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과 기대효과
3. 연구의 내용․범위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연구 수행 일정
4. 인용문헌
2. 연구목적과 기대효과
3. 연구의 내용․범위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연구 수행 일정
4. 인용문헌
본문내용
해서 이들 명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것이며, 설문은 문헌조사와 인터뷰가 종료된 후에 진행할 것이다. 질적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설문에 적용하여 개념화와 조작적 정의를 행한 후에 실제 서베이조사를 실행할 것이다.
먼저, 문헌조사와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전통적 국가정체성, 국가정체성의 형성 요소에 대한 정의를 내린 후 개념화와 조작적 정의를 실행해야 한다. 그 대상이 되는 개념은 국가정체성, 국가정체성 측정기준, 국가정체성 형성 요소, 이주자의 기준이다.
위 개념정의를 토대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한다. 설문지는 2-3장 분량으로 구성될 것이며 설문의 표집대상은 ①서울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②그 대학의 유학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다. 표집의 방법은 군락 표집을 사용할 것이며 먼저 서울지역 대학의 리스트를 작성한 후 난수표를 통해서 10개 대학을 선정한다.
이후 ①번 표집대상은 해당 대학의 각 단대에서 일정 인원을 설문하여 진행한다. ②번 표집은 각 단대의 학생회를 찾아가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그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다.
①,②의 설문 내용은 조금 다를 것이며 ②의 설문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①을 어느 정도 포함하면서 다른 내용이 담겨있게 될 것이다. 설문을 진행한 후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며 각 문항에 대한 가법적 척도를 구성해 볼 것이다. 이후 여건이 가능하다면 ④번 문항에 대한 회귀분석을 진행해 볼 것이다.
4. 인용 문헌
* 고자카이 도시아키 (방 광 석 역). 2003. 『민족은 없다』. 뿌리와 이파리
* 데이비드 헬드 (조 효 제 역). 2002. 『전지구적 변환』. 창작과 비평
* 로버트 보콕, 피터 해밀턴 (이 향 순 역). 1991. 『그람시 헤게모니의 사회이론』. 학문과 사상
* 얼 배비 (고성호/김광기/김상욱 외 역). 『사회조사방법론의 이해』 2002. 그린
* 윤 원 근. 2002. 『세계관의 변화와 동감의 사회학』. 문예
* 임 홍 빈. 2002. 『세계화의 철학적 담론』. 문예
* 이성우, 하병규, 다웰 마이어. 2002. 『국제이동과 사회동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 조나단 터너. 1997(2001년 번역판). 『현대 사회학 이론.』 나남
* 패트릭. J. 기어리 (이 종 경 역). 2004.『민족의 신화, 그 위험한 유산』. 지식의 풍경
* 피터 스토커 (김 보 영 역). 2004. 『국제이주』. 이소
먼저, 문헌조사와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전통적 국가정체성, 국가정체성의 형성 요소에 대한 정의를 내린 후 개념화와 조작적 정의를 실행해야 한다. 그 대상이 되는 개념은 국가정체성, 국가정체성 측정기준, 국가정체성 형성 요소, 이주자의 기준이다.
위 개념정의를 토대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한다. 설문지는 2-3장 분량으로 구성될 것이며 설문의 표집대상은 ①서울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②그 대학의 유학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다. 표집의 방법은 군락 표집을 사용할 것이며 먼저 서울지역 대학의 리스트를 작성한 후 난수표를 통해서 10개 대학을 선정한다.
이후 ①번 표집대상은 해당 대학의 각 단대에서 일정 인원을 설문하여 진행한다. ②번 표집은 각 단대의 학생회를 찾아가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그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다.
①,②의 설문 내용은 조금 다를 것이며 ②의 설문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①을 어느 정도 포함하면서 다른 내용이 담겨있게 될 것이다. 설문을 진행한 후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며 각 문항에 대한 가법적 척도를 구성해 볼 것이다. 이후 여건이 가능하다면 ④번 문항에 대한 회귀분석을 진행해 볼 것이다.
4. 인용 문헌
* 고자카이 도시아키 (방 광 석 역). 2003. 『민족은 없다』. 뿌리와 이파리
* 데이비드 헬드 (조 효 제 역). 2002. 『전지구적 변환』. 창작과 비평
* 로버트 보콕, 피터 해밀턴 (이 향 순 역). 1991. 『그람시 헤게모니의 사회이론』. 학문과 사상
* 얼 배비 (고성호/김광기/김상욱 외 역). 『사회조사방법론의 이해』 2002. 그린
* 윤 원 근. 2002. 『세계관의 변화와 동감의 사회학』. 문예
* 임 홍 빈. 2002. 『세계화의 철학적 담론』. 문예
* 이성우, 하병규, 다웰 마이어. 2002. 『국제이동과 사회동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 조나단 터너. 1997(2001년 번역판). 『현대 사회학 이론.』 나남
* 패트릭. J. 기어리 (이 종 경 역). 2004.『민족의 신화, 그 위험한 유산』. 지식의 풍경
* 피터 스토커 (김 보 영 역). 2004. 『국제이주』. 이소
추천자료
국제결혼의 증가원인과 현황 및 이주여성들이 겪는 문제점과 개선방안(A+자료)
다문화 사회의 국제결혼 이주가족의 문제점 및 지원 대책방안
세계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분석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새터민 이주정책
다문화 가정 (이주 여성)의 멘토를 통한 정서지원 및 가족관계 강화를 위한 사업계획서 - “두...
[A+평가 레포트]결혼이주여성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사회의 인종차별 이주노동자
다문화 가족의 문화적응 실태 - 결혼이주여성 한국어 능력 배양 시급 (언론기사 분석 해결책)
특정 클라이언트 집단의 사회복지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의 계급 재생산, 이주여성 디아스포라[Diaspora] - 국제성별분업, 문화혼성성과 ...
노사관계론 - 외국인 노동자(이주노동자) 실태와 문제 및 해결방안 분석(사례 중심)
다문화가정과 사회복지대책(다문화가정지원, 해외이주여성지원, 다문화가정문제)
[다문화사회복지] 이주근로자의 인권침해 실태(사례 포함) - 다양한 영역에서의 인권침해, 차...
다문화 여성,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외국다문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