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이해 - 대승기신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의 이해 - 대승기신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승기신론 이란?

Ⅱ. 인연분(因緣分)

Ⅲ. 입의분(立義分)

Ⅳ. 해석분(解釋分)

Ⅴ.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Ⅵ.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본문내용

말하지 않고 기어(綺語)하지 않으며, 탐질(貪嫉),기사(欺詐),첨곡(諂曲),진에(瞋),사견(邪見)을 멀리 여의는 것이다.
어떻게 인문을 수행하는가? 소위 응당 타인의 괴롭힘을 참아서 마음에 보복할 것을 생각하지 않으면, 또한 마땅히 이익과 손해, 비난과 명예, 칭찬과 기롱, 괴로움과 즐거움 등의 법을 참고 견디기 때문이다.
어떻게 진문을 수행하는가? 소위 모든 선한 일에 마음이 게으르거나 주저함이 없어서 마음먹은 것이 굳세고 강하여 겁약을 멀리 여의고, 마땅히 과거의 구원(久遠)한 때로부터 헛되이 일체의 모과 마음의 큰 고통을 받아 아무런 이익이 없음을 생각하여야 하며, 이 때문에 응당 모든 공덕을 부지런히 닦아 자리.이타하여 빨리 모든 고통을 여의어야 하는 것이다.
⑵ 지관문(止觀門)
어떻게 지관문을 수행하는가? 지라 하는 것은 모든 경계상을 그치게 함을 말하는 것이니 사마타관을 수순하는 뜻이기 때문이요, 관이라고 하는 것은 인연생멸상(因緣生滅相)을 분별함을 말하는 것이니 비발사나관(毗鉢舍那觀)을 수순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Ⅵ.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여기서는 이논을 믿고 닦으면 막대한 이익이 있으리라는 것을 말하였다.
① 만일 어떤 중생이 여래의 매우 깊은 경계에 대하여 바른 믿음을 내어서 비방(誹謗)을 멀리 여의고 대승도에 들고자 한다면 마땅히 이 논을 가지고 사량(思量).수습(修習)하면 구경에 무상도(無上道)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사람이 이 법을 듣고 나서 겁약한 마음을 내지 않으면 이사람은 틀림없이 부처의 종자를 이어서 반드시 모든 부처에게 수기(授記)하는 바가 됨을 알아야 할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17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