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미사일 위기 사례 개인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쿠바미사일 위기 사례 개인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의 인식 및 정의 (테이프 1 : 1일째, 15분)
1-1. 케네디 대통령의 당면 문제는 무엇인가? 케네디는 자신이 당면한 문제를 제대로 인식했다고 보는가? 만약 케네디가 문제 인식을 잘못하였다면 어떤 결과가 예상될 수 있는가?

2) 문제의 분석( 테이프 2 : 2일째, 15분)
2-1. 지금까지 제시된 대안들은 무엇이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2-2. 집단토의의 분위기는 어떠했는가?

3) 대안의 평가 (테이프 3 : 3,4,5,6,7 일째, 40분)
3-1. 딘 애치슨(전임 국무장관)이 위원회를 떠나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 이유는 합당한 것이었나?
3-2. 유엔대사 스티븐슨의 외교적 타협의 의견 제시는 집단에 의해 어떻게 받아들여 졌으며, 케네디 대통령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4) 실행 및 통제 ( 테이프 4 : 8,9,10 일째, 50분)
4-1. 케네디가 로보트 케네디 법무장관으로 하여금 주미 소련대사인 도브리닌을 만나게한 이유는?
4-2. 케네디 대통령이 봉쇄선을 좁힌 이유는?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본문내용

회의에서도 로버트 케네디는 적절한 대안제시와, 의견이 너무 공격적으로 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소련: 동영상자료가 백악관중심이어서 자세히는 알 수 없지만 소련의 강경파가 중대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후르시쵸프가 의견을 결정하기위해 강경파의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했던 점이나, 소련이 보낸 두 번째 편지가 소련의 강경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아 강경파의 역할이 컸음을 유추할 수 있다.
맥나마는 공중폭격을 주장한 점에서 공격적이고 성급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비록 UN등에 호소를 통해 소련에 압력가할 것을 요청한 점이나, 해군으로 쿠바를 봉쇄하는 것에 동의한 점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만약 맥나마가 국방장관이었더라면 공중폭격이나 군사적 대안등에 더 큰 힘이 실어졌을 것이 자명했다. 그랬더라면 평화적 해결보다 전면전에 의한 제3차 세계대전이 벌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로버트 케네디는 케네디가 없는 회의에서도 회의를 잘 중재하였으며, 군사적 대응이라는 의견을 평화적으로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의사결정에서 중대한 역할을 한 로버트 케네디가 군사적 대응에 찬성해 강행되었다면, 전면전과 더불어 세계대전이 다시금 일어날 수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6.2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