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기업과 실폐기업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성공한 기업의 사례
# 월마트
# 데스코 닷컴(인터넷 식품 쇼핑몰)

2.실패한 기업의 사례
# 6시그마

본문내용

도 정말이지 믿기 어려운 40%를 넘는 회사였다. 지금의 경상이익은 50%를 넘는다고 한다. 그 기업이 6시그마를 도입할 당시에는 400여명밖에 되지 않는 조직에서 공장 증설로 엄청 바쁠 시기였다. 그 결과, 대다수 임원진이 6시그마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초우량기업인데 굳이 6시그마를 할 이유가 있느냐는 반문이 대부분이었다. 이를 물리친 것은 사장님의 한마디였다. “중이 절이 싫으면 절을 떠나면 되는 것 아니냐?” 그 날 이후 400여명 조직에 6명의 사무국 요원과 상근 블랙벨트 16명 그리고 60여명의 그린벨트가 선정되었다. 또한, 임원진들은 챔피언 워크샵을 통해 전략적인 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지원관리하기 위한 챔피언데이와 6시그마데이 등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그 이후 사장님과 추진 사무국은 좀처럼 찾아보기 쉽지 않은 성공 모델을 만들어가게 되었고 그 결과 `02년 겨울 국내 최초로 기업 내에서 전임직원이 참여하는 6시그마 페스티벌을 개최하게 되었던 것이다. 페스티벌에서 전임직원이 참여하는 퀴즈대회와 골든벨을 울려라 등은 많은 기업에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었다.
또 1~2년 추진한 기업의 경우, 타 기업의 추진사례를 모방하는 수준에서 만족해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2~3년이 지나면 다시 과거로 회귀될 수 밖에 없는 실패를 맛볼 것이다. 6시그마가 기업문화로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우리 회사만의 전략과 시스템, 방법론 등이 조화롭게 내재되도록 연구하고 진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99년 창원의 한 철강회사에서 엄청난 변화가 시작되었다. 1년간의 도입검토와 벤치마킹을 통하여 6시그마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철강회사에서의 6시그마는 최초가 아니었나 싶다. 독특한 것은 약 2년 동안 컨설팅 기관으로부터 전수받은 내용을 연구회를 통하여 회사에 맞는 교재로 재구성하고 현장 말단 직원이 보더라도 이해하기 쉬운 만화 등과 같은 삽화로 교재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또한, 대다수의 기업이 Top-Down을 부르짖고 있을 때 그 기업은 현장 임직원이 변화하지 않으면 절대 영속될 수 없다는 진리를 믿고 현장 6시그마에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얼마 전 방문했을 때 그 기업은 누가 보더라도 6시그마가 생활 그 자체로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6시그마가 도입되다 보니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모든 것을 6시그마 로드맵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괜히 통계적인 방법론과 논리적인 DMAIC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인정받지 못할 것 같은 분위기가 만연해 지고 있다. 그 결과, 꿰어 맞추기 식 혁신으로 전락하게 되고 공감대를 이룰 수 없게 된다. 그 이유는 기업 내 수많은 문제의 해결 방법에는 6시그마가 만병통치약일 수 없으며, 그에 맞는 적절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6시그마의 방법론과 상호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바와 같이 성공한 기업과 실패한 기업은 다들 이유가 있다. 이러한 이유를 분석, 파악해보면 기업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