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훈의 문학 세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훈의 문학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작가의 생애

Ⅲ. 심훈의 가치관

Ⅳ. 소설가 심훈

Ⅴ. 시인 심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가. 그에게 빼앗기지 않고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은 벌거벗은 알몸뿐이라는 생각이 덥쳐올 뿐이다. 모든 것을 다 빼앗기고 남은 것은 알몸뿐이라는 피해의식은 그를 자책감에 빠지게 하며, 빼앗긴 것을 되찾는 일에 그 알몸을 희생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희생의식, 속죄양의식은 심훈 시의 전편을 통하여 강하게 드러난다.
매말라 죽어가는 조국을 살리는 길은 우리의 몸과 피를 제물로 바치는 일이 필요하고, 또 그러한 행위야말로 조국을 희생시키는 마지막 붉은 정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대속행위를 통하여 구원을 갈구하는 그의 여기에서 비로소 미래에의 희망을 확신하게 된다. 그는 혹독한 셜실 속에서도 자기희생을 통한 굳은 의지를 가지고 있었기에 눈물만 흘리고 있거나 탄식하기만을 완강히 거부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확신하며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이다. 탄식만 한다고 저절로 민족의 해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니 개미떼처럼 굳게 뭉쳐 굽히지 말고 싸워나가고자 했다.
Ⅵ. 결론
앞에서도 말했듯이 <상록수>는 심훈이라는 작가를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관심을 끌게 해주었고, 일찍부터 문학사의 주목을 받도록 해주었다. 하지만 이 때문에 그의 다른 작품들은 오히려 주목을 받지 못하게 되어 그 가치를 정당히 평가받지 못하게 되고, 급기야 <상록수>조차도 심훈에게 있어서 예외적인 특출한 작품으로 평가되기 까지도 했다. 하지만 <상록수>는 그의 문학적 생애에 있어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그의 영화예술과 <상록수> 이전의 시소설수필 등의 여러 경향이 자연스럽게 수렴된 계기적 작품이다.
또한 그가 영화인으로 활약하였다는 것도 전기적 사실만 강조하였을 뿐, 그의 영화와 소설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심훈의 예술에 대한 인식과 영화예술의 의미, 영화에 대한 정열과 소설과의 연계성, <상록수> 이전의 작품과 <상록수>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면 우리는 ‘심훈’이라는 작가의 중요성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록수>도 중요하지만, 그동안 그 그늘에 묻혀서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다른 작품이나 영화인으로서의 활동과 소설과의 연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그것이 갖는 의미나 가치를 정확히 파악해야만 우리는 심훈의 세계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진, 2005, 현대 소설의 탐구, 박이정
이정우, 2006, 탐독, 아고라
김동인, 현대 단편소설의 분서과 감상, 송정문화사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