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의 인식 및 정의 (테이프 1 : 1일째, 15분)
1-1. 케네디 대통령의 당면 문제는 무엇인가? 케네디는 자신이 당면한 문제를 제대로 인식했다고 보는가? 만약 케네디가 문제 인식을 잘못하였다면 어떤 결과가 예상될 수 있는가?
2) 문제의 분석( 테이프 2 : 2일째, 15분)
2-1. 지금까지 제시된 대안들은 무엇이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2-2. 집단토의의 분위기는 어떠했는가?
3) 대안의 평가 (테이프 3 : 3,4,5,6,7 일째, 40분)
3-1. 딘 애치슨(전임 국무장관)이 위원회를 떠나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 이유는 합당한 것이었나?
3-2. 유엔대사 스티븐슨의 외교적 타협의 의견 제시는 집단에 의해 어떻게 받아들여 졌으며, 케네디 대통령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4) 실행 및 통제 ( 테이프 4 : 8,9,10 일째, 50분)
4-1. 케네디가 로보트 케네디 법무장관으로 하여금 주미 소련대사인 도브리닌을 만나게한 이유는?
4-2. 케네디 대통령이 봉쇄선을 좁힌 이유는?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1-1. 케네디 대통령의 당면 문제는 무엇인가? 케네디는 자신이 당면한 문제를 제대로 인식했다고 보는가? 만약 케네디가 문제 인식을 잘못하였다면 어떤 결과가 예상될 수 있는가?
2) 문제의 분석( 테이프 2 : 2일째, 15분)
2-1. 지금까지 제시된 대안들은 무엇이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2-2. 집단토의의 분위기는 어떠했는가?
3) 대안의 평가 (테이프 3 : 3,4,5,6,7 일째, 40분)
3-1. 딘 애치슨(전임 국무장관)이 위원회를 떠나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 이유는 합당한 것이었나?
3-2. 유엔대사 스티븐슨의 외교적 타협의 의견 제시는 집단에 의해 어떻게 받아들여 졌으며, 케네디 대통령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4) 실행 및 통제 ( 테이프 4 : 8,9,10 일째, 50분)
4-1. 케네디가 로보트 케네디 법무장관으로 하여금 주미 소련대사인 도브리닌을 만나게한 이유는?
4-2. 케네디 대통령이 봉쇄선을 좁힌 이유는?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본문내용
회의에서도 로버트 케네디는 적절한 대안제시와, 의견이 너무 공격적으로 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소련: 동영상자료가 백악관중심이어서 자세히는 알 수 없지만 소련의 강경파가 중대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후르시쵸프가 의견을 결정하기위해 강경파의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했던 점이나, 소련이 보낸 두 번째 편지가 소련의 강경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아 강경파의 역할이 컸음을 유추할 수 있다.
맥나마는 공중폭격을 주장한 점에서 공격적이고 성급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비록 UN등에 호소를 통해 소련에 압력가할 것을 요청한 점이나, 해군으로 쿠바를 봉쇄하는 것에 동의한 점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만약 맥나마가 국방장관이었더라면 공중폭격이나 군사적 대안등에 더 큰 힘이 실어졌을 것이 자명했다. 그랬더라면 평화적 해결보다 전면전에 의한 제3차 세계대전이 벌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로버트 케네디는 케네디가 없는 회의에서도 회의를 잘 중재하였으며, 군사적 대응이라는 의견을 평화적으로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의사결정에서 중대한 역할을 한 로버트 케네디가 군사적 대응에 찬성해 강행되었다면, 전면전과 더불어 세계대전이 다시금 일어날 수 있었다.
소련: 동영상자료가 백악관중심이어서 자세히는 알 수 없지만 소련의 강경파가 중대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후르시쵸프가 의견을 결정하기위해 강경파의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했던 점이나, 소련이 보낸 두 번째 편지가 소련의 강경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아 강경파의 역할이 컸음을 유추할 수 있다.
맥나마는 공중폭격을 주장한 점에서 공격적이고 성급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비록 UN등에 호소를 통해 소련에 압력가할 것을 요청한 점이나, 해군으로 쿠바를 봉쇄하는 것에 동의한 점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만약 맥나마가 국방장관이었더라면 공중폭격이나 군사적 대안등에 더 큰 힘이 실어졌을 것이 자명했다. 그랬더라면 평화적 해결보다 전면전에 의한 제3차 세계대전이 벌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로버트 케네디는 케네디가 없는 회의에서도 회의를 잘 중재하였으며, 군사적 대응이라는 의견을 평화적으로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의사결정에서 중대한 역할을 한 로버트 케네디가 군사적 대응에 찬성해 강행되었다면, 전면전과 더불어 세계대전이 다시금 일어날 수 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조직수준의 조직행동에 대하여
[하버마스][하버마스이론][비판이론][의사소통행위론][공론장][공론장이론]하버마스와 하버마...
조직행동론- 발생사적 관점을 토대로한 조직행동론의 발전
[교육행정][교육정책]교육행정의 개관, 교육행정의 개념, 교육행정의 특징과 교육행정의 주요...
[간호지도자론C]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
(조직에서의 집단커뮤니케이션) 조직에서 집단의 중요성과 유형, 집단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
[조직커뮤니케이의 전략적 계획] 전략적 조직커뮤니케이션 계획의 정의와 과정, SICO 모델 및...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기능, 조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조직과 커뮤니케이션]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문제점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를 사정하고, ...
[러시아정부]러시아정부의 연방주체, 러시아정부의 집단주의, 러시아정부의 군사발전사, 러시...
조직행위이론을 통해 본 조직 사례
동기부여 이론과 리더쉽 이론 [조직행동론] (개인과 조직행위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