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산정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산정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서 염소가 있으면 산화되어 무색이 되므로 염소의 검출에도 이용된다.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 트리페닐메틸계 색소로 산과 알칼리를 구별하는 지시약으로서 알려져 있다. 화학식 무색 또는 약간 황색을 띤 백색결정이며, 분자량 318.33 녹는점 262~26 4℃ 이다. 고온에서는 승화한다. 에탄올에는 녹지만 에테르에는 잘 녹지 않으며, 물에 는 거의 녹지 않는다. 산성 용액 속에서는 무색이며, pH9 정도에서는 홍적색이 되고, 그보다 pH가 높은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그 색을 유지한다. 그 원인을 트리페닐메틸계 에 특유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탄소원자가 다른 4개의 원자와 결합해 있는 경우에는 무색이고, 다른 3개의 원자와 결합하여 분자가 평면에 가까운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 우에는 색을 지닌다고 하는 성질에 의한다.
식초중의 초산정량
NaOH와 초산(CHCOOH)은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초산(1g 당량은 60g)과 NaOH(1g 당량은 40g)는 ‘당량 대 당량’으로 반응하는데, 다음 식을 참조하여 식초중의 초산 정량에 당량을 이해하도록 한다.
CHCOOH + NaOH → CHCOONa + HO
CHCOOH : NaOH = 60g(1g 당량) : 40g(1g 당량)
CHCOOH 60g ≡ 1N NaOH 1,000ml (NaOH 40g 함유)
CHCOOH 6g ≡ 1N NaOH 1,000ml (NaOH 4g 함유)
CHCOOH 6ml ≡ 1N NaOH 1ml
즉, 0.1N NaOH 용액 1ml는 초산 6mg과 반응한다.
그러므로 식초중의 초산 함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초산함량(%)
V: 0.1N NaOH 용액의 소비량
f= 0.1N NaOH 용액의 농도계수(factor)
Method
1. 시판식초 5g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100ml로 정용했었다.(20배 희석)
2. 0.1N NaOH용액을 조제한 후 농도계수를 구했었다. (f)- 4조 제조
3. 페놀프탈레인에 에틸알코올을 혼합하여 0.1% 페놀프탈레인 알코올 용액을 조제한다. -지시약(만들어진것 사용)
4. 시료(1)을 30ml 채취했었다. (시료량 30g)
5. 채취한 시료에 지시약(3)을 3-5방울 떨어뜨렸었다.
6. 시료(2)로 적정하여 (2)의소비량을 측정했었다.
7. 위 4-6과정을 반복하여 시료(2)의 평균 소비량을 구했었다.
8. (2)의 평균 소비량으로 부터 식초중의 초산함량(%)을 계산했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