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 제기
2-1. 태아의 생명권과 낙태
2-2. 태아의 삶의 질과 낙태
3. 여성의 인권과 낙태
(1)인권으로서의 낙태권
(2)프라이버시권으로서의 낙태권
(3)평등권으로서의 낙태권
(4) 낙태규제의 자기 통합성 침해
4. 마무리
2-1. 태아의 생명권과 낙태
2-2. 태아의 삶의 질과 낙태
3. 여성의 인권과 낙태
(1)인권으로서의 낙태권
(2)프라이버시권으로서의 낙태권
(3)평등권으로서의 낙태권
(4) 낙태규제의 자기 통합성 침해
4. 마무리
본문내용
보지 않고 아무 말 없이 자기 몸을 망쳐가면서 낙태를 할 수 있었다. 이것이 과연 ‘여성의 선택권’이라 불릴 수 있는 것일까? 이런 잔인한 권리는 너무 많이 허용되었다. 사실 필요한 것은 도움이다. 낙태를 하지 않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도, 제도도 , 문화도 없었다. 생물학적 조건, 섹슈얼리티, 사회적 조건, 양육, 어머니 노릇을 비롯한 모든 선택지들이 고려된 후에야 우리는 여성의 선택권에 대해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태아에 생명권이 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도 필요하다. 신학적 인간학에서 말하는 죽음과도 같은 삶을 사는 것이 생명권을 부여받은 태아의 시작인 것인가? 이제껏 이루어졌던 담론에 대한 심도 있고 다양한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이 발표를 통해 조원은 물론 수강자들 모두가 진지하게 관심을 갖고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참고 자료>
구영모 (1996) “임신중절은 생명권을 침해하는가?”, 『哲學論究』제 24집
이병화 (2006)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인문과학연구』.
제12호. pp105-137
전기철 (2006) “낙태, 비난할 것인가 막을 것인가”. 『활천』. 제634호. pp50-53.
도미향.김영희 (2004) 청소년의 낙태의식과 태도에 관한 복지적접근.『청소년복지연구』. 제6호. pp 115-128
연구원자료 (2000), “한국의 낙태현실과 낙태반대운동”. 『상담과 선교』. 제8호.
pp 81-95.
이숙경 (1992), “낙태논쟁에 왜 여성의 목소리는 없는가”. 월간『길』. 11월호.
pp 212-217.
양현아 (2005), "여성 낙태권의 필요성과 그 함의" 『한국여성학』 제 21권 1호
박숙자 (2001), "여성의 낙태 선택권과 입법과제 연구" 『한국여성학』제 17권 2호
구인회 (2002), 『생명윤리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양현아(2005), 『낙태죄에서 재생산권으로』, 사람생각
한국일보 2001년 10월 12일 [설문] 대학생 사후피임약시판 즉각 허용해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8&article_id=0000103915§ion_id=102&menu_id=102
헤럴드경제 2007년 3월 19일 <기획-2007 여대생>두려워도 여전히 피임에는 ‘소홀’ 기사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7/03/19/200703190211.asp
경향신문 2007년 5월 16일, <싱어교수“생명은 신성하지만 안락사 낙태도 필요”>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5161802571&code=960100
http://sigma101.nazip.net/menu_7_data/abortion.htm
http://cafe.naver.com/hufsfamil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6
<참고 자료>
구영모 (1996) “임신중절은 생명권을 침해하는가?”, 『哲學論究』제 24집
이병화 (2006)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인문과학연구』.
제12호. pp105-137
전기철 (2006) “낙태, 비난할 것인가 막을 것인가”. 『활천』. 제634호. pp50-53.
도미향.김영희 (2004) 청소년의 낙태의식과 태도에 관한 복지적접근.『청소년복지연구』. 제6호. pp 115-128
연구원자료 (2000), “한국의 낙태현실과 낙태반대운동”. 『상담과 선교』. 제8호.
pp 81-95.
이숙경 (1992), “낙태논쟁에 왜 여성의 목소리는 없는가”. 월간『길』. 11월호.
pp 212-217.
양현아 (2005), "여성 낙태권의 필요성과 그 함의" 『한국여성학』 제 21권 1호
박숙자 (2001), "여성의 낙태 선택권과 입법과제 연구" 『한국여성학』제 17권 2호
구인회 (2002), 『생명윤리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양현아(2005), 『낙태죄에서 재생산권으로』, 사람생각
한국일보 2001년 10월 12일 [설문] 대학생 사후피임약시판 즉각 허용해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8&article_id=0000103915§ion_id=102&menu_id=102
헤럴드경제 2007년 3월 19일 <기획-2007 여대생>두려워도 여전히 피임에는 ‘소홀’ 기사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7/03/19/200703190211.asp
경향신문 2007년 5월 16일, <싱어교수“생명은 신성하지만 안락사 낙태도 필요”>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5161802571&code=960100
http://sigma101.nazip.net/menu_7_data/abortion.htm
http://cafe.naver.com/hufsfamil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6
추천자료
태아의 민법상지위
태아의 법적지위에 관한 고찰
태아의 생명보호와 인간복제 문제
[사회과학]여성인권(성매매특별법)
태아의 권리능력의 내용과 취득시기 및 민법상 태아가 권리능력을 가지는 범위에 관한 논의(...
[영화 감상문] 더 월 (The Wall) 과 낙태권
[성심리학] 임신과정, 수유, 피임, 낙태에 대한 모든 것 (2012년 추천 우수)
인간성장발달 중 태아기 발달에 대해 알아보고, 태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책에 대...
임신에 필요한 지식의 결핍 - 임신한 여성이 담배와 술을 접한 사례 (임신한 여성의 흡연과 ...
태아기의 발달특성과 사회복지실천 (발달의 특성, 태아기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 태아기의 ...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대해서 논하시오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대하여 논술하시오.
우리는 태아기에 대하여 공부하였습니다 세상에는 가정 안에서 축복받으면서 생겨나는 아기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