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수취 체제하의 민정문서의 활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민정문서란 무엇인가 ?
       1. 민정문서란?
       2. 민정문서의 역사적 중요성

Ⅱ. 민정문서의 표면적 내용

Ⅲ. 통일신라시대 수취제도하의 민정문서
1. 조(調) - 공납
                 : 지방 특산물을 바치는 것
        2. 용(庸) - 역역(力役)의 부담
                 : 신역(身役, 군사)과 호역(戶役, 요역)을 부담
        3. 조(租) - 토지제도
           1) 연수유전·답
2) 촌주위전·답

Ⅳ. 민정문서를 통해 본 신라

본문내용

촌락의 둘레, 공연(孔烟)과 계연(計烟)의 수, 9등호제에 의한 각 등급의 烟의 수, 연령별 · 남여별 인구수와 3년 동안의 증감, 우마의 수와 전(田) · 답(畓)· 마전(麻田)의 면적, 뽕나무와 잣나무 등의 그루 수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기록
촌을 단위로 조 · 용 · 조를 부과하였던 탓에 전입과
전출은 해당 촌에 부역의 증감을 의미함
10-15호로 이루어진 각기 다른 크기의 촌역으로 자연촌락의 모습을 띰
본크게 양인과 노비로 나누어 기재됨
양인은 정(丁), 조자(助子), 추자(追子), 소자(小子). 제공(除公), 노공(老公)으로 나누어 남자의 숫자를 기재, 여자는 정녀(丁女), 조녀(助女), 추녀자(追女子), 소녀자(小女子), 제모(除母), 노모(老母) 로 나누어 그 숫자를 기록
畓과 田을 나누어, 畓 가운데 合畓이 얼마이고 그 중에 촌관모전이 얼마이며 연수유전은 얼마라는 식으로 기재.
토지의 기재방식에 특이한 사항은 3년간의 증감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는 점.
국가에서 각 촌에 할당한 마포의 수취량은 대체로 마를 경작하던 토지 1결당 평균수확량을 기준으로 함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7.2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2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