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회과 교육의 시작

2. 미국 사회과의 발달
가. 사회과의 탄생
1) 이미자의 천국 미국의 고민
2) 남북전쟁의 갈등 치유와 인디언 포용
3) 다양한 사회 문제의 발생
나. 사회과 교육의 성립
다. 사회과 성립의 배경

3. 사회과 교육의 발달
가. 초기 사회과 교육
나. 1920-1950년대의 사회과 교육
다. 1960년대-1970년대의 사회과 교육과 신사회과 운동
라. 1970-1980년대 사회과 교육과 가치 교육의 강조
마. 1980년 이후의 사회과 교육과 표준화(Standards Movement)

본문내용

사회과학중심의 사회과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과학 모형이 중심이 된 사회과를 신사회과 또는 신사회과 운동(New Social Studies Movement)이라고 한다.
신사회과 운동은 2차 대전 이후에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 등의 사회과학 내지 행동과학의 발달에서 기인된 것이다. 1940년대 이후 끊임없이 제기된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과학적인 연구 방법 및 내용이 필요하였다. 이에 사회과학자들은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통계 연구 방법을 채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고스란히 사회과 교육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한편 미국 정부는 교육과정 개혁 프로젝트를 후원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을 시도하였는데, 이때 브르너(Bruner)의 『교육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이라는 저서를 통해 모든 교과는 그 교과 속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과 일반화, 원리 및 탐구 방법 등 소위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발달하였다. 이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사회과학의 내용과 방법을 중시하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사회과는 개념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기본 지식을 중심으로 사실들을 조직화하는 방법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사회과학 학문의 구조를 학습할 수 있었으며, 사회과학자들이 사회를 연구하는데 사용했던 방법과 절차를 통해 학습하였고, 사회과 학습에 활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적 접근 방식에 따른 지식습득은 학생들이 사회에서 직접 쓸 수있는 실용적인 기능과 원리 습득과는 거리가 있다는 비판이 일면서 학생들은 실제 생활에서 직면하게 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능을 습득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는 사회과에서 의사결정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라. 1970-1980년대 사회과 교육과 가치 교육의 강조
지나친 지식 위주의 사회과 교육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1970년대 이후 사회과교육은 학생들에게 공공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참여를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1980년 “시민성” 또는 “공민교육”에 대한 새로운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올리버(Oliver)를 비롯한 쉐이버(Shaver), 뱅크스(Banks) 등은 사회과학 지식의 습득과 가지 분석, 명료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취할 행동을 결정할 뿐 아니라 명료화시킨 지식과 가치에 일치하는 행동을 하도록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자료, 이론 등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되었다. 또한 미국 독립 200주년 기념에 발맞추어 시민성 발전 협의회(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Citizenship)가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 협회는 시민성교육의 증진을 제도화하고 합법화 하는 것을 추진하는 운동을 도와주게 되었다. 새롭게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급속히 확산되었고, 뿐만 아니라 1970년대부터 형성된 참여민주주의의 정신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함께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민주시민성 교육을 위한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이 새로운 방향 모색의 시기인 1970-1980년대는 사회과에서 지적 영역을 강조했던 학문 중심 교육과정 시기와 달리 사회 문제 해결에의 적극적인 참여와 가치교육을 강조했던 시기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전숙자, 2002:42-43).
마. 1980년 이후의 사회과 교육과 표준화(Standards Movement)
1980년대 이후의 사회과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사회과를 통해 학생들이 성취하기 바라는 전국적인 수준의 교육 목표 및 내용, 수행 수준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본래 미국은 주마다 자율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운영해 왔으나, 21세기 새천년의 교육을 준비하면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교육과정 표준화를 전개하면서, 사회과의 경우에는 21세기에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이 무엇인가를 규명라고 이를 위해 사회과교육을 어떻게 개혁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이에 전국 역사교육센터(NCHS), 전국지리교육협의회(NCGE), 공민교육센터(CCE), 전국경제교육협의회(NCEE) 등 4단체에서 마련한 분과 기준을 통합하여 사회과에서 다루어야할 10가지 주제 및 수행 수준을 마련하였다. 이는 1994년 미국 사회과교육 연합회(NCSS)에서 출판한『수월의 기대:사회과 교육과정의 기준(Expectations of Excellence :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1994)』이라는 책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문서는 21세기 사회과교육은 학생들이 개인적학문적다원주의적지구촌적 관점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이를 위한 사회과교육의 내용으로 10가지 주제(① 문화 ② 시간, 연속성, 변화 ③ 사람, 장소, 환경 ④ 개인의 발전과 정체성 ⑤ 개인, 집단, 제도 ⑥ 권력, 권위, 통치 ⑦ 생산, 소비, 분배 ⑧ 과학, 기술, 사회 ⑨ 세계적 관계 ⑩ 민주주의 시민의 이상과 실천)를 제안하고, 이를 기초로 초중고등학교를 위한 지식 및 기능의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각 주제와 관련된 수행 기대와 함께 예시 수업안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가 사회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나 전국적인 수준의 교육 목표, 내용, 학생들이 성취하기 바라는 수행수준을 개발함으로써 분권적인 미국 사회에서 국가적이 교육 체제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전숙자, 2002:43-44).
이러한 사회과 교육의 발달에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미국의 사회과 교육이 미국 사회의 변화에 이끌려서 변천해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미국 사회의 중요한 사회정치경제문화적 변화와 발전을 능동적으로 사회과 교육에 수용반영시키면서 발전해 왔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미국 사회과 교육이 변모될 사회를 미리 전망하면서 이 같은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 시대에 적합한 사회과 교육의 내용을 선정, 교수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6.23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