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군사제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軍事制度의 整備
2.조선전기의 군사제도
1)五衛制度의 成立과 中央軍制
2)鎭管體制와 地方軍制
3.조선후기의 군사제도

Ⅲ. 맺음말

본문내용

라 하였는데 이들은 신체적으로나 재산상으로나 현역병보다 떨어지지만 현역병의 재정적 보조를 담당하지 않으면 안됐다. 군역의 대상자는 인정이기 때문에 호보다는 인정이 중심이 되었으며 이들 인정은 3정1호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모순이 발생하자 2정1보를 단위로 하는 보법(保法)이 성립되었다. 세조때에 진관체제가 완비되면서 모든 의무적인 군사가 거주지를 단위로 하여 파악됨으로써 군역도 일률적으로 파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군역 부과의 범위를 신분적으로 확대시키면서 호패법을 강화하여 인정수괄(人丁搜括)을 적극적으로 펴는 동시에 세조 10년(1464)에 보법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호(戶), 보(保)의 제도는 성립초기부터 각종의 폐단을 수반하였다. 규정이 거의 모시되었을 뿐 아니라 대토지 사유가 더욱 확대되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농민의 호, 보의 수급계획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역을 피해 도망하는 자가 속출하여 인징, 족징, 동징 등의 폐단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번상을 타인에게 일임하고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는 대립현상까지 발생하였다.
결국, 조선의 군사제도는 여러 번의 개편을 거치고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화하려 하였으나 제도적인 모순과 폐단이 발생함에 따라 결국에는 밖으로부터 침입해오는 세력에 철저히 대처할 수 없게 되었고 조선 군사조직의 무력함을 나타내고 말았다.
※참고문헌
국립제주박물관, 『조선시대의 중앙과 지방』, 서경, 200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0, 국사편찬위원회, 197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23, 국사편찬위원회, 1994.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2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