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자일리톨F 마케팅 실패와 극복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롯데자일리톨F 마케팅 실패와 극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선정이유
2. 롯데제과
2-1. 회사 소개
2-2. 롯데의 명칭 탄생 배경
2-3. 롯데제과의 윤리경영
2-4. 회사 CI
2-5. 회사 연혁
2-6. 롯데의 대표적인 껌
2-7. 국내 껌시장의 규모와 자일리톨의 위치
3. 자일리톨 소개
3-1. 자일리톨 이란?
3-2. 자일리톨의 효과
3-3. 자일리톨껌
3-4. 자일리톨껌의 도입배경

Ⅱ ‘자일리톨F’의 실패요인 분석
1. SWOT 분석
2. STP 분석
3. 4P 분석

Ⅲ 자일리톨껌 재출시 성공 (Remarketing)

Ⅳ 현재 자일리톨껌의 현위치와 나아갈 방향

Ⅴ 시사점

본문내용

대 정보사회에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기업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이 기업 위험을 극복하는 방법은 모든 사원들이 자기 혁신을 통한 기업윤리를 강화하여 \"윤리경영\"을 실천하여 기업혁신을 이루는 길밖에 없다. 21세기는 윤리수준이 높은 기업이 많은 이익을 거둘 수 있는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이 요구되는 시대로서, 윤리수준과 이익 수준이 함께 높은 기업이 21세기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 롯데제과는 윤리강령 및 윤리행동준칙을 제정하여 윤리경영을 실현하여 21세기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하여 \"고객, 임직원, 협력회사 및 주주\"가 성과와 가치를 다함께 나누고자 한다.
2-4. 회사 CI
수직의 세 기둥은 죽순처럼 돋아나며 힘차게 약진하는 기업의 힘을, 가로의 물결표시는 대양을 향해 뻗어나가는 개척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가 결합되어 나타난 3개의 \'L\'은 Life - Love - Liberty 를 상징한다.
○ LOVE
서로 사랑하며 따뜻하게 감싸주는 사회
● LIBERTY
모두가 자유롭게 제 할일을 하는 사회
○ LIFE
다같이 풍요를 누리며 즐겁게 사는 사회
2-5. 회사 연혁
① 1960~1970년대: 창립 및 제과업체로의 기반 정착기
-4월 3일 롯데제과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갈원동 공장에서 생산을 개시하였다. 1년 후에 전국 5개 도시에 출장소를 개설하였다. 1968년엔 공장에서 껌 베이스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73년에 롯데제과를 상장을 하고 곧 초콜릿 생산 도 시작하였다.
② 1980년대: 세계의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도약기
-1984년에 LA에 지사를 설립하였다. 1988년에는 서울 올림픽공식 공급 업체로 선정이 되었다. 세계의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꾸준히 수출을 한 결과로 1989년엔 수출 1천만 불 탑을 수상하였다.
③ 1990년대~현재: 세계의 중심으로
-1992년에 북경 지사 설치를 출발으로 90년대에는 꾸준히 세계로 진출하는 롯데제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997년, 중국에 롯데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고 필리핀 및 모스크바로 진출하였다. 90년대 후반에
나뚜루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금강산에서 최초로 빙과 사업을 개시하였다.
2-6. 롯데의 대표적인 껌
① 쥬시후레쉬, 스피아민트, 후레쉬 민트
롯데껌 3총사라 불리는 국내 최장수껌 제품으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 롯데껌의 대표이다.
멕시코산 치클로 만든 부드러운 촉감의 츄잉껌이다
출시: 1972년
가격: \\300/팩
② 후라보노
녹차추출무르 동클로필린나트퓸, 배 추출물이 입냄새를 제거
출시: 1990년
가격: \\300/팩
③ 자일리톨
국내 최초로 자일리톨 소재를 사용한 충치예방 껌
대한 치과의사협회가 인증
출시: 2000년
가격: \\500
2-7. 국내 껌시장의 규모와 자일리톨의 위치
당시 껌 시장은 춘추전국 시대였다.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던 껌 시장은 1997년 전체매출 1,93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이때까지 껌 시장은 쥬시후레시, 스피아민트, 후레시민트, 아카시아껌 등 전통의 강호 와 90년대 초반 등장한 후라보노, 센스민트, 덴티큐 등 기능성을 강조한 신흥 맹주로 양분해 있었다.
기능성 껌은 설탕 대신 솔비톨을 넣어 단맛을 내고 충치 예방 효과가 있음을 강조했지만, 맛이 없는 껌은 곧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이때 등장한 것이 자일리톨이다. 롯데가 자일리롤껌을 출시한 이듬해인 2001년 해태제과와 오리온도 자일리톨을 주성분으로 한 껌을 내놓았고, 그 해 전체 껌 시장 규모(2,500억원)의 50% 이상을 자일리톨껌이 차지했다. 이후 2002년 1,800억원, 2003년 2,25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체 시장 매출의 60%를 뛰어넘었다.
<표1> 자일리톨 출시이후 껌 전체시장 대 롯데 자일리톨의 매출
3. 자일리톨 소개
3-1. 자일리톨이란?
자일리톨은 천연 소재 감미료로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내며 뛰어난 청량감을 준다. 채소나 야채 중에 함 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는 포도당 대사의 중간물질로 생성 된다. 상업적으로는 자작나무나 떡갈나무 등 에서 얻어지는 자일란, 헤미셀룰로스 등을 주 원료로 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그 주산지는 임산 자원이 풍부 한 핀란드이다.
자일리톨이 만들어지는 최초의 원료인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는 화학적으로 자일로스(D-xylose)의 다당체인 자일란(xylan)을 말한다. 자일란은 모든 종류의 활엽수(자작나무, 너도밤나무 등),쌀, 소맥, 보리 짚, 옥수수의 이삭 등에 포함되어 있다. 이 자일란을 가수분해하여 D-자일로스를 만들고 이를 환원시킨 것이 자일리톨이다.
현재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핀란드나 미국산 자일리톨은 자작나무 등의 나무 칩을 갈아 자일란을 분리한 뒤 가수분해하여 자일로스를 만들고, 마지막으로 환원시켜 제조하는데 현재로서는 이 방법이 가장 경제적이며 수율과 순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작나무에서 주로 추출하기 때문에 자일리톨을 한자로는 목당(木糖)이라고 부르며 핀란드에서는 자작나무 설탕(birch tree sugar 혹은 birch sugar)이라고 부른다. 마치 과일에 있는 당분을 果糖(fruit sugar), 포도의 단맛은 포도당(葡桃糖)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중국의 경우 폐기되는 옥수수 속대를 수거하여 자일란을 분리, 가수분해하여 다량의 자일로스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참고) 핀란드
※ 핀란드에서는 자일리톨을 이렇게 부른다. 뿌르까(Purkka)는 자일리톨을 아기들이 부르기 쉽게 만든 유아용어 이다.
자일리톨은 현재 대부분 핀란드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원래는 독일의 과학자가 발견한 물질이고 자일리톨의 독일식 발음은 키실리톨 혹은 크실리톨(Ksylitol)이다. 핀란드에서는 모든 외래어에는 단어 끝에 아이(i) 를 붙이는 습관이 있다. 독일에서 유래된 씰리톨은 핀란드 기준으로 보면 외래어가 되므로 단어 끝에 i 를 붙여 씰리톨리(ksylitoli) 가 되버렸다.
일본은 독일의 영향을 받아 자일리톨을 키실리톨로 부르며 미국이나 영국식 발음으로는 자일리톨이 된다.
미국사람(양키)이 씹는 것이라 하여 핀란드의 최대 껌 브랜드는 Jenkki(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7.07.1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