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줄거리
2. 역사적 시점
3. 남북전쟁에 관하여
1) 원인
2) 짐행과정
3) 결과
2. 역사적 시점
3. 남북전쟁에 관하여
1) 원인
2) 짐행과정
3) 결과
본문내용
버그에 포진한 남군을 포위한 지 9개월만인 65년 4월 그랜트는 마침내 남군전선을 돌파하는 한편 파이브폭스에서의 측면공략에도 성공하였다. 전사자와 도망병 때문에 2만 5000명으로 약화된 노스버지니아 군단이 서쪽으로의 퇴로마저 차단되자 리는 더 이상의 저항이 부질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최후의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항복하기로 결심한 리는 그랜트에게 편지를 보내어 회견을 요청하였다. 4월 9일 애퍼매턱스 코트하우스에서 양군의 최고사령관인 그랜트와 리의 회견이 이루어져, 4월 12일 남군의 항복이 정식으로 인정됨으로써 전쟁은 끝났다.
3) 결과
전쟁은 예상외로 장기화한 데다가 그 양상은 대단히 심각하고 격렬한 것이었다. 남북 쌍방이 입은 인명피해는 막대하여 북부는 총동원수 200만 명 가운데 전사자 36만 명, 남부는 60∼70만 명 가운데 전사자 25만여 명으로 추정되었다. 패배한 남부는 여러 면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었다. 남부의 대부분은 전화로 황폐화되고, 1863년 1월 1일 발표된 노예해방선언으로 그 전통적 경제구조는 근본적으로 무너졌으며, 공업면에서 앞선 북부의 식민지적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종전 직후인 4월 14일 링컨이 노예해방반대론자인 부드에 의한 흉탄에 쓰러지자 그가 주장하던 관대한 남부 재건안은 묵살되었기 때문에 남부는 군정하에 놓이게 되고, 북부의 억압 밑에 놓이지 않으면 안 되었다. 77년까지는 차례로 연방복귀가 완료되었으나, 자부심이 강한 남부기질로서는 견딜 수 없는 굴욕적 경험이 북부의 공화당을 용납할 수 없어 민주당을 무조건 지지하는 솔리드 사우스(결속한 남부)를 탄생하게 하였다.
3) 결과
전쟁은 예상외로 장기화한 데다가 그 양상은 대단히 심각하고 격렬한 것이었다. 남북 쌍방이 입은 인명피해는 막대하여 북부는 총동원수 200만 명 가운데 전사자 36만 명, 남부는 60∼70만 명 가운데 전사자 25만여 명으로 추정되었다. 패배한 남부는 여러 면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었다. 남부의 대부분은 전화로 황폐화되고, 1863년 1월 1일 발표된 노예해방선언으로 그 전통적 경제구조는 근본적으로 무너졌으며, 공업면에서 앞선 북부의 식민지적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종전 직후인 4월 14일 링컨이 노예해방반대론자인 부드에 의한 흉탄에 쓰러지자 그가 주장하던 관대한 남부 재건안은 묵살되었기 때문에 남부는 군정하에 놓이게 되고, 북부의 억압 밑에 놓이지 않으면 안 되었다. 77년까지는 차례로 연방복귀가 완료되었으나, 자부심이 강한 남부기질로서는 견딜 수 없는 굴욕적 경험이 북부의 공화당을 용납할 수 없어 민주당을 무조건 지지하는 솔리드 사우스(결속한 남부)를 탄생하게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