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의 영향과 대책- Bottom-up approach 의 중요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 연구의 의의.
1 황사의 정의
1.2 황사의 역사적 배경
1.3 황사의 발원지 및 이동경로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와 연구의 방법
3.1. 연구의 범위.
3.1.1 내용의 범위
3.1.2 공간적 범위
3.1.3. 시간적 범위
3.2. 연구의 방법
3.2.1 문헌 조사
3.2.2. 인터뷰

4. 황사현상에 대한 우리의 관점에서의 예상 대책 방안
4.1 황사 발원지의 환경 개선
4.2 재정 지원을 통한 해결책 촉구
4.3 국제적 협력
4.4 일반인들의 인식 제고

5. 환경인식의 framework
5.1 시간과 공간
5.2 위험과 불확실성
5.3 가치와 행동
5.3.1. 가치와 행동의 대상
5.3.2. NGO의 중요성
5.3.2.1 NGO 소개 및 활동

6. 결론

본문내용

서 문제가 생기면 서로 영향을 받게 된다는 사실에 무관심하고 실제로 시민이 활동을 하여 나서지 않는다면, 시민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소용없는 일이 될 것이다.
실천의 한 가지 방도로, 우리나라에서는 사막화와 황사에 대해 연구해 온 지식인, 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일반시민들에게 현재의 동북아 환경의 상황을 알리고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 내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학교와 기업과 같은 단체를 방문하여 교육을 하는 방법과, 어떠한 큰 행사를 빌어 캠페인을 벌이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전에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체계적인 계획과 내용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또 다른 좋은 방법은 몽골에 가서 식림사업에 참여하는 등의 현지체험 및 활동을 다녀오는 것이다. 몽골에 실제 식림사업을 위해 투어를 다녀 온 사람이 인터뷰를 하면서 ‘몽골에, 거대한 중국 땅에 와서 보니, 비로소 한국이 보였다’는 말을 하였다. 열권의 책을 보아도 한 번 체험하고 오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는 뜻과 같이 볼 수 있었는데, 지구에 관한 세계관과 인식이 많이 달라짐을 그 사람이 증명해 주고 있었다.
하지만 환경운동을 위해 타지로 간다는 자체가 머나먼 이야기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에 시민에 대한 환경교육의 커리큘럼으로써 단기간이라도 최종단계로써 현지체험을 설정하고 최대한 시민들과 거리를 좁혀야 하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지금은 우리나라의 경우, 시민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 자체가 대부분 자신이 사는 지역 한 군데로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이 문제다. 위와 같은 교육을 통해 환경에 관한 관심을 동북아로 넓혀 황사의 단순한 문제점을 넘어서 전 지구적으로 바라보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장기간에 걸쳐 천천히 사막화가 해결되어 황사문제 뿐만 아니라 주변의 환경도 변화할 것이란 사실은 자명하다. 또한 관심을 가진 사람이 한 사람뿐만이 아니라 하나, 둘이 모여 사회 전체가 움직이게 된다면 다음으로 우리가 제시할 해결방안이 힘을 발하게 된다.
2. 기업들의 후원과 재정지원을 통해 식림사업을 활발히 해야 한다.
지금도 어느 정도 기업의 후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는 사실은 틀림없다. 앞서 언급했듯, 기업은 이윤추구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환경운동에 동참하기에는 힘든 면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사회구성원들이 강력히 요구하고 환경에 가치를 둔다면 기업 또한 영향을 받아 환경운동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사회 구성원이 곧 그들의 고객이기도 하고, 시민사회가 있기에 기업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 교육을 통해 기업 내에서 인식이 바뀌어 주체적으로 환경운동을 시작 할 수도 있는 일이다.
기업은 NGO 의 활동에 재정적 지원을 해 줄 수 있다. 기업이 직접 나설 수도 있지만, NGO를 통한 지원의 장점은 후원을 통해 어느 나라든 흔쾌히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적으로 지구환경문제에 대해 연구를 해온 단체를 통해 기업과 일반인이 알지 못한 지역의 환경문제를 도와 줄 수 있다. 시장경제로 인해 빈곤한 나라의 소외받은 곳 까지 기업의 이윤추구의 목적을 벗어나 하나의 지구에 같이 사는 시민으로써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황사 문제와 사막화 문제의 경우, 기업의 후원을 통해 식림사업을 한 후에도 나무 관리를 위하여 어느 정도의 기간동안 지속적인 관리비를 내어 줌으로써 진정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 관리를 위해 고용을 하면 일자리 창출로 인해 국제적인 빈곤문제에 까지 좋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시민들의 환경인식이 개선되고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사회가 이루어진다면, 경제 분야를 대표하는 기업들에게 압박을 넣을 수 있다. 하지만 기업에게만 무작정 환경운동에의 참가와 후원을 요구할 수는 없다. 기업에게도 어느 정도의 대가와 혜택이 있어야만 장기적으로 흘러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부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
3. 정부의 정책과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정부의 관료주의적이고, 행정주의적인 입장과, 행동으로 인해, 현재까지 환경문제, 특히 황사, 사막화와 같은 문제들에 있어서는 정부가 커다란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NGO나 시민단체, 또는 기업 등의 활동만으로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이 문제가 국제적으로 얽혀있는 만큼, 국제적인 협력 체결이라든지, 정책적인 해결방안 마련 등 시민 사회나 NGO 가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또 시민단체나 NGO 의 직접적인 후원도 필요하다. 정책적 지원, 또 각 시민 단체의 국제적인 네트워크 마련 등, 이러한 단체들이 활동을 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만 할 것이다.
7. 참고문헌
- 황사, 한중황사연구단, 2004
-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박상필, 2001
- 2001년 봄철 안면도에서 관측된 황사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재천 외, 한국기상학회지, 2002
- SERI 전망 2003, 삼성경제연구소. 2002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황사 현상, 조영신, 2000
-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MULTI-STAKEHOLDER PARTNERSHIPS IN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PREVENTION AND CONTROL
OF DUST AND SANDSTORMS",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 www.unescap.org/esd/subcommittee/english/SESD_4E.pdf
-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http://yellow.metri.re.kr/
- 기상연구소 http://www.metri.re.kr/korea/index.php
- 동아시아 시민네트워크 http://www.mongolia.simin.org/
- Dicer http://www.dicer.org/Webzine/html/08_main5_body.htm

키워드

환경,   황사,   NGO,   중국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