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가전체 문학이란?
1. 가전체 문학의 특성
2. 가전체 문학의 종류
3. 가전체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Ⅱ. 공방전의 작가 소개 및 주요 내용
1. 작가 소개
2. 공방전의 작품해석
Ⅲ. 공방전 감상
1. 공방전의 주제적 의미
2. 공방전에 반영된 현실 의식
Ⅳ. 공방전의 내용 연구
Ⅴ. 공방전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참고문헌>
1. 가전체 문학의 특성
2. 가전체 문학의 종류
3. 가전체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Ⅱ. 공방전의 작가 소개 및 주요 내용
1. 작가 소개
2. 공방전의 작품해석
Ⅲ. 공방전 감상
1. 공방전의 주제적 의미
2. 공방전에 반영된 현실 의식
Ⅳ. 공방전의 내용 연구
Ⅴ. 공방전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심지어는 국가에서 조서를 내려 방에게 조의대부소부승(朝議大夫少府丞)을 추증하기까지 하였다.
남송 신종조(神宗朝) 때에는 왕안석(王安石)이 정사를 맡아 다스렸다. 이 때 여혜경(呂惠卿)도 불러서 함께 일을 돕게 했다. 이들이 청묘법(靑苗法)을 처음 썼는데, 이 때 온 천하가 시끄러워 아주 못 살게 되었다.
소식(蘇軾)이 이것을 보고 그 폐단을 혹독하게 비난하여 그들을 모조리 배척하려 했다. 그러나 소식도 도리어 그들의 모함에 빠져서 쫓겨나 자신이 귀양을 가게 되었다. 이로부터 조정의 모든 선비들은 그들을 감히 비난하지 못하였다.
사마광은 정승으로 들어가자 그 법을 폐지하자고 아뢰고, 소식을 천거하여 높은 자리에 썼다. 이로부터 방(方)의 무리는 차츰 세력이 꺾이어 다시 강성하지 못했다.
공방의 아들 윤은 몹시 경박하여 세상 사람들의 욕을 혼자서 먹는 판이었다.
그 뒤에 수형령(水衡令)아 되었으나 죄가 드러나서 마침내 사형을 받고 말았다 한다.
사신(史臣)은 말한다.
남의 신하가 된 몸으로서 두 마음을 품고 큰 이익만을 좇는 자를 어찌 충성된 사람이라고 하랴. 방이 올바른 법과 좋은 주인을 만나서, 정신을 집중시켜 자기를 알아 주어서 나라의 은혜를 적지 않게 입었었다. 그러면 의당 국가를 위하여 이익을 일으켜 주고, 해를 덜어 주어서 임금의 은혜로운 대우에 보답했어야 했다. 그런데도 도리어 비를 도와서 나라의 권세를 한몸에 독차지해 가지고, 심지어 사사로이 당을 만들기까지 했으니, 이것은 충신이 경계 밖의 사귐이 없어야 한다는 말에 어긋나는 것이다.
방이 죽자 그 남은 무리들은 다시 남송에 쓰여졌다. 집정한 권신(權臣)들에게 붙어서 그들은 도리어 정당한 사람을 모함하는 것이었다. 비록 길고 짧은 이치는 저 명명(冥冥)한 가운데 있는 것이지만, 만일 원제(元帝)가 일찍부터 공우(貢禹)가 한 말을 받아들여서 이들을 일조에 모두 없애 버렸던들 이 같은 후환은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다만 이들을 억제하기만 해서 마침내 후세에 폐단을 남기고 말았다. 그러나 대체 실행보다 말이 앞서는 자는 언제나 미덥지 못한 것을 걱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참고문헌>
한국대표 고전 소설전 (윤병로 엮음) 미래문화사 2007
공방전, 국순전 外 보성출판사 2006
-인터넷 사이트
서주홍의 문학 속으로(http://myhome.naver.com/qseo/)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http://www.seelotus.com/)
남송 신종조(神宗朝) 때에는 왕안석(王安石)이 정사를 맡아 다스렸다. 이 때 여혜경(呂惠卿)도 불러서 함께 일을 돕게 했다. 이들이 청묘법(靑苗法)을 처음 썼는데, 이 때 온 천하가 시끄러워 아주 못 살게 되었다.
소식(蘇軾)이 이것을 보고 그 폐단을 혹독하게 비난하여 그들을 모조리 배척하려 했다. 그러나 소식도 도리어 그들의 모함에 빠져서 쫓겨나 자신이 귀양을 가게 되었다. 이로부터 조정의 모든 선비들은 그들을 감히 비난하지 못하였다.
사마광은 정승으로 들어가자 그 법을 폐지하자고 아뢰고, 소식을 천거하여 높은 자리에 썼다. 이로부터 방(方)의 무리는 차츰 세력이 꺾이어 다시 강성하지 못했다.
공방의 아들 윤은 몹시 경박하여 세상 사람들의 욕을 혼자서 먹는 판이었다.
그 뒤에 수형령(水衡令)아 되었으나 죄가 드러나서 마침내 사형을 받고 말았다 한다.
사신(史臣)은 말한다.
남의 신하가 된 몸으로서 두 마음을 품고 큰 이익만을 좇는 자를 어찌 충성된 사람이라고 하랴. 방이 올바른 법과 좋은 주인을 만나서, 정신을 집중시켜 자기를 알아 주어서 나라의 은혜를 적지 않게 입었었다. 그러면 의당 국가를 위하여 이익을 일으켜 주고, 해를 덜어 주어서 임금의 은혜로운 대우에 보답했어야 했다. 그런데도 도리어 비를 도와서 나라의 권세를 한몸에 독차지해 가지고, 심지어 사사로이 당을 만들기까지 했으니, 이것은 충신이 경계 밖의 사귐이 없어야 한다는 말에 어긋나는 것이다.
방이 죽자 그 남은 무리들은 다시 남송에 쓰여졌다. 집정한 권신(權臣)들에게 붙어서 그들은 도리어 정당한 사람을 모함하는 것이었다. 비록 길고 짧은 이치는 저 명명(冥冥)한 가운데 있는 것이지만, 만일 원제(元帝)가 일찍부터 공우(貢禹)가 한 말을 받아들여서 이들을 일조에 모두 없애 버렸던들 이 같은 후환은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다만 이들을 억제하기만 해서 마침내 후세에 폐단을 남기고 말았다. 그러나 대체 실행보다 말이 앞서는 자는 언제나 미덥지 못한 것을 걱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참고문헌>
한국대표 고전 소설전 (윤병로 엮음) 미래문화사 2007
공방전, 국순전 外 보성출판사 2006
-인터넷 사이트
서주홍의 문학 속으로(http://myhome.naver.com/qseo/)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http://www.seelotus.com/)
추천자료
[가전체 문학] 국순전/국선생전/공방전/죽부인전/청강사자현부전
[고전문학] 가전체 문학 분석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의 특징에 관하여 세 작품을 읽고 작품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구체적으로...
가전체 문학 분석 : 이규보의 국선생전(麴先生傳)에 대하여
[고려시대][고려]고려시대(고려)의 건국신화, 고려시대(고려)의 행정조직, 고려시대(고려)의 ...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의 특징
패관문학 및 가전체 문학 작품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시가,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고려가요, 한국 중세문학 고...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특성,배경,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 한국 중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