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히 시야에 방해를 준다.
e.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은 타 오염물질(NOx, SOx 등)을 운반하는 작용을 하므로 피해의 양상은 더욱 가중된다.
●각종 호흡기 질환
연무질 상태의 자극성 먼지가 폐포에 도달하여 유독성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진폐증이라 하며, 각종 폐질환을 들 수 있다.
진폐증이란 광물성 분진을 흡입함으로 폐에 생기는 섬유증식성 변화를 주증상으로 하는 질병을 말한다. 진폐증은 병을 일으키는 먼지의 성분에 따라 탄폐, 규폐, 석면폐, 베르륨폐, 활석폐, 알미늄폐, 면폐, 용접공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로 직업병으로 많이 알려져 있고, 재해근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석탄광부폐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석탄광부폐증은 주성분에 따라 탄폐증과 규폐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진폐증은 작업환경 악화로 발병되는 직업병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0.5∼5.0㎛ 크기의 광물성 분진이 폐에 침착하므로 발병한다.
a. 석면폐증 ; 석면(석면 내 Mg에 의해)에 의한 용혈 작용으로 적혈구의 증가
b. 면폐증 ; 방적공장 등에서 원면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질환
c. 규폐증 ; 광산에서 유기 규산으로 인한 질환
3.신장독성유발물질
신장은 인체의 하수구와 같다. 하수구가 막히면 쓰레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듯이 신장이 신석으로 막혀있으면 체내의 독소는 배출되지 않고 몸에 쌓이게 된다. 신장을 청소한다는 말을 여기서는 신장의 결석을 제거해 준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신석은 아주 작은 결정체로 시작하는데 작은 입자의 상태로 있을 때는 엑스레이상으로도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신체적으로도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등한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차차 밀집도가 높아져 크기가 크게 변할 때 임상적인 의미를 갖게된다. 신석은 용해가 잘 되지 않는 비교질물질에서 만들어지는데 주로 일곱가지(이인산칼슘, 일인산칼슘, 삼인산칼슘, 시스테인, 시스틴, 수산염, 요산)의 결정체들을 형성한다. 이 결정체들은 체내로 유입되는 화학물질이나 중금속 등과 함께 세뇨관에 침착되어 독성 배출을 부분적으로 봉쇄한다. 이것은 결국 인체 세포조직에 수분 흡착을 유도한다. 결석이 많을수록 독성의 배출량은 줄어들고 팔, 다리의 관절과 동맥내부 같은 기관에 독성불순물이 침전되어 결국 경화증을 유발한다. 수산 결정체는 요통을, 요산은 발가락 통증을, 인산은 다른 관절 통증을 각각 일으킨다. 그러나 결석 자체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고 세균이 이런 영양가 있는 침전물에 찾아가 통증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요통, 다리통증, 수족통증, 통풍 등이 있다. 여기서 특히 유의할 점은 침착물들의 세뇨관 봉쇄로 말미암아 중금속이 신장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치아충전에서 생긴 수은과 니켈은 신장의 세뇨관을 통해 계속 배설되어야 하는데 신장이 나이가 들어 기능이 약화되면 배설에 문제가 생긴다. 거기에다 독성 혼합물이 배설량 이상으로 들어올 때 그 독성물질들은 이미 그곳에 침착되어 있는 다른 독성물질에 달라붙어 신장 속에 독성 덩어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신장결석이다. 이 신석이 존재하는 한 체내의 화학물질이나 중금속의 배설은 어렵게되고 인체 장기기능은 물론 면역기능에도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된다. 신장의 독소는 서양약초를 사용해 제거할 수 있고, 마그네슘 옥사이드, 비타민 B6 등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4.간독성 유발물질
간에 대한 화학적장애여부는 독성물질의 종류와 독성정도 노출형태등에 의해 결정된다. 간의 손상이 기본적인 형태에는 지방간, 괴사, 담즙분비이상, 간기능장애, 바이러스성간염, 간경화, 종양등을 들수있다. 금속 유기물질 그리고 약품들은 지방간과 간 괴사를 유발한다. 작업장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은 가장 대표적인 예는 호흡기를 통하여 순환계로 들어가는 휘발성 할로겐탄화수소의 증기에 노출되는 겨우를 들수있다. 그러나 간독성 유발물질은 위장관계로 들어간 다음 미립자 형태로 간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간독성물질을 흡입할 경우 기관지나 장기에서 구강으로 배출되어 침과 함께 삼켜질수도 있다. 동물실험에서 간경화를 몇몇의 발암물질과 사염화탄소에 대란 만성적 노출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을음 밝혀졌다. 사람에 있어서 가장 빈번한 간경화의 원인은 많은 양의 알코올을 만성적으로 섭취하는 경우이다. 수많은 자연적 또는 합성의 화학물질이 동물에게 간암을 일으키지만 인간에게 있어서 간암의 이환율은 낮다. 직업과 관련된 감암중 가장 주목을 받는 경우는 폴리비닐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염화비닐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 나타나는 희귀한 혈관 악성종양인 혈관육종이다.
참고문헌 :
1. 국립환경연구원, (199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 김희강외, (1993), 대기오염개론, 동화기술.
3. 에너지경제연구원, (1994), 에너지통계연보.
4. 전국환경관리인연합회, (1994), 환경관계법규, 홍문관.
5. 환경부, (1995), 대기오염측정종합자료집.
6. John Quarles etc., (1990), The New Clean Air Act, Morgan, Lewis & Bockius.
7. OECD, (1995), OECD Environmental Data.
8. Leighton S. Cochran, (1992), Selected International Receptor-Based Air Quality Standards,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 42, No. 12.
9. S. Stallard Black & Veatch, etc., (1993), Comparison of Worldwide Emission Control Strategies and Their Effects on Plant Availability and Costs, 1993 SO2 Control Symposium.
10. 環境廳, (平成 6年), 環境白書.
11. 環境保全對策硏究會, (平成 5年), 大氣汚染對策の 基礎知識.
12.박형숙님의 환경 독성학, 동화기술
13. Sigmund F.Zakrzewski의 환경독성학 동화기술
e.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은 타 오염물질(NOx, SOx 등)을 운반하는 작용을 하므로 피해의 양상은 더욱 가중된다.
●각종 호흡기 질환
연무질 상태의 자극성 먼지가 폐포에 도달하여 유독성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진폐증이라 하며, 각종 폐질환을 들 수 있다.
진폐증이란 광물성 분진을 흡입함으로 폐에 생기는 섬유증식성 변화를 주증상으로 하는 질병을 말한다. 진폐증은 병을 일으키는 먼지의 성분에 따라 탄폐, 규폐, 석면폐, 베르륨폐, 활석폐, 알미늄폐, 면폐, 용접공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로 직업병으로 많이 알려져 있고, 재해근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석탄광부폐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석탄광부폐증은 주성분에 따라 탄폐증과 규폐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진폐증은 작업환경 악화로 발병되는 직업병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0.5∼5.0㎛ 크기의 광물성 분진이 폐에 침착하므로 발병한다.
a. 석면폐증 ; 석면(석면 내 Mg에 의해)에 의한 용혈 작용으로 적혈구의 증가
b. 면폐증 ; 방적공장 등에서 원면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질환
c. 규폐증 ; 광산에서 유기 규산으로 인한 질환
3.신장독성유발물질
신장은 인체의 하수구와 같다. 하수구가 막히면 쓰레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듯이 신장이 신석으로 막혀있으면 체내의 독소는 배출되지 않고 몸에 쌓이게 된다. 신장을 청소한다는 말을 여기서는 신장의 결석을 제거해 준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신석은 아주 작은 결정체로 시작하는데 작은 입자의 상태로 있을 때는 엑스레이상으로도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신체적으로도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등한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차차 밀집도가 높아져 크기가 크게 변할 때 임상적인 의미를 갖게된다. 신석은 용해가 잘 되지 않는 비교질물질에서 만들어지는데 주로 일곱가지(이인산칼슘, 일인산칼슘, 삼인산칼슘, 시스테인, 시스틴, 수산염, 요산)의 결정체들을 형성한다. 이 결정체들은 체내로 유입되는 화학물질이나 중금속 등과 함께 세뇨관에 침착되어 독성 배출을 부분적으로 봉쇄한다. 이것은 결국 인체 세포조직에 수분 흡착을 유도한다. 결석이 많을수록 독성의 배출량은 줄어들고 팔, 다리의 관절과 동맥내부 같은 기관에 독성불순물이 침전되어 결국 경화증을 유발한다. 수산 결정체는 요통을, 요산은 발가락 통증을, 인산은 다른 관절 통증을 각각 일으킨다. 그러나 결석 자체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고 세균이 이런 영양가 있는 침전물에 찾아가 통증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요통, 다리통증, 수족통증, 통풍 등이 있다. 여기서 특히 유의할 점은 침착물들의 세뇨관 봉쇄로 말미암아 중금속이 신장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치아충전에서 생긴 수은과 니켈은 신장의 세뇨관을 통해 계속 배설되어야 하는데 신장이 나이가 들어 기능이 약화되면 배설에 문제가 생긴다. 거기에다 독성 혼합물이 배설량 이상으로 들어올 때 그 독성물질들은 이미 그곳에 침착되어 있는 다른 독성물질에 달라붙어 신장 속에 독성 덩어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신장결석이다. 이 신석이 존재하는 한 체내의 화학물질이나 중금속의 배설은 어렵게되고 인체 장기기능은 물론 면역기능에도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된다. 신장의 독소는 서양약초를 사용해 제거할 수 있고, 마그네슘 옥사이드, 비타민 B6 등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4.간독성 유발물질
간에 대한 화학적장애여부는 독성물질의 종류와 독성정도 노출형태등에 의해 결정된다. 간의 손상이 기본적인 형태에는 지방간, 괴사, 담즙분비이상, 간기능장애, 바이러스성간염, 간경화, 종양등을 들수있다. 금속 유기물질 그리고 약품들은 지방간과 간 괴사를 유발한다. 작업장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은 가장 대표적인 예는 호흡기를 통하여 순환계로 들어가는 휘발성 할로겐탄화수소의 증기에 노출되는 겨우를 들수있다. 그러나 간독성 유발물질은 위장관계로 들어간 다음 미립자 형태로 간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간독성물질을 흡입할 경우 기관지나 장기에서 구강으로 배출되어 침과 함께 삼켜질수도 있다. 동물실험에서 간경화를 몇몇의 발암물질과 사염화탄소에 대란 만성적 노출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을음 밝혀졌다. 사람에 있어서 가장 빈번한 간경화의 원인은 많은 양의 알코올을 만성적으로 섭취하는 경우이다. 수많은 자연적 또는 합성의 화학물질이 동물에게 간암을 일으키지만 인간에게 있어서 간암의 이환율은 낮다. 직업과 관련된 감암중 가장 주목을 받는 경우는 폴리비닐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염화비닐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 나타나는 희귀한 혈관 악성종양인 혈관육종이다.
참고문헌 :
1. 국립환경연구원, (199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 김희강외, (1993), 대기오염개론, 동화기술.
3. 에너지경제연구원, (1994), 에너지통계연보.
4. 전국환경관리인연합회, (1994), 환경관계법규, 홍문관.
5. 환경부, (1995), 대기오염측정종합자료집.
6. John Quarles etc., (1990), The New Clean Air Act, Morgan, Lewis & Bockius.
7. OECD, (1995), OECD Environmental Data.
8. Leighton S. Cochran, (1992), Selected International Receptor-Based Air Quality Standards,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 42, No. 12.
9. S. Stallard Black & Veatch, etc., (1993), Comparison of Worldwide Emission Control Strategies and Their Effects on Plant Availability and Costs, 1993 SO2 Control Symposium.
10. 環境廳, (平成 6年), 環境白書.
11. 環境保全對策硏究會, (平成 5年), 大氣汚染對策の 基礎知識.
12.박형숙님의 환경 독성학, 동화기술
13. Sigmund F.Zakrzewski의 환경독성학 동화기술
추천자료
치매의 종류와 증상 - 퇴행성 장애, 뇌혈관 질환, 감염, 독성물질에 의한 치매, 인지기능 장...
진실험설계에서 오염의 원인 및 영향
[흡연][간접흡연][여성흡연][청소년흡연][금연][금연방법][담배][흡연률][여성흡연률][금연보...
수질오염 총량규제가 지역개발에 미치는 영향
수질오염의 정의, 수질오염의 질병사태, 수질오염의 영향, 수질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물질)의 개념, 성질, 표적과 환경호...
해양유류오염 원인과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
[환경호르몬]환경호르몬의 원인 물질과 위험성, 환경호르몬(내분비계 교란물질)의 종류와 피...
[생물학실험] 『어류의 발생 과정을 이용한 내분비장애물질의 독성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인간에 의한 환경오염이 지구촌 환경에 미치는 영향
[미생물][오염미생물][진균류][프랑크톤]미생물의 정의, 미생물의 PH별 특징, 미생물의 물질...
[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 성질, 환경호르몬 ...
6)과학-생태계와 환경-환경 오염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기(중안)
[대기오염과 영양] 오존의 신체영향, 오존과 영양의 관계, 일산화탄소 중독증상, 일산화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