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지도안
2. 퀴즈
3. 학습평가
2. 퀴즈
3. 학습평가
본문내용
할 수 있는 (전염성)이며 (감염성)인 급성 또는 만성질환입니다. 결핵은 혈류나 임파관을 따라 몸의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가 있는데 (폐)가 가장 침범을 잘 받습니다.
2. 결핵의 예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세가지만 말해보자.
① 결핵 의심 증상 발견시 의사 진찰
② 적절한 환기
③ 면역력 높이기
④ 비씨지 예방 접종
⑤ 마스크 착용
3. 결핵은 유전이 되는가? 되지 않는다면 결핵은 어떻게 전염되는가?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결핵환자의 가족 중에 또 다른 결핵환자가 발생하는 경우는 환자의 몸에서 나온 결핵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 것이지 유전된 것이 아니다.
<형성평가>
1. 결핵의 정의 : 결핵은 결핵균이 우리 몸에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병. 인체의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는 전염성이며 감염성인 급성 또는 만성질환
2. 결핵의 증상 : 미열,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잠잘 때 식은땀, 2주 이상의 잦은 기침, 가래나 객혈을 동반
3. 결핵의 감염과 발병 : 결핵균은 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공기를 통하여 전파.
- 결핵 감염자의 약 5~10%의 사람에게서 결핵이 발병.
- 요즘 청소년들은 무리한 다이어트나 PC방, 학업스트레스, 수면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흡연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져 결핵이 발병.
4. 우리나라 결핵실태
- 우리나라 인구 약 1/3 이상이 결핵감염
- OECD 가입국 중 결핵사망률 및 결핵발생률 1위
- 년간 3000여명이 결핵으로 사망
- 결핵이 20, 30대 젊은 연령층에서 사망원인 순위 9위 기록
5. 결핵의 진단
- 결핵균의 감염여부조사 :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
- 결핵진단 : 엑스선 사진촬영, 결핵균검사
6. 결핵의 치료
- 결핵 치료의 3원칙
① 결핵전문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② 정해진 분량의 약을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복용
③ 6개월에서 18개월 이상 임의 중단 없이 꾸준하게 치료
7. 결핵의 예방
① 결핵 의심 증상 발견시 의사 진찰
② 적절한 환기
③ 면역력 높이기
④ 비씨지 예방 접종
⑤ 마스크 착용
8. Q & A
Q) 결핵은 유전이 되나요?
A) 환자의 몸에서 나온 결핵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 것이지 유전된 것이 아닙니다.
Q) 결핵 환자는 격리해야 하나요?
A) 결핵약을 처음 2주 정도만 꾸준히 복용하면 결핵균이 몸 밖으로 거의 나오지 않아 결핵을 옮길 가능성은 매우 떨어집니다.
Q) BCG 예방접종을 하면 결핵이 걸리지 않는다?
A) BCG 접종은 일반적인 성인결핵은 예방이 안 된다.
Q) 한번 걸리면 면역이 생긴다?
A) 과거 걸린 사람이 치료를 해서 완치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또다시 주변에서 결핵에 옮아 다시 감염될 수도 있다.
Q) 성관계나 키스는 금물이다?
A) 키스나 성관계를 한다고 해서 결핵에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Q) 주변에 결핵환자가 있어 걱정이 되어 X레이 촬영을 했는데 정상으로 나왔다. 괜찮다?
A) 섣부른 판단일 수 있다. 결핵은 최소 2년동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Q) 결핵에 걸리면 미인이 된다?
A) 결핵에 걸리면 미인이 된다고 한다. 결핵에 걸리면 체중이 감소하고 빈혈이 발생해 얼굴이 하얗게 창백해 지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http://www.knta.or.kr/ 대한결핵협회
http://miraeline.net/tuber/ 결핵과의 전쟁
http://tbfree.cdc.go.kr/ 결핵바로알기
http://www.itrc.re.kr/ 국제결핵연구센터
http://dis.cdc.go.kr/ 전염병 정보망
편유장, 「일반인을 위한 결핵가이드」, 고려의학, 2002년
박재석, 「알기쉬운 결핵」, 군자출판사, 2005년
2. 결핵의 예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세가지만 말해보자.
① 결핵 의심 증상 발견시 의사 진찰
② 적절한 환기
③ 면역력 높이기
④ 비씨지 예방 접종
⑤ 마스크 착용
3. 결핵은 유전이 되는가? 되지 않는다면 결핵은 어떻게 전염되는가?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결핵환자의 가족 중에 또 다른 결핵환자가 발생하는 경우는 환자의 몸에서 나온 결핵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 것이지 유전된 것이 아니다.
<형성평가>
1. 결핵의 정의 : 결핵은 결핵균이 우리 몸에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병. 인체의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는 전염성이며 감염성인 급성 또는 만성질환
2. 결핵의 증상 : 미열,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잠잘 때 식은땀, 2주 이상의 잦은 기침, 가래나 객혈을 동반
3. 결핵의 감염과 발병 : 결핵균은 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공기를 통하여 전파.
- 결핵 감염자의 약 5~10%의 사람에게서 결핵이 발병.
- 요즘 청소년들은 무리한 다이어트나 PC방, 학업스트레스, 수면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흡연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져 결핵이 발병.
4. 우리나라 결핵실태
- 우리나라 인구 약 1/3 이상이 결핵감염
- OECD 가입국 중 결핵사망률 및 결핵발생률 1위
- 년간 3000여명이 결핵으로 사망
- 결핵이 20, 30대 젊은 연령층에서 사망원인 순위 9위 기록
5. 결핵의 진단
- 결핵균의 감염여부조사 :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
- 결핵진단 : 엑스선 사진촬영, 결핵균검사
6. 결핵의 치료
- 결핵 치료의 3원칙
① 결핵전문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② 정해진 분량의 약을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복용
③ 6개월에서 18개월 이상 임의 중단 없이 꾸준하게 치료
7. 결핵의 예방
① 결핵 의심 증상 발견시 의사 진찰
② 적절한 환기
③ 면역력 높이기
④ 비씨지 예방 접종
⑤ 마스크 착용
8. Q & A
Q) 결핵은 유전이 되나요?
A) 환자의 몸에서 나온 결핵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 것이지 유전된 것이 아닙니다.
Q) 결핵 환자는 격리해야 하나요?
A) 결핵약을 처음 2주 정도만 꾸준히 복용하면 결핵균이 몸 밖으로 거의 나오지 않아 결핵을 옮길 가능성은 매우 떨어집니다.
Q) BCG 예방접종을 하면 결핵이 걸리지 않는다?
A) BCG 접종은 일반적인 성인결핵은 예방이 안 된다.
Q) 한번 걸리면 면역이 생긴다?
A) 과거 걸린 사람이 치료를 해서 완치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또다시 주변에서 결핵에 옮아 다시 감염될 수도 있다.
Q) 성관계나 키스는 금물이다?
A) 키스나 성관계를 한다고 해서 결핵에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Q) 주변에 결핵환자가 있어 걱정이 되어 X레이 촬영을 했는데 정상으로 나왔다. 괜찮다?
A) 섣부른 판단일 수 있다. 결핵은 최소 2년동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Q) 결핵에 걸리면 미인이 된다?
A) 결핵에 걸리면 미인이 된다고 한다. 결핵에 걸리면 체중이 감소하고 빈혈이 발생해 얼굴이 하얗게 창백해 지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http://www.knta.or.kr/ 대한결핵협회
http://miraeline.net/tuber/ 결핵과의 전쟁
http://tbfree.cdc.go.kr/ 결핵바로알기
http://www.itrc.re.kr/ 국제결핵연구센터
http://dis.cdc.go.kr/ 전염병 정보망
편유장, 「일반인을 위한 결핵가이드」, 고려의학, 2002년
박재석, 「알기쉬운 결핵」, 군자출판사, 2005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