격투기에는 무기를 갖지 않고 상대를 제압하는 맨손 대 칼의 싸움을 상정하는 것이 많다. 전장에서 맨손으로 격투기로 발달하고, 에도 시대에 경리용으로 사용된 기술은 현대에 이르러 무도의 형태로 계승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합기도다. 개개인의 체력에 따라 자신의 몸에 맞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현대인에게 맞고, 확실히 상대의 관절을 꺾는 실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호신술로 인기가 있었다.
검도의 탄생과 무기
일반에게 문호를 개방한 이후, 곧바로 국제적인 스포츠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합기도는 검의 이치(가장 합리적인 대적동작)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움직임은 「칼을 사용하지 않는 검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 운동인 합기도에 대해서 검도는 직선 운동. 다르게 보이지만 근본은 놀라울 정도로 공통하고 있다. 상대의 동작을 이용해서 움직임을 막는 합기도의 기는 수도이며, 검이며, 검기의 본질을 체현하고 있다는 인상이 아주 강하다. 합기도의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植芝盛平)는 젊었을 때부터 무술 수행에 열중해, 다케다 소가쿠(武田角)의 대동류합기유술을 배운 후에 자신이 1944년에 「합기도」를 확립했다. 그 후 아들 깃쇼마루(吉祥丸)가 재단법인 합기회를 설립. 그때까지 미지의 베일에 싸여 있던 합기도의 보급에 노력한 결과, 남녀노소 모두 배울 수 있는 무도로서 현재의 융성을 보았다. 합기도에는 검이나 봉 등을 무기로 사용하는 기술도 포함되어 있는데 그 근본은 자신의 오체를 종횡으로 구사한 대적 동작이다.
국제경기로
1928년의 천황 즉위를 기념해서 1929년에 쇼와 천람 무도대회가 열렸다. 지도의 프로인 전문가가 「지정선사(指定選士)」 각 부현에서 추천된 전문가 이외의 사람들이 「부현선사(府縣選士)」로서 출장했다. 각부의 우승자 결정전이 행해졌다. 이후도 1934년에 제 2회, 1940년에 제 3회 대회가 열려 검도 유도 궁도(제3회 대회만 참가)의 강호들이 솜씨를 겨루는 일대 이벤트로서 주목을 끌었다. 중일전쟁 중 총검술은 전투 기술로서 실용에 쓰이는 한편 무도 교육에 이용되어 1941년 3월에 「총검도(銃劍道)」로 명칭을 바꾸어 대일본총검도진흥회를 발족했다. 동회는 다음해 전국학생총검도 대회를 개최하고 급속히 총검도는 교육의 장으로 넓어졌다.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함께 무도계는 전시 교육의 수단으로서 정부에 이용되기 시작한다. 군사 교련이 전학생에게 의무화되는 한편, 1942년 4월에 대일본무덕회는 국가기관으로 바뀐다. 그러나 전국의 악화로 융성을 보지도 못하고 패전을 맞게 되었다. GHQ의 점령 정책에 대해서 자숙된 검도 교육은 「시나이() 경기」로 명칭을 바꾸어 안전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존속했다. 1952년의 샌프랜시스코 평화조약체결과 함께 점령군이 해산한 후, 같은 해 10월에는 전일본검도연맹(현재의 전일본 검도연맹의 전신)이 결성되었다. 계속해서 총검도도 1956년에 총검도연맹을 발족. 그리고 「검도」는 1953년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에 체육 교재로서 부활. 국제 교류가 활발해지는 중에 1970년 국제검도연맹이 발족. 제 1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가 일본 무도관에서 개최되었다. 한편 같은 해에 사단법인으로서 문부성의 인가를 얻은 총검도연맹도 체육 경기로서 애호자가 늘어나 나기나타와 함께 발전을 보았다. 풍부한 이종 격투기가 매력인 총검도는 검도와 비슷한 민첩성을 기르기 위한 건전한 스포츠로서 보급 발전이 될 것이다
키워드 : 칼의 기원, 칼의 역사 , 도검의 기원, 다이쇼(大正), 검도의 탄생, 무기의 역사, 체육학
격동의 시대 막말(幕末)
도쿠가와 가의 존망이 위험해지고 혼란의 양상을 띠기 시작하자 실전에 필요한 검술의 중요서이 클로즈업되기 시작했다. 에도 중기에서 말기에 탄생한 심형도류, 직심영류, 신도무넨류, 갑원일도류, 교신메이치류, 신도일심류, 천연이심류, 호쿠신 일도류의 유파로 실전색이 짙은 검을 배운 검객들은 각각의 전장에서 싸우고, 메이지 신정부의 수립에 피로 물들인 투쟁을 해야 했다. 반복되는 암투의 결과 각번들은 무력항쟁에 돌입했다. 여기에서 다시 각광을 받은 것이 창술이지만 화승총 대신 신무기로서 외국에서 수입된 연발총 앞에 전국시대 식의 창 부대는 참패를 당했다. 그러나 그 기술은 총검술에 들어가 새로운 시대에 활약의 장을 얻었다.
메이지시대의 무기
1876년에 발표된 폐도령(廢刀令)에 의해 막말의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제 유파의 검객들은 심각한 생활고에 빠졌다. 서양 문명을 존경하는 개명파의 비판에 항쟁할 조직력도 없는 그들은 지도자로서의 입장을 잃고 군인이나 경관으로서 단련된 기량을 발휘하거나 유행한 격검 흥행(상업 시합)에 참전하는 것으로 활로를 찾았다. 이 「겨울 시대」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1895년에 설립된 일본무덕회(武德會)다. 일본무도계의 총합 단체로서 민족의식의 고양을 기치로 거는 한편 공통형 (技)을 제정하는 것으로 각 유파의 교류를 하고, 1905년에는 무도전문학교의 전신에 해당하는 무술교원양성소가 개교되어 1911년에 중학교령 시행규칙의 개정과 함께 격검(검도)와 유술이 정규 과목이 되었다. 학교교육의 일환으로서 도입된 것에 의해 검도 인구가 확대된 것인데 현대의 스포츠 색이 짙은 검도보다도 가혹한 내용이었다. 한편 장병 무기의 새로운 스타일로서는 총검술은 육군 도야마(戶山)학교의 교육 과목으로 도입되었다.
스포츠로서의 발달 다이쇼(大正)
1915년에 도쿄 고등사법학교의 체육과에 무도전공과가 설치되고 지도자 육성을 강화하는 한편 학생들을 중심으로 스포츠로서 인지된 검도는 보다 적정한 룰이 필요하게 되어 3인제심판, 토너먼트 제라는 지금에 이르는 시합 방법의 개선이 보였다. 1926년의 체조 교수 요목의 개정으로 「격검」이 「검도」로 변경된 것도 경기 종목으로서의 인식이 침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924년 대일본무덕회 검도 부문의 일부로서 인정된 총검술은 다음해에 「총검술부」로서 독립. 정식 무도의 장르로서 확립되었다.
격투기와 검기의 믹싱 합기도 쇼와 -현대
유술이나 포박술이라는 일본 고래의 격투기에는 무기를 갖지 않고 상대를 제압하는 맨손 대 칼의 싸움을 상정하는 것이 많다. 전장에서 맨손으로 격투기로 발달하고, 에도 시대에 경리용으로 사용된 기술은 현대에 이르러 무도의 형태로 계승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합기도다. 개개인의 체력에 따라 자신의 몸에 맞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현대인에게 맞고, 확실히 상대의 관절을 꺾는 실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호신술로 인기가 있었다.
검도의 탄생과 무기
일반에게 문호를 개방한 이후, 곧바로 국제적인 스포츠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합기도는 검의 이치(가장 합리적인 대적동작)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움직임은 「칼을 사용하지 않는 검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 운동인 합기도에 대해서 검도는 직선 운동. 다르게 보이지만 근본은 놀라울 정도로 공통하고 있다. 상대의 동작을 이용해서 움직임을 막는 합기도의 기는 수도이며, 검이며, 검기의 본질을 체현하고 있다는 인상이 아주 강하다. 합기도의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植芝盛平)는 젊었을 때부터 무술 수행에 열중해, 다케다 소가쿠(武田角)의 대동류합기유술을 배운 후에 자신이 1944년에 「합기도」를 확립했다. 그 후 아들 깃쇼마루(吉祥丸)가 재단법인 합기회를 설립. 그때까지 미지의 베일에 싸여 있던 합기도의 보급에 노력한 결과, 남녀노소 모두 배울 수 있는 무도로서 현재의 융성을 보았다. 합기도에는 검이나 봉 등을 무기로 사용하는 기술도 포함되어 있는데 그 근본은 자신의 오체를 종횡으로 구사한 대적 동작이다.
국제경기로
1928년의 천황 즉위를 기념해서 1929년에 쇼와 천람 무도대회가 열렸다. 지도의 프로인 전문가가 「지정선사(指定選士)」 각 부현에서 추천된 전문가 이외의 사람들이 「부현선사(府縣選士)」로서 출장했다. 각부의 우승자 결정전이 행해졌다. 이후도 1934년에 제 2회, 1940년에 제 3회 대회가 열려 검도 유도 궁도(제3회 대회만 참가)의 강호들이 솜씨를 겨루는 일대 이벤트로서 주목을 끌었다. 중일전쟁 중 총검술은 전투 기술로서 실용에 쓰이는 한편 무도 교육에 이용되어 1941년 3월에 「총검도(銃劍道)」로 명칭을 바꾸어 대일본총검도진흥회를 발족했다. 동회는 다음해 전국학생총검도 대회를 개최하고 급속히 총검도는 교육의 장으로 넓어졌다.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함께 무도계는 전시 교육의 수단으로서 정부에 이용되기 시작한다. 군사 교련이 전학생에게 의무화되는 한편, 1942년 4월에 대일본무덕회는 국가기관으로 바뀐다. 그러나 전국의 악화로 융성을 보지도 못하고 패전을 맞게 되었다. GHQ의 점령 정책에 대해서 자숙된 검도 교육은 「시나이() 경기」로 명칭을 바꾸어 안전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존속했다. 1952년의 샌프랜시스코 평화조약체결과 함께 점령군이 해산한 후, 같은 해 10월에는 전일본검도연맹(현재의 전일본 검도연맹의 전신)이 결성되었다. 계속해서 총검도도 1956년에 총검도연맹을 발족. 그리고 「검도」는 1953년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에 체육 교재로서 부활. 국제 교류가 활발해지는 중에 1970년 국제검도연맹이 발족. 제 1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가 일본 무도관에서 개최되었다. 한편 같은 해에 사단법인으로서 문부성의 인가를 얻은 총검도연맹도 체육 경기로서 애호자가 늘어나 나기나타와 함께 발전을 보았다. 풍부한 이종 격투기가 매력인 총검도는 검도와 비슷한 민첩성을 기르기 위한 건전한 스포츠로서 보급 발전이 될 것이다
키워드 : 칼의 기원, 칼의 역사 , 도검의 기원, 다이쇼(大正), 검도의 탄생, 무기의 역사, 체육학
추천자료
칼아이칸의 KT&G 적대적 합병내용 정리와 의견
칼마르크스의 사상과 막스 베버의 사상을 사회학적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여라.
칼의 노래 - 이순신의 내면과의 조우
<칼의 노래>를 읽고 쓴 감상문 독후감
칼 폴라니의 '자기조정적 시장과 이중의 운동'에 관하여
칼 구스타프 융
쌍둥이칼의 캠페인
칼 로저스의 비지시적 상담 ,내담자중심의 상담
크루스칼
칼바르트의 성경관 연구
일본대중문화-국화와칼, 일본은없다1 서평
칼 구스타브 융 (Carl Gustav Jung)
칼자국을 읽고 줄거리 요약, 내용 요약, 감상문, 독후감, 느낀점, 나의 소감, 나의 견해 총체...
칼로 물 베기의 사랑(i am sam을 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