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기구 및 장치
4. 실험순서
5. 실험 원리(환원반응)
1) 환원 반응의 Mechanism
2) TLC의 원리 및 응용
3) Column Chromatography의 응용
4) 그 외 유기화학 실험의 방법 및 장치
6. 실험 원리(기액평형)
1) 상평형에 대해서
2) 단증류의 원리(단이론)에 대해서
3) 휘발도에 대해서
2. 실험목적
3. 실험기구 및 장치
4. 실험순서
5. 실험 원리(환원반응)
1) 환원 반응의 Mechanism
2) TLC의 원리 및 응용
3) Column Chromatography의 응용
4) 그 외 유기화학 실험의 방법 및 장치
6. 실험 원리(기액평형)
1) 상평형에 대해서
2) 단증류의 원리(단이론)에 대해서
3) 휘발도에 대해서
본문내용
정의 = μj(l)* + RT lnxj
* μj(l)*는 이상적 묽은 용액에서 용질의 증기압을 용질성분이 순수한 농도까지 연장할 때 가상적인 증기압에 해당되는 화학퍼텐샬임
7. 용액의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 끓는점 오름
μA(g)o = μA(l)o + RTb lnxA
----> lnxA = (μA(g)o - μA(l)o)/RTb = △GAo/RTb = △HAo/RTb - △SAo/R
순수한 용매성분의 증발자유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순수한 용매의 끓는점을 Tbo라 하면 이 때의 xB = 1이 된다.
ln 1.0 = △HAo/RTbo - △SAo/R
두식을 빼면
ln xA = △HAo/R (1/Tb - 1/Tbo)
여기에서
ln xA = ln (1-xB) = -xB - 1/2 xB2 - …
xB≪1 에서 ln xA = -xB 이므로
xB = △HAo/R (1/Tbo - 1/Tb)
끓는점 오름 △Tb = Tb - Tbo 로 표현 ; (1/Tbo - 1/Tb) = △Tb/(Tbo)2
∴ △Tb = (RTbo2/△HAo)xB
묽은 용액일 때 xB≪1 ---> xB = nB/nA = mBM (용매 nA = M/1000)
몰랄농도 그람몰질량
△Tb = (RTbo2M/△HAo)mB = KbmB
Kb는 용매의 성질만 포함한다 ; 끓는점 오름 상수
* 어는점 내림 : 고체와 액체의 평형
△Tf = (RTfo2M/△HAo)mB = KfmB
어는점, 몰용융엔탈피, 어는점 내림 상수
2) 단증류의 원리(단이론)에 대해서
일정량의 혼합물을 증류기에 넣고, 열을 가해 비등시켜 발생하는 증기를 응축기로 냉각시켜 유출액을 얻는 증류방법을 단증류(simple distillation), 또는 미분증류(differential distillation)라 한다.
이 때 혼합물 중의 휘발성 물질이 증발함에 따라 증류기에 남아 있는 용액의 양과 조성은 계속 변화하는데 이론적으로는 이들 관계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증류를 시작한 후의 어떤 순간에 증류기 내의 액량을 W[kg-mol], 저비점 성분의 몰분율을 x라 하면 증류기 내에는 (W)(x)의 저비점 성분이 있게 된다. 이 때 액과 평형상태에 있는 증기 중의 저비점 성분의 물분율을 y라고 하자. dW 만큼 증류되었다고 하면 유출액 중의 저비점 성분의 양은 (y)(dW)이며, 증류기 내에 남은 액량은 (W - dW) [kg-mol]이며, 이것의 몰분율은 (x - dx)가 되므로 증류기 내에 남은 저비점 성분의 양은 (W - dW) (x - dx) [kg-mol]이된다. 따라서 총괄 물질수지식은 식 (1)과 같다.
(W) (x) = (y)(dW) + (W - dW) (x - dx) (1)
식 (1)에서 2차 미분항을 무시하고 정리하면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최초의 증발기내 액량 W1으로부터 단증류 후의 증발기내 액량 W2, 이에 따른 액의 조성변화 x1으로부터 x2까지 적분하면 식 (3)과 같다
(3)
식 (3)을 Rayleigh 식이라 한다.
여기서 원료에 대한 유출액량의 비를 유출률 β라 하면 식 (4)와 같이 정의된다.
(4)
따라서, 식 (3)을 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여기서, y는 플라스크 내에서 증기가 조금도 분축을 일키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x와 평행한 증기조성에 있으므로 우변의 적분항은 x-y곡선이 알려져 있으면 도식적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먼저 2성분계의 평형곡선을 그리고 이것으로 x와 1/(y - x)의 관계를 그린다. 그 다음 1/(y - x) 곡선과 x 축과의 사이의 면적을 구해 x에 대응하는 의 값을 구한다.그림 1 에 나타낸 빗금친 부분의 면적 S는 식 (6)에서 얻어진다.
(2)
여기에서 x대 의 선도를 그리고, 이들의 모양은 그림 2 에 표시하였다.
식 (3) 및 (6)에 의해 W1, x1, x2가 구해지면 식 (7)에서 W2가 구해진다.
In W2 = In W1 - I1 + I2 (7)
또 W1, x2, W2가 구해지면 식 (8)에서 I2가 구해진다.
I2 = - In (W1/W2) + I1 (8)
여기서, I2를 구해 x대 I곡선에 의해 x2가 결정된다.
다음에 유출량을 D[kg], 유출액의 평균조성을 xDav[wt%]라 하면 물질수지식은 식 (9)와 같이 된다.
W1 - W2 = D (9)
W1x1 -W2x2 = DxDav (10)
식 (10)에서 평균조성은 (11)식과 같이 된다.
xDav =(W1x1 - W2x2) / (W1 - W2) (11)
그리고 Raoult's law가 성립하는 2성분계, 즉 식 (12)가 성립하는 계라면 식 (12)를 식 (5)에 대입하여 적분하면 식 (13)과 같이 된다.
(12)
(13)
비휘발도(α)와 유출률과의 관계는 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4)
x-y곡선을 알면 식 (5), (13)에서 β, x1, x2의 관계를 구할 수 있고, 역으로 β, x1, x2의 관계가 실측되면 식 (14)에 의해 임의의 x에 대해서는 α를 구할 수 있다.
3) 휘발도에 대해서
휘발도란 액체의 휘발 또는 증발의 난이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순물질에서는 증기압과 동일한데 용액중의 성분에서는 P/X를 그 성분의 휘발도라고 한다.
(단, X는 그 성분의 몰분율, P는 그 용액과 평형에 있는 기상 중에서 그 성분의 분압).
따라서 압력 저하와 온도 상승이 휘발도를 높이게 된다.
[ 참고문헌 ]
1. 크로마토그래피 이대운 民音社 p14~p32
2. 유기화학실험 Charles F.Wilcox,Jr. Mary F.Wilcox Presnticehall p399~p400
3. 유기화학 진명종 자유아카데미 p177~p186
4. 물리화학 Robert A. Alberty / Robert J.Silbey 사이텍미디어 p198~p254
5. 최신분석화학 최재성외 3명 편저 東和伎術 p511~p549
6. http://www.chem.pusan.ac.kr/organic/
7. http://user.chollian.net/~hl5nol/thin.htm
8. http://user.chollian.net/~hl5nol/thin.htm#thin-b
* μj(l)*는 이상적 묽은 용액에서 용질의 증기압을 용질성분이 순수한 농도까지 연장할 때 가상적인 증기압에 해당되는 화학퍼텐샬임
7. 용액의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 끓는점 오름
μA(g)o = μA(l)o + RTb lnxA
----> lnxA = (μA(g)o - μA(l)o)/RTb = △GAo/RTb = △HAo/RTb - △SAo/R
순수한 용매성분의 증발자유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순수한 용매의 끓는점을 Tbo라 하면 이 때의 xB = 1이 된다.
ln 1.0 = △HAo/RTbo - △SAo/R
두식을 빼면
ln xA = △HAo/R (1/Tb - 1/Tbo)
여기에서
ln xA = ln (1-xB) = -xB - 1/2 xB2 - …
xB≪1 에서 ln xA = -xB 이므로
xB = △HAo/R (1/Tbo - 1/Tb)
끓는점 오름 △Tb = Tb - Tbo 로 표현 ; (1/Tbo - 1/Tb) = △Tb/(Tbo)2
∴ △Tb = (RTbo2/△HAo)xB
묽은 용액일 때 xB≪1 ---> xB = nB/nA = mBM (용매 nA = M/1000)
몰랄농도 그람몰질량
△Tb = (RTbo2M/△HAo)mB = KbmB
Kb는 용매의 성질만 포함한다 ; 끓는점 오름 상수
* 어는점 내림 : 고체와 액체의 평형
△Tf = (RTfo2M/△HAo)mB = KfmB
어는점, 몰용융엔탈피, 어는점 내림 상수
2) 단증류의 원리(단이론)에 대해서
일정량의 혼합물을 증류기에 넣고, 열을 가해 비등시켜 발생하는 증기를 응축기로 냉각시켜 유출액을 얻는 증류방법을 단증류(simple distillation), 또는 미분증류(differential distillation)라 한다.
이 때 혼합물 중의 휘발성 물질이 증발함에 따라 증류기에 남아 있는 용액의 양과 조성은 계속 변화하는데 이론적으로는 이들 관계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증류를 시작한 후의 어떤 순간에 증류기 내의 액량을 W[kg-mol], 저비점 성분의 몰분율을 x라 하면 증류기 내에는 (W)(x)의 저비점 성분이 있게 된다. 이 때 액과 평형상태에 있는 증기 중의 저비점 성분의 물분율을 y라고 하자. dW 만큼 증류되었다고 하면 유출액 중의 저비점 성분의 양은 (y)(dW)이며, 증류기 내에 남은 액량은 (W - dW) [kg-mol]이며, 이것의 몰분율은 (x - dx)가 되므로 증류기 내에 남은 저비점 성분의 양은 (W - dW) (x - dx) [kg-mol]이된다. 따라서 총괄 물질수지식은 식 (1)과 같다.
(W) (x) = (y)(dW) + (W - dW) (x - dx) (1)
식 (1)에서 2차 미분항을 무시하고 정리하면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최초의 증발기내 액량 W1으로부터 단증류 후의 증발기내 액량 W2, 이에 따른 액의 조성변화 x1으로부터 x2까지 적분하면 식 (3)과 같다
(3)
식 (3)을 Rayleigh 식이라 한다.
여기서 원료에 대한 유출액량의 비를 유출률 β라 하면 식 (4)와 같이 정의된다.
(4)
따라서, 식 (3)을 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여기서, y는 플라스크 내에서 증기가 조금도 분축을 일키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x와 평행한 증기조성에 있으므로 우변의 적분항은 x-y곡선이 알려져 있으면 도식적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먼저 2성분계의 평형곡선을 그리고 이것으로 x와 1/(y - x)의 관계를 그린다. 그 다음 1/(y - x) 곡선과 x 축과의 사이의 면적을 구해 x에 대응하는 의 값을 구한다.그림 1 에 나타낸 빗금친 부분의 면적 S는 식 (6)에서 얻어진다.
(2)
여기에서 x대 의 선도를 그리고, 이들의 모양은 그림 2 에 표시하였다.
식 (3) 및 (6)에 의해 W1, x1, x2가 구해지면 식 (7)에서 W2가 구해진다.
In W2 = In W1 - I1 + I2 (7)
또 W1, x2, W2가 구해지면 식 (8)에서 I2가 구해진다.
I2 = - In (W1/W2) + I1 (8)
여기서, I2를 구해 x대 I곡선에 의해 x2가 결정된다.
다음에 유출량을 D[kg], 유출액의 평균조성을 xDav[wt%]라 하면 물질수지식은 식 (9)와 같이 된다.
W1 - W2 = D (9)
W1x1 -W2x2 = DxDav (10)
식 (10)에서 평균조성은 (11)식과 같이 된다.
xDav =(W1x1 - W2x2) / (W1 - W2) (11)
그리고 Raoult's law가 성립하는 2성분계, 즉 식 (12)가 성립하는 계라면 식 (12)를 식 (5)에 대입하여 적분하면 식 (13)과 같이 된다.
(12)
(13)
비휘발도(α)와 유출률과의 관계는 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4)
x-y곡선을 알면 식 (5), (13)에서 β, x1, x2의 관계를 구할 수 있고, 역으로 β, x1, x2의 관계가 실측되면 식 (14)에 의해 임의의 x에 대해서는 α를 구할 수 있다.
3) 휘발도에 대해서
휘발도란 액체의 휘발 또는 증발의 난이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순물질에서는 증기압과 동일한데 용액중의 성분에서는 P/X를 그 성분의 휘발도라고 한다.
(단, X는 그 성분의 몰분율, P는 그 용액과 평형에 있는 기상 중에서 그 성분의 분압).
따라서 압력 저하와 온도 상승이 휘발도를 높이게 된다.
[ 참고문헌 ]
1. 크로마토그래피 이대운 民音社 p14~p32
2. 유기화학실험 Charles F.Wilcox,Jr. Mary F.Wilcox Presnticehall p399~p400
3. 유기화학 진명종 자유아카데미 p177~p186
4. 물리화학 Robert A. Alberty / Robert J.Silbey 사이텍미디어 p198~p254
5. 최신분석화학 최재성외 3명 편저 東和伎術 p511~p549
6. http://www.chem.pusan.ac.kr/organic/
7. http://user.chollian.net/~hl5nol/thin.htm
8. http://user.chollian.net/~hl5nol/thin.htm#thin-b
추천자료
[실험리포트] 메틸아세테이트의 수분해반응
총인(Total Phosphorus : T-P)아스코르빈산 환원법(공정시험법)
소금쟁이가 물에뜨는이유, 우리몸의pH가 중성으로 유지되는 이유, NAD+의환원
시료중 유기물 인 화합물 인산염 형태 변화 아스코르빈산환원 흡광광도법 정량 총인 농도
마이얄반응
SOFC 고체산화물연료전지에 대하여
은거울반응
미생물의 의미, 미생물의 온도별 특징, 미생물의 생태환경, 미생물의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
전해아연 도금욕 중에서 아연의 침출 반응속도에 관한 연구
[생물학 실험보고서] 광합성 hill 반응
[일반화학실험] 화학 전지와 전기화학적 서열 - 화합물 사이에 일어나는 전자 이동 반응을 이...
[일반화학실험]산-해리 평형 [예비와 결과 보고서]
금속 산화물 및 질화물의 합성 및 특성 조사(예비)
식품가공 및 저장과 관련 있는 요인 _ 효소 (효소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식품가공 및 저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