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심리학 레포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 심리학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그림자와 자아

2. 자아의 투사

본문내용

그림자는 무의식의 이미지로서 자아는 자신이 어떤 그림자를 가지고 있는지 모른다. 그것은 자아에게는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그늘에 속하는 인격이기 때문이다. 타인이 우리의 결점을 비난하여 분노가 일어난다면 그 순간 우리는 자기의 그림자의 일부를 발견하는 것이다. 타인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안에 있는 내부의 심판관이 우리를 비난한다면 이 때야 말로 자기자신의 그림자를 깨달을 수 있는 순간이며 이때부터 그림자를 의식화하는 작업이 진행될 것이다. 그림자의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꿈에서 발견되며 그림자를 보고 의식화 하려면 무의식의 표현인 꿈을 분석해 보아야 한다. 무의식의 분석을 거치지 않고 스스로 자기의 그림자를 보려면 무의식의 그림자를 밖으로 투사하였을 때 그 투사대상을 향한 자기의 감정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투사는 자기의 분신을 되찾아 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무의식의 내용이 어떤 대상에 투사되면 우리는 최소한 우리 안에 있는 것을 투사대상 속에서 경험하게 되고 그런 경험을 통해서 자기 마음속의 무의식적 내용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투사는 어떤 대상에 대하여 강력한 감정반응을 일으키고 자아가 그 대상에 집착하게 만든다. 거룩한 분노란 인간이 악에 대하여 갖는 마음의 밑바닥에서 솟구치는 분노를 말한다. 이는 오직 개인적인 그림자의 투사를 거두고 자기자신의 전체 정신과 일치된 관점에서 세계를 볼 수 있을 때 나오는 것이다. 의식과 무의식, 나와 자기가 하나된 마음의 표현일 때 진정한 의미의 거룩한 분노이다. 반면 마음이 분열된 상태에서 일어난 그림자의 집단투사는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사회사건들을 만들어 냈다.그림자의 투사는 상호 불신과 반목, 증오와 갈등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며 인간관계에서 오해는 항상 무의식적 투사에서 비롯된다. 또한 동반자가 자신의 그림자를 대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림자가 투사되기 전 무의식간에 다른 사람에게 옮겨간 경우이다.보통 우리의 그림자는 나의 어두운 반려자, 나의 검은 대리인이며, 우리가 자신의 무의식의 그림자를 의식하여 처리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언젠가 그림자의 열등한 성격은 나를 사로잡고 내가 규탄하는 오물을 뒤집어 쓰게 된다. 아니면 분열된 그림자가 가까운 사람을 통해 연출됨으로써 곤혹을 치르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6.2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16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