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민법의 의의
제2절 민법의 법원
Ⅰ. 법원의 의의(민법 제1조)
1. 민법 제1조의 의미
2. 성문법주의(우리민법)와 불문법주의의 장・단점
Ⅱ. 성문민법
Ⅲ. 불문민법
1. 관습법
(1) 성립요건
(2) 관습법의 법원성(§1)
(3) 성립시기
(4) 효 력
(5) 판례가 인정한 관습민법
(6) 관습법의 주장・입증
(7) 사실인 관습과의 관계
2. 조리의 법원성
3. 판 례
제3절 민법의 기본원리
Ⅰ. 사적자치의 원칙
Ⅱ. 사회적 형평의 이념(공공복리)
Ⅲ. 우리 민법의 기본원리
1. 최고원리
2. 진정한 권리와 거래안전의 조화
3. 합리적 인간과 무능력자 보호
제4절 민법의 효력범위
제2절 민법의 법원
Ⅰ. 법원의 의의(민법 제1조)
1. 민법 제1조의 의미
2. 성문법주의(우리민법)와 불문법주의의 장・단점
Ⅱ. 성문민법
Ⅲ. 불문민법
1. 관습법
(1) 성립요건
(2) 관습법의 법원성(§1)
(3) 성립시기
(4) 효 력
(5) 판례가 인정한 관습민법
(6) 관습법의 주장・입증
(7) 사실인 관습과의 관계
2. 조리의 법원성
3. 판 례
제3절 민법의 기본원리
Ⅰ. 사적자치의 원칙
Ⅱ. 사회적 형평의 이념(공공복리)
Ⅲ. 우리 민법의 기본원리
1. 최고원리
2. 진정한 권리와 거래안전의 조화
3. 합리적 인간과 무능력자 보호
제4절 민법의 효력범위
본문내용
한 권리와 거래안전의 조화
(1) 원 칙 : 진정한 권리의 보호
(2) 예 외 : 거래안전의 보호
① 공시의 원칙과 공신의 원칙 ② 법률행위 무효, 취소시 선의의 제3자 보호 ③ 동산의 선의취득 ④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
3. 합리적 인간과 무능력자 보호
(1) 원 칙 : 합리적 인간 기준
(2) 예 외 : 무능력자의 절대적 보호
제4절 민법의 효력범위
□판례□
<외국에서 내국인 사이에 발생한 섭외적 불법행위의 준거법> … 섭외사법 제13조 1항이 섭외적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그 원인된 사실이 발생한 곳의 법에 의하도록 규정한 취지는 불법행위가 행하여진 사회적 조건을 고려하여 곳곳에서의 법의식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해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국내법을 적용해서 처리하는 것보다 형평의 견지에서 합리적이고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하는 것이 당사자의 기대에도 상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 당사자가 모두 내국인인 경우에 원인사실의 발생지(불법행위지)가 단순히 우연적이고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데 그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섭외사법을 적용해서 처리하여야 할 합리적인 이유는 없다(大判 1979. 11. 13. 78다1343).
(1) 원 칙 : 진정한 권리의 보호
(2) 예 외 : 거래안전의 보호
① 공시의 원칙과 공신의 원칙 ② 법률행위 무효, 취소시 선의의 제3자 보호 ③ 동산의 선의취득 ④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
3. 합리적 인간과 무능력자 보호
(1) 원 칙 : 합리적 인간 기준
(2) 예 외 : 무능력자의 절대적 보호
제4절 민법의 효력범위
□판례□
<외국에서 내국인 사이에 발생한 섭외적 불법행위의 준거법> … 섭외사법 제13조 1항이 섭외적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그 원인된 사실이 발생한 곳의 법에 의하도록 규정한 취지는 불법행위가 행하여진 사회적 조건을 고려하여 곳곳에서의 법의식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해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국내법을 적용해서 처리하는 것보다 형평의 견지에서 합리적이고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하는 것이 당사자의 기대에도 상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 당사자가 모두 내국인인 경우에 원인사실의 발생지(불법행위지)가 단순히 우연적이고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데 그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섭외사법을 적용해서 처리하여야 할 합리적인 이유는 없다(大判 1979. 11. 13. 78다1343).
추천자료
[민법총칙]불공정한 거래행위(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검토
[민법]실종선고(失踪宣告)제도에 대한 검토
[민법총칙]법률관계와 호의관계의 구별
[민법총칙]신의성실의 원칙과 그 파생원칙에 대한 고찰
[민법]대리의 의의 및 종류와 구별개념에 대한 논점정리
[민법총칙]대리권의 발생원인 및 범위와 소멸에 대한 논점정리
[민법총칙]허위표시의 내용과 효력에 대한 이론과 판례
[민법]권리의 객체로서의 물건(物件)에 대한 논점정리
[민법총칙]표현대리(表現代理)의 의의 및 본질과 효과
(민법) 사용대차와 소비대차에 관하여
(민법) 임대차의 법률적 효력
근대 민법의 기본원칙
민법총칙 곽윤직 7판 정리
[민법]계약책임과 불법행위책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의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