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작가의 생애
Ⅲ. 심훈의 가치관
Ⅳ. 소설가 심훈
Ⅴ. 시인 심훈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작가의 생애
Ⅲ. 심훈의 가치관
Ⅳ. 소설가 심훈
Ⅴ. 시인 심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가. 그에게 빼앗기지 않고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은 벌거벗은 알몸뿐이라는 생각이 덥쳐올 뿐이다. 모든 것을 다 빼앗기고 남은 것은 알몸뿐이라는 피해의식은 그를 자책감에 빠지게 하며, 빼앗긴 것을 되찾는 일에 그 알몸을 희생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희생의식, 속죄양의식은 심훈 시의 전편을 통하여 강하게 드러난다.
매말라 죽어가는 조국을 살리는 길은 우리의 몸과 피를 제물로 바치는 일이 필요하고, 또 그러한 행위야말로 조국을 희생시키는 마지막 붉은 정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대속행위를 통하여 구원을 갈구하는 그의 여기에서 비로소 미래에의 희망을 확신하게 된다. 그는 혹독한 셜실 속에서도 자기희생을 통한 굳은 의지를 가지고 있었기에 눈물만 흘리고 있거나 탄식하기만을 완강히 거부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확신하며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이다. 탄식만 한다고 저절로 민족의 해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니 개미떼처럼 굳게 뭉쳐 굽히지 말고 싸워나가고자 했다.
Ⅵ. 결론
앞에서도 말했듯이 <상록수>는 심훈이라는 작가를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관심을 끌게 해주었고, 일찍부터 문학사의 주목을 받도록 해주었다. 하지만 이 때문에 그의 다른 작품들은 오히려 주목을 받지 못하게 되어 그 가치를 정당히 평가받지 못하게 되고, 급기야 <상록수>조차도 심훈에게 있어서 예외적인 특출한 작품으로 평가되기 까지도 했다. 하지만 <상록수>는 그의 문학적 생애에 있어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그의 영화예술과 <상록수> 이전의 시소설수필 등의 여러 경향이 자연스럽게 수렴된 계기적 작품이다.
또한 그가 영화인으로 활약하였다는 것도 전기적 사실만 강조하였을 뿐, 그의 영화와 소설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심훈의 예술에 대한 인식과 영화예술의 의미, 영화에 대한 정열과 소설과의 연계성, <상록수> 이전의 작품과 <상록수>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면 우리는 ‘심훈’이라는 작가의 중요성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록수>도 중요하지만, 그동안 그 그늘에 묻혀서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다른 작품이나 영화인으로서의 활동과 소설과의 연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그것이 갖는 의미나 가치를 정확히 파악해야만 우리는 심훈의 세계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진, 2005, 현대 소설의 탐구, 박이정
이정우, 2006, 탐독, 아고라
김동인, 현대 단편소설의 분서과 감상, 송정문화사
매말라 죽어가는 조국을 살리는 길은 우리의 몸과 피를 제물로 바치는 일이 필요하고, 또 그러한 행위야말로 조국을 희생시키는 마지막 붉은 정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대속행위를 통하여 구원을 갈구하는 그의 여기에서 비로소 미래에의 희망을 확신하게 된다. 그는 혹독한 셜실 속에서도 자기희생을 통한 굳은 의지를 가지고 있었기에 눈물만 흘리고 있거나 탄식하기만을 완강히 거부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확신하며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이다. 탄식만 한다고 저절로 민족의 해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니 개미떼처럼 굳게 뭉쳐 굽히지 말고 싸워나가고자 했다.
Ⅵ. 결론
앞에서도 말했듯이 <상록수>는 심훈이라는 작가를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관심을 끌게 해주었고, 일찍부터 문학사의 주목을 받도록 해주었다. 하지만 이 때문에 그의 다른 작품들은 오히려 주목을 받지 못하게 되어 그 가치를 정당히 평가받지 못하게 되고, 급기야 <상록수>조차도 심훈에게 있어서 예외적인 특출한 작품으로 평가되기 까지도 했다. 하지만 <상록수>는 그의 문학적 생애에 있어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그의 영화예술과 <상록수> 이전의 시소설수필 등의 여러 경향이 자연스럽게 수렴된 계기적 작품이다.
또한 그가 영화인으로 활약하였다는 것도 전기적 사실만 강조하였을 뿐, 그의 영화와 소설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심훈의 예술에 대한 인식과 영화예술의 의미, 영화에 대한 정열과 소설과의 연계성, <상록수> 이전의 작품과 <상록수>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면 우리는 ‘심훈’이라는 작가의 중요성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록수>도 중요하지만, 그동안 그 그늘에 묻혀서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다른 작품이나 영화인으로서의 활동과 소설과의 연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그것이 갖는 의미나 가치를 정확히 파악해야만 우리는 심훈의 세계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진, 2005, 현대 소설의 탐구, 박이정
이정우, 2006, 탐독, 아고라
김동인, 현대 단편소설의 분서과 감상, 송정문화사
추천자료
지평을 넓혀가는 분단문학의 장, 김원일의 작품세계와 마음의 감옥 분석
김소월 문학의 작품세계
[문학교육][반응중심 문학교육][듣기를 통한 문학교육][문학텍스트][문학][문학 담론]문학교...
현대문학사 중간과제 소설감상문, 무정, 은세계, 낙동강, 만세전
윤동주의 생애와 윤동주의 시 세계, 윤동주의 시 분석 및 윤동주의 가치관에 관한 고찰(윤동...
기독교세계관으로 아동문학 보기
(현대문학강독)청록파시인 3인의 시세계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조지훈,박목...
현대문학강독 공통) 청록파시인 3인의 시세계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요
유아 문학작품의 내용과 다양한 세계
[국어교육]고은의 시세계와 「만인보」 - 고은의 시세계 개관 및 만인보의 창작 동기와 문학...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의 생애 및 시대배경과 작품세계를 논하고, 그의 문학의 의의를 서...
[문학과 인간탐구] 디오니소스적 세계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