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조사를 하게 된 동기)
Ⅱ. 본론(이론적 기초)
1. 애착과 애착행동
2. 애착형성의 단계와 유형
3. 애착형성의 요인
4. Ainsworth의 낯선상황실험
5. 애착장애
1) 반응성 애착장애
2) 분리불안장애
Ⅳ. 결론
Ⅰ. 서론(조사를 하게 된 동기)
Ⅱ. 본론(이론적 기초)
1. 애착과 애착행동
2. 애착형성의 단계와 유형
3. 애착형성의 요인
4. Ainsworth의 낯선상황실험
5. 애착장애
1) 반응성 애착장애
2) 분리불안장애
Ⅳ. 결론
본문내용
있도록 시간을 준다.
6. 부모에게 강한 애착을 보인다.
부모에 대한 애착 행동을 격려해준다. 한 명의 특정 교사가 지속적으로 정서적 표현을 하고 돌본다.
7. 애착을 형성한 사람에 대해 매우 즐거운 감정뿐 아니라 불만족감을 표현한다.
유아의 즐거운 감정을 격려해주고 유아가 불만을 나타낼 때, 달래주거나 노래를 불러준다.
8. 혼자서 무엇을 해보려 한다.
가능하다면 유아가 혼자서 어떤 일을 해보도록 내버려둔다.
9. 유아가 스스로 창안한 놀이를 한다.
유아가 스스로 만든 놀이를 하도록 내버려둔다. 유아를 방해하거나 교사가 주는 놀이를 하도록 하지 않는다.
10. 다른 사람을 모방한다.
유아와 서로를 따라해 보는 놀이를 한다.
예) 입을 크게 벌리기, 혀 내밀기
11. 다른 친구를 인식한다.
유아가 다른 아이에게 말을 하려고 접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2. 움직임 또는 소리를 내어 부모나 교사의 주의를 끈다.
유아가 주의를 끌려고 하는 모든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준다.
13. 부모나 교사와 같이 방에 있으려고 따라 다닌다.
교사가 어디에 있던 유아가 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한다.
유아의 행동/상황
상호작용 방법
14. 낯선 사람에게 쑥스러운 태도를 보인다.
낯선 사람이 있을 때 유아를 안고 안정감을 주도록 한다. 낯선 사람이 유아를 만지거나 가까이 하기 전에 유아가 낯선 이를 만져보고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15. 행복한 감정을 보인다.
유아의 행복한 감정을 나누고 미소를 보여주거나 안아준다.
16. 불안을 나타낸다.
작은 소리로 이야기를 해주고 달래준다. 필요하면 불안을 야기 시키는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17. 특정 장난감이나 사람을 좋아한다.
유아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자주 갖고 놀 수 있도록 해 준다.
18. 애정을 보인다.
미소 짓거나 안아주어 애정표현을 받아주고 반응해준다.
19. 다른 사람과 자발적으로 상호작용하려고 한다.
유아의 행동에 반응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놀아준다. 유아가 다른 아이나 어른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 낯선 사람에게 불안을 느낀다.
유아가 불안을 느끼는 낯선이를 유아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21. 부모나 교사로 하여금 자기 주변에 머무르도록 한다.
유아가 교사를 따라 다닐 수 있도록 내버려둔다. 교실의 어느 곳에서든지 교사를 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한다.
22. 먼저 놀이를 시도한다.
유아가 시작하는 놀이에 반응하고 함께 놀아준다. 예) 짝짝꿍
23. 부모나 교사에게 매달린다.
유아에게 교사가 계속 여기에 있을 거라고 명확하게 말해준다. 잠시 떠날 경우, 곧 돌아와서 다시 놀아줄 것이라고 말해준다.
24. 항상 자신에게 주의와 관심 갖기를 요구한다.
다른 아이와 놀이하거나 돌봐주는 중에도 유아에게 긍정적인 언어표현을 통해 관심을 보여준다.
25.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인식한다.
정서 상태에 따라 일관된 표현을 한다. 예) 즐거움-미소 짓기와 웃음, 화가 났을 때-단호한 목소리와 미소 짓지 않기
26. 낯선 것에 대해 불안 해 한다.
새로운 상황이나 경험을 소개한다. 다른 사람이 유아를 재촉하지 않도록 한다. 유아가 자신의 놀이 상태에 따라 반응하도록 도와준다.
유아의 행동/상황
상호작용 방법
27. 부모나 교사에게 의존하거나 안정감을 얻으려고 한다.
유아의 욕구에 일관성 있게 즉각 반응해준다.
28. 독립적으로 행동하려한다.
유아 스스로 해 볼 수 있도록 내버려둔다. 교사의 도움 없이 할 수 있는 것을 도와주려하지 않는다.
29. 여러 사람에게 각기 다르게
행동한다.
유아가 여러 사람에게 각기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수용해준다.
30. 주의를 끌기 위해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유아가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의 유형을 인식한다. 그러한 행동에 대해 가능한 빠르게 반응해 준다.
31. 특정한 사람에게 쑥스러움을 보인다.
유아가 모든 사람과 상호작용하길 기대하지 않고 원하지 않으면 그 사람과 거리를 유지하고 쳐다보도록 해 준다.
32. 때로 부모나 교사를 거부한다.
유아의 말이나 행동으로 거부하는 표현을 수용해준다. 지속적으로 유아에게 애정표현을 한다.
33.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준거로 다른 사람의 반응을 고려한다.
유아의 행동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을 말이나 표정 또는 몸짓으로 보여준다.
34.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한다.
유아가 필요로 할 때 일관성 있게 도움을 준다. 유아가 자신이 스스로 할 수 없는 일에 대해 도움을 청할 때 칭찬을 해준다. 예) 신발을 묶을 때 당황해 하거나 울지 않고 도움을 청하는 경우
35. 부모나 교사를 기쁘게 하려고 애쓴다.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인 반응을 한다. 유아가 인정받고 싶어 한다는 욕구를 인식하고 유아로 하여금 교사를 도와줄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한다.
36.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부정적 감정을 발산하고 통제할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 준다.
예)점토활동, 신체활동 등
37. 도움을 청한다.
유아가 교사를 하나의 자원처럼 이용하도록 해준다. 도움이 필요하면 도와준다. 무조건 해주지는 않는다.
참 고 문 헌
■손혜숙(1988) 어머니와 교사의 복합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손혜숙(2000) 복합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성과 반사회성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 3호 pp85-97
■이정숙,박지은(2004) 아동의 애착과 자아지각 및 행동문제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3호 pp149-168
■정서장애아 행동치료 교육 / 1995년 / 12월 / pp. 167-223.
■ 김태련 외 (2003) 발달장애 심리학, 학지사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998) Your Child
■Kaplan HI, Sadock BJ (1998) Synopsis of Psychiatry. 8th edition
■정서장애아 행동치료 교육 / 1995년 / 12월 / pp. 167-223. (p.224)
■애착장애의 치료
■아동정신 병리 / 2001년 / 1월 / p.184
6. 부모에게 강한 애착을 보인다.
부모에 대한 애착 행동을 격려해준다. 한 명의 특정 교사가 지속적으로 정서적 표현을 하고 돌본다.
7. 애착을 형성한 사람에 대해 매우 즐거운 감정뿐 아니라 불만족감을 표현한다.
유아의 즐거운 감정을 격려해주고 유아가 불만을 나타낼 때, 달래주거나 노래를 불러준다.
8. 혼자서 무엇을 해보려 한다.
가능하다면 유아가 혼자서 어떤 일을 해보도록 내버려둔다.
9. 유아가 스스로 창안한 놀이를 한다.
유아가 스스로 만든 놀이를 하도록 내버려둔다. 유아를 방해하거나 교사가 주는 놀이를 하도록 하지 않는다.
10. 다른 사람을 모방한다.
유아와 서로를 따라해 보는 놀이를 한다.
예) 입을 크게 벌리기, 혀 내밀기
11. 다른 친구를 인식한다.
유아가 다른 아이에게 말을 하려고 접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2. 움직임 또는 소리를 내어 부모나 교사의 주의를 끈다.
유아가 주의를 끌려고 하는 모든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준다.
13. 부모나 교사와 같이 방에 있으려고 따라 다닌다.
교사가 어디에 있던 유아가 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한다.
유아의 행동/상황
상호작용 방법
14. 낯선 사람에게 쑥스러운 태도를 보인다.
낯선 사람이 있을 때 유아를 안고 안정감을 주도록 한다. 낯선 사람이 유아를 만지거나 가까이 하기 전에 유아가 낯선 이를 만져보고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15. 행복한 감정을 보인다.
유아의 행복한 감정을 나누고 미소를 보여주거나 안아준다.
16. 불안을 나타낸다.
작은 소리로 이야기를 해주고 달래준다. 필요하면 불안을 야기 시키는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17. 특정 장난감이나 사람을 좋아한다.
유아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자주 갖고 놀 수 있도록 해 준다.
18. 애정을 보인다.
미소 짓거나 안아주어 애정표현을 받아주고 반응해준다.
19. 다른 사람과 자발적으로 상호작용하려고 한다.
유아의 행동에 반응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놀아준다. 유아가 다른 아이나 어른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 낯선 사람에게 불안을 느낀다.
유아가 불안을 느끼는 낯선이를 유아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21. 부모나 교사로 하여금 자기 주변에 머무르도록 한다.
유아가 교사를 따라 다닐 수 있도록 내버려둔다. 교실의 어느 곳에서든지 교사를 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한다.
22. 먼저 놀이를 시도한다.
유아가 시작하는 놀이에 반응하고 함께 놀아준다. 예) 짝짝꿍
23. 부모나 교사에게 매달린다.
유아에게 교사가 계속 여기에 있을 거라고 명확하게 말해준다. 잠시 떠날 경우, 곧 돌아와서 다시 놀아줄 것이라고 말해준다.
24. 항상 자신에게 주의와 관심 갖기를 요구한다.
다른 아이와 놀이하거나 돌봐주는 중에도 유아에게 긍정적인 언어표현을 통해 관심을 보여준다.
25.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인식한다.
정서 상태에 따라 일관된 표현을 한다. 예) 즐거움-미소 짓기와 웃음, 화가 났을 때-단호한 목소리와 미소 짓지 않기
26. 낯선 것에 대해 불안 해 한다.
새로운 상황이나 경험을 소개한다. 다른 사람이 유아를 재촉하지 않도록 한다. 유아가 자신의 놀이 상태에 따라 반응하도록 도와준다.
유아의 행동/상황
상호작용 방법
27. 부모나 교사에게 의존하거나 안정감을 얻으려고 한다.
유아의 욕구에 일관성 있게 즉각 반응해준다.
28. 독립적으로 행동하려한다.
유아 스스로 해 볼 수 있도록 내버려둔다. 교사의 도움 없이 할 수 있는 것을 도와주려하지 않는다.
29. 여러 사람에게 각기 다르게
행동한다.
유아가 여러 사람에게 각기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수용해준다.
30. 주의를 끌기 위해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유아가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의 유형을 인식한다. 그러한 행동에 대해 가능한 빠르게 반응해 준다.
31. 특정한 사람에게 쑥스러움을 보인다.
유아가 모든 사람과 상호작용하길 기대하지 않고 원하지 않으면 그 사람과 거리를 유지하고 쳐다보도록 해 준다.
32. 때로 부모나 교사를 거부한다.
유아의 말이나 행동으로 거부하는 표현을 수용해준다. 지속적으로 유아에게 애정표현을 한다.
33.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준거로 다른 사람의 반응을 고려한다.
유아의 행동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을 말이나 표정 또는 몸짓으로 보여준다.
34.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한다.
유아가 필요로 할 때 일관성 있게 도움을 준다. 유아가 자신이 스스로 할 수 없는 일에 대해 도움을 청할 때 칭찬을 해준다. 예) 신발을 묶을 때 당황해 하거나 울지 않고 도움을 청하는 경우
35. 부모나 교사를 기쁘게 하려고 애쓴다.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인 반응을 한다. 유아가 인정받고 싶어 한다는 욕구를 인식하고 유아로 하여금 교사를 도와줄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한다.
36.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부정적 감정을 발산하고 통제할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 준다.
예)점토활동, 신체활동 등
37. 도움을 청한다.
유아가 교사를 하나의 자원처럼 이용하도록 해준다. 도움이 필요하면 도와준다. 무조건 해주지는 않는다.
참 고 문 헌
■손혜숙(1988) 어머니와 교사의 복합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손혜숙(2000) 복합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성과 반사회성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 3호 pp85-97
■이정숙,박지은(2004) 아동의 애착과 자아지각 및 행동문제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3호 pp149-168
■정서장애아 행동치료 교육 / 1995년 / 12월 / pp. 167-223.
■ 김태련 외 (2003) 발달장애 심리학, 학지사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998) Your Child
■Kaplan HI, Sadock BJ (1998) Synopsis of Psychiatry. 8th edition
■정서장애아 행동치료 교육 / 1995년 / 12월 / pp. 167-223. (p.224)
■애착장애의 치료
■아동정신 병리 / 2001년 / 1월 / p.184
추천자료
보울비의 애착이론 중 안정애착에 대하여 설명하고 안정애착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자신의 견...
애착의 형성과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애착이론에 대하여 정리하고 애착형성과정에 문제...
[부모교육] 애착이론 학습을 통한 부모교육 내용의 효율성 기여_ 애착이론의 배경과 발전, ...
아동의 애착형성은 아동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다. 애착이론 3가지(안정, 불안정, 혼돈애착)에 ...
[영아발달 보육] 영아의 애착발달 - 애착발달 이론, 애착유형과 애착반응, 영아의 애착발달, ...
매리 에인스워스 (메리 애인스워스 / Mary Ainsworth)의 낯선 상황 실험’에서 애착유형 3가지...
영유아기 애착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애착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를 조사한 후 ...
[영유아발달] ≪애착(愛着)과 애착이론(愛着理論)≫ 애착의 정의와 애착이론의 비교 {정신분석...
영유아기 애착의 의미와 중요성,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맞벌이 가정 양육모에 적합한 애...
영아기 안정애착 형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교사 영아 간 안정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
[애착장애 진단의 평가] 낯선상황절차(SPP, 낯선상황실험), 성인애착면접(AAI), 놀이를 통한 ...
[가족생활家族生活교육] 애착의 정의와 유형(분리불안, 안정애착, 불안정애착) 및 애착의 단...
[반응성애착장애] 반응성 애착장애의 특징(특성)과 진단준거(진단방법), 반응성애착장애의 검...
성인의 기질이나 애착을 검사하는 질문지를 찾아 자신의 기질이나 애착을 조사하고 고찰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