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의 해부와 생리(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의 해부와 생리(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각 및 평형감각
1. 청각
(1)귀의 역할
(2)귀의 구조
1) 외이
①외이의 위치와 역할
2) 중이
3)내이
(2) 청각로
(3) 음파
(4) 소리의 방향 감각
(5) 청각 장애

2. 평형감각

본문내용

)
④ 0.1 bell? 소리가 나지 않은 것이 아니라 표준소리와 같은 강도의 소리수준
⑤ 음파의 진폭 크면 -> 소리 큼
음파의 진폭 작으면 -> 소리 작음
⑥주기
주기
의미 : 음파 하나의 봉우리와 골짜기
주파수
주기가 1초 동안에 되풀이 되는 수효
CPS 많음
높은 소리
=소리의 높이
CPS 적음
낮은 소리
⑦소리의 강도
청각 한계
청각을 일으킬 수 있는 소리에서 최고의 물리적 강도
감각 한계
소리의 물리적 강도 증가 -> 불쾌감과 기계적 자극 을 받는 느낌이 일어날 때의 소리의 강도
청각의 동적 범위
청각 한계와 감가한계 곡선의 사이
⑧청각의 역치
* 사람이 들을 수 있는ms 주파수 -> 약 20~ 20000 CPS
* 최적 진동수 - 1000~ 3000 CPS
* 노인성 난청 - CPS : 3000~ 4000이상 (연령증가 -> 청각 역치 높아 짐)
(5) 소리의 방향 감각
① 구별 방법
* 두기 사이에서 받아들이는 진폭의 차
* 위상의 차
(음원으로부터 두 귀까지의 거리가 각각 달라서 두 귀에 동시에 도달하지 않는 것)
② 위상의 차
음차
소리 진폭이 차이
위상의 차
저 음
무시 (적음)
크다
고 음
뚜렷 (크다)
적음
③청각의 전도
ㄱ. 공기전도
ㄴ. 골전도
-소리가 외이와 중이를 경우하지 않고 두개골의 진동이 와우각의 림프에 직접전도
ㄷ. 예: 이가 맞부딪히거나 비스켓 씻을 때 유난히 큰 소리가 남!
ㄹ. 청각의 이상
전도음 잘 들림!
=> 중이 이상 즉 전도성 청각소실
공기전도음 안 들림!
골전도음과 공기전도음 모두 안 들림
청신경 잃음
(5) 청각 장애
1) 청각장애의 종류와 특징
전도계 장애
신경성 장애
정의
외이 및 중이에서 소리전도 장애
신경전도로 손상
원인
①외이도가 왁스나 이물질에 의해 막힘
②이소골의 파괴
③중이염의 반복-> 고막 두꺼워짐
④등골->난원창에 비정상적 밀착에 의한 경직
①streptomycin-> 청각장애
②청각신경, 소뇌와 뇌교에 생김
-> 종양과 연수 손상
음차
음차의 방법?
음차진동 -> 앞 이마 부착-> 골전도에 의해 음차에 의해 진음이 들림
음차의 진동음이 들린다
음차의 진동음이 들리지 않는다
2) 청각 역치
*방법 ; 청력계를 이용하여 청각역치 측정
*청각장애경우- 청각역치가 상승하여 소리를 인식하려면 정상인보다 높은 음압을 받아야 됨
2. 평형감각
1) 평형감각 감지 기관 ? 내이의 골성미로
2) 골성미로 내 - 난형낭 구형낭 및 반규관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28
  • 저작시기200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