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사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청계천 복원 사업의 개요
2. 청계천 복원 사업에 거는 기대

Ⅱ. 본론
Ⅱ-1. 청계천 복원사업의 문제점
1. 공사과정상의 문제점
2. 공사 후의 문제점
Ⅱ-2. 문제점의 해결방안
1. 문제점에 따른 해결방안
2. 외국의 성공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태종 11년: 개거공사 시작.
영조: 치수사업 본격화=>하천흐름 직선화.
일제강점기초: 청계천으로 개칭.
1958-1961:복원공사기간. 이 공사로 청계천로와
광교에서 청계천8가에 이르는 고가도로 건설
1967-1976:청계고가도로 건설
2003.7-2005:청계천 일대 복원
청계천 복원사업은…
역사와 환경의 복원이 아닌 자연을 거세한 개발 사업.
묻힌 역사를 찾아낼 수 있는 기회를 개발 일정을 맞추느라 제
대로 된 발굴작업도 못한 채 시멘트로 메워짐.
사업으로 인해 밀려난 노점상과 철거민의 생존권 위험.
복원을 빙자한
‘청계천 개발 사업’
문화와 환경을
내세워
개발을 강행하는
신개발주의의
전형적 예라는 비난
놀랄만한 소식은
개통 전 뉴스에서 지적한 상황이
개통 후 한 달이 넘도록 아직도 미결 상태임
“청계천은 복원되지 않았다. 복원을 내걸고
또 다른 거대한 자연파괴가 자행됐을 뿐이다”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6.3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18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