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목차
1부 자유주의 신학
1장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2장 슐라이에르마허1: 감정의 신학
3장 슐라이에르마허2: 범신론 논쟁
4장 데이비드 스트라우스
5장 죄렌 키에르 케고르
6장 알브레히트 리츨
7장 에른스트 트뢸취
2부 신정통주의 신학
8장 칼 바르트1: 바르트와 자유주의 신학
9장 칼 바르트2: 바르트와 에밀 브룬너
10장 루돌프 불트만
11장 폴 틸리히
12장 라인홀드 니버
3부 근본주의 신학
13장 세대주의 신학
14장 근본주의 신학
4부 최근 신학
15장 세속화 신학1: 디트리히 본회퍼
16장 세속화 신학2: 존 로빈슨과 하비 콕스
17장 신 죽음의 신학
18장 희망의 신학: 위르겐 몰트만
19장 해방 신학
20장 여성 신학
21장 과정 신학1: 알프레드 화이트헤드
22장 과정 신학2: 과정 신학 논쟁
23장 과정 신학3: 슈베르트 오그덴
24장 종교 신학1: 종교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25장 종교 신학2: 종교 다원주의와 가톨릭 교회
26장 생태학적 신학과 창조 신학
1장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2장 슐라이에르마허1: 감정의 신학
3장 슐라이에르마허2: 범신론 논쟁
4장 데이비드 스트라우스
5장 죄렌 키에르 케고르
6장 알브레히트 리츨
7장 에른스트 트뢸취
2부 신정통주의 신학
8장 칼 바르트1: 바르트와 자유주의 신학
9장 칼 바르트2: 바르트와 에밀 브룬너
10장 루돌프 불트만
11장 폴 틸리히
12장 라인홀드 니버
3부 근본주의 신학
13장 세대주의 신학
14장 근본주의 신학
4부 최근 신학
15장 세속화 신학1: 디트리히 본회퍼
16장 세속화 신학2: 존 로빈슨과 하비 콕스
17장 신 죽음의 신학
18장 희망의 신학: 위르겐 몰트만
19장 해방 신학
20장 여성 신학
21장 과정 신학1: 알프레드 화이트헤드
22장 과정 신학2: 과정 신학 논쟁
23장 과정 신학3: 슈베르트 오그덴
24장 종교 신학1: 종교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25장 종교 신학2: 종교 다원주의와 가톨릭 교회
26장 생태학적 신학과 창조 신학
본문내용
는 뉴턴과의 논쟁을 통해 성경 해석의 새로운 우너리와 신학 개념을 제시했다. 문자적 예언 해석 원리와 그것에 근거한 이스라엘과 교회의 철저한 구분, 환난 전 교회 휴거, 성경을 유대인의 본문과 교회의 본문으로 나누는 성경의 구획화, 천국왕국의 유대화 등이 그것이다. 흔히 세대주의라 부르는 다비의 신학 체계는 다비가 인류의 역사를 여러 세대로 나누고 하나님의 활동 양태가 각 세대마다 다르다고 보았던 데서 비롯되었다. 다비는 1882년 82세로 사망하였다. 다비의세대주의가 미국에서 큰 호응을 얻은 것은 이스라엘과 교회를 분리하는 그의 교회론보다는 전천년주의적인 그의 종말론을 통해서이다. 1909년 출판되어 2백만 부 이상 판매된 스코필드 관주 성경은 세대주의를 대중화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스코필드(Cyrus I. Scofield. 1843-1921)는 문자적 성경 해석법을 실천했으며 이스라엘과 교회를 하나님의 두 백성으로 구분했다. 이스라엘은 지상적이고 교회는 천상적이다. 이스라엘에 관한 성경 본문은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하지만, 교회에 관한 것은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세계 역사를 일곱 세대로 나누었다. 무죄, 양심, 인간통치, 약속, 율법, 은혜, 천년왕국이다. 대 환난 전에 교회가 휴거된다고 믿는 전천년설과 환난 전 휴거설을 주장했다. 세대주의의 확산에는 성서 학원의 역할 또는 적지 않았다. 대표적인 성서 학원으로는 프로빈스(Province) 성서 학원, 로스앤젤레스 성서 학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후일 기독교 대학으로 발전했다. 바링톤(Barrington) 대학과 바이올라(Biola) 대학이 그것이다. 세대주의적인 신학교로는 달라스(Dallas), 그레이스, 탈보트 등이 있다. 저명한 세대주의자로는 매킨토쉬, 트로터, 켈리, 그랜트, 블랙스톤, 모르간, 아이언사이드, 개벨인 등이 있다.
Ⅱ. 세대주의 교리
세대주의의 핵심 신조와 신학 개념은 문자적인 성경 해석, 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 환난 전 휴거로 요약된다. 세대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자적 해석 원리를 성경에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다. 스코필드는, 구약성서의 역사는 비문자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예언은 반드시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독특한 교회론은 첫째,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를 엄격히 구분한다. 다비는 이스라엘과 교회는 하늘과 땅, 율법과 은혜처럼 별개라고 주장했다. 세대주의는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모든 언약은 교회가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에게서 무조건 성취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둘째, 세대주의는 교회가 구약 시대에는 존재하지도 예시되지도 않았으며 오순절부터 존재했다고 믿는다. 셋째, 세대주의는 교회의 제한적인 역할만을 인정한다. 세대주의는 교회를 하나님의 원래 구원 계획의 일부로 간주하지 않고 그 중간의 막간극(parenthesis)과 같은 것으로 취급했다. 세대주의는 전천년설과 환난전 휴거설에 근거한 독특한 종말론을 주장한 것이 특징이다. 세대주의의 종말론은 성서에 대한 문자적 해석, 구약 성서 예언의 문자적 성취, 이스라엘과 교회의 이분법을 기본원칙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첫째, 세대주의는 교회의 환난 전 휴거를 주장한다. 대 환난이 시작되기 직전, 교회는 공중으로 휴거되어 재림하시는 그리스도를 맞이하리라는 것이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기본 특징이다. 둘째, 세대주의는 유대적인 천년왕국을 주장한다. 천녀왕국론은 세대주의 전체 체계와 성서 해석의 필수 요소이며 처년ㄴ왕국을 강조하는 것이 세대주의 종말론의 특징이다. 셋째, 세대주의는 천국과 하나님의 나라를 구별한다. 천국은 하나님의 지상적 통치를 말하며, 하나님이 다윗에게 약속한 유대 왕국이다.
Ⅲ. 세대주의 논쟁
세대주의가 그 뿌리를 두었던 프리머드 형제단의 초기 역사는 다비와 뉴턴의 논쟁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논쟁은 대 환난 동안 교회가 어떤 상태에 있을까에 관한 것이다. 양자는 모두 세대에 대한 신앙은 함께 가지고 있었다. 뉴턴은 전통적인 역사주의적 전천년설을 대변했고, 다비는 미래주의적 전천년설을 주장했다. 다비의 재림론의 핵심은 교회의 비밀 휴거론이다. 그리스도의 공중 재림이 비밀리에 있을 것이며 교회는 지상으로부터 비밀리에 휴거된 후 그리스도의 지상 재림이 있게 된다. 뉴턴은 이러한 견해를 맹렬히 반대했다. 성경의 전체 증거와 비밀 휴거는 맞지 않는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비밀 휴거론은 세대주의의 핵심고리가 되었다. 세대주의가 언제 시작되었는가 하는 기원 문제가 논쟁이 되고 있다. 세대주의자들은 그 기원을 사도 시대 혹은 그 이전에서 찾고 있고, 비판가들은 세대주의가 최근에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대주의의 본질과 특징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인데, 성경 해석의 결과로 이스라엘과 교회, 이스라엘을 위한 본문과 교회를 위한 본문의 철저한 분리와 같은 교리가 나왔다. 세대주의와 관련하여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천년왕국의 성격과 시기에 관한 문제이다. 천녀왕국이 존재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천년설과 무천년설이 나뉘어지고, 존재한다면 그리스도의 재림 전이냐 후냐에 따라 전천년설과 후천년설이 나누어진다. 그리스도의 재림이 대 환난 전이냐 후냐에 따라 미래주의적 전천년설과 역사주의적 전천년설이 나뉘어진다. 세대주의적 종말론은 미래주의적 전천년설과 환난전 휴거설이 그 근간을 이루고 있다. 전, 후, 무천년설 사이의 논쟁, 미래주의적 전천년설과 역수자의적 전천년설 사이의 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결론
세대주의는 아담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는 각 세대마다 변화한다는 신념에 근거한 신착 체계이다. 세대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세대주의는 철저하게 성서 제일주의 입장을 휘했고, 서서의 축자 영감과 무오설을 수요했을 뿐만 아니라 성서를 문자적으로 믿었다. 둘째, 내적 통일성을 지닌 신학 체계였다. 세대주의자들은 전체 성경 본문을 일관된 체계 하에 논리적으로 배열하려고 했다. 따라서 세대주의의 장점은 그 체계성에 있다. 셋째, 성경 연구, 경건한 생활, 복음 전도와 선교에 대한 열정과 열망을 촉진하고 증진시켰다.
14장
근본주의 신학
서론
19
Ⅱ. 세대주의 교리
세대주의의 핵심 신조와 신학 개념은 문자적인 성경 해석, 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 환난 전 휴거로 요약된다. 세대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자적 해석 원리를 성경에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다. 스코필드는, 구약성서의 역사는 비문자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예언은 반드시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독특한 교회론은 첫째,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를 엄격히 구분한다. 다비는 이스라엘과 교회는 하늘과 땅, 율법과 은혜처럼 별개라고 주장했다. 세대주의는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모든 언약은 교회가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에게서 무조건 성취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둘째, 세대주의는 교회가 구약 시대에는 존재하지도 예시되지도 않았으며 오순절부터 존재했다고 믿는다. 셋째, 세대주의는 교회의 제한적인 역할만을 인정한다. 세대주의는 교회를 하나님의 원래 구원 계획의 일부로 간주하지 않고 그 중간의 막간극(parenthesis)과 같은 것으로 취급했다. 세대주의는 전천년설과 환난전 휴거설에 근거한 독특한 종말론을 주장한 것이 특징이다. 세대주의의 종말론은 성서에 대한 문자적 해석, 구약 성서 예언의 문자적 성취, 이스라엘과 교회의 이분법을 기본원칙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첫째, 세대주의는 교회의 환난 전 휴거를 주장한다. 대 환난이 시작되기 직전, 교회는 공중으로 휴거되어 재림하시는 그리스도를 맞이하리라는 것이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기본 특징이다. 둘째, 세대주의는 유대적인 천년왕국을 주장한다. 천녀왕국론은 세대주의 전체 체계와 성서 해석의 필수 요소이며 처년ㄴ왕국을 강조하는 것이 세대주의 종말론의 특징이다. 셋째, 세대주의는 천국과 하나님의 나라를 구별한다. 천국은 하나님의 지상적 통치를 말하며, 하나님이 다윗에게 약속한 유대 왕국이다.
Ⅲ. 세대주의 논쟁
세대주의가 그 뿌리를 두었던 프리머드 형제단의 초기 역사는 다비와 뉴턴의 논쟁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논쟁은 대 환난 동안 교회가 어떤 상태에 있을까에 관한 것이다. 양자는 모두 세대에 대한 신앙은 함께 가지고 있었다. 뉴턴은 전통적인 역사주의적 전천년설을 대변했고, 다비는 미래주의적 전천년설을 주장했다. 다비의 재림론의 핵심은 교회의 비밀 휴거론이다. 그리스도의 공중 재림이 비밀리에 있을 것이며 교회는 지상으로부터 비밀리에 휴거된 후 그리스도의 지상 재림이 있게 된다. 뉴턴은 이러한 견해를 맹렬히 반대했다. 성경의 전체 증거와 비밀 휴거는 맞지 않는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비밀 휴거론은 세대주의의 핵심고리가 되었다. 세대주의가 언제 시작되었는가 하는 기원 문제가 논쟁이 되고 있다. 세대주의자들은 그 기원을 사도 시대 혹은 그 이전에서 찾고 있고, 비판가들은 세대주의가 최근에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대주의의 본질과 특징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인데, 성경 해석의 결과로 이스라엘과 교회, 이스라엘을 위한 본문과 교회를 위한 본문의 철저한 분리와 같은 교리가 나왔다. 세대주의와 관련하여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천년왕국의 성격과 시기에 관한 문제이다. 천녀왕국이 존재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천년설과 무천년설이 나뉘어지고, 존재한다면 그리스도의 재림 전이냐 후냐에 따라 전천년설과 후천년설이 나누어진다. 그리스도의 재림이 대 환난 전이냐 후냐에 따라 미래주의적 전천년설과 역사주의적 전천년설이 나뉘어진다. 세대주의적 종말론은 미래주의적 전천년설과 환난전 휴거설이 그 근간을 이루고 있다. 전, 후, 무천년설 사이의 논쟁, 미래주의적 전천년설과 역수자의적 전천년설 사이의 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결론
세대주의는 아담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는 각 세대마다 변화한다는 신념에 근거한 신착 체계이다. 세대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세대주의는 철저하게 성서 제일주의 입장을 휘했고, 서서의 축자 영감과 무오설을 수요했을 뿐만 아니라 성서를 문자적으로 믿었다. 둘째, 내적 통일성을 지닌 신학 체계였다. 세대주의자들은 전체 성경 본문을 일관된 체계 하에 논리적으로 배열하려고 했다. 따라서 세대주의의 장점은 그 체계성에 있다. 셋째, 성경 연구, 경건한 생활, 복음 전도와 선교에 대한 열정과 열망을 촉진하고 증진시켰다.
14장
근본주의 신학
서론
19
추천자료
[기독교와 현대사회] 가이아와 하느님, 에코페미니즘과 신학을 읽고
[신학,소논문] 성막의 제사 양식에 비추어 본 현대 교회교육의 문제점
[해석학]해석학의 의의, 문학적 해석학의 중요성, 문학적 해석학의 의미연관성과 인간적 이해...
예배신학 - 헬무트 틸리케의 예배 신학에 대한 논고
다윗의 언약의 내용을 쓰고 구약에서 이 언약이 차지하는 신학적 중요성을 논하라 그리고 그...
다윗의 언약의 내용을 쓰고 구약에서 이 언약이 차지하는 신학적 중요성을 논하라. 그 것이 ...
‘기독교적 신학’이 지닌 학문의 특징들과 ‘신학의 본질’에 대한 연구
[구약신학] 레위기 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화목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 제사에 대한 제사장의 직무
[구약신학] 레위기 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 제사에 있어서 제사장의 몫
[구약신학] 레위기 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위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산모의 정결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