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공치료
2. 일반기공과 의료기공의 차이
1) 실시목적 2) 내용 3) 방법
3. 의료기공의 종류
1) 거사법 2) 보기법 3) 포기법
4) 포경법 5) 정공법 6) 신공법
7) 경혈 기공법
4. 일반기공의 종류
1) 연기공 2) 경기공 3) 자공
5. 기공치유의 기능
1) 심리적 안정(psychologic stability)
2) 자율신경계의 안정(stability of automatic nerve system)
3) 호르몬의 조절(regulation of hormone)
4) 면역체계를 강화(strengthening of immunity system)
6. 기공체조
1) 강장 훈련 체조
2) 어깨가 뻐근할 때
7. 논문 분석
8. 논문의 결과
2. 일반기공과 의료기공의 차이
1) 실시목적 2) 내용 3) 방법
3. 의료기공의 종류
1) 거사법 2) 보기법 3) 포기법
4) 포경법 5) 정공법 6) 신공법
7) 경혈 기공법
4. 일반기공의 종류
1) 연기공 2) 경기공 3) 자공
5. 기공치유의 기능
1) 심리적 안정(psychologic stability)
2) 자율신경계의 안정(stability of automatic nerve system)
3) 호르몬의 조절(regulation of hormone)
4) 면역체계를 강화(strengthening of immunity system)
6. 기공체조
1) 강장 훈련 체조
2) 어깨가 뻐근할 때
7. 논문 분석
8. 논문의 결과
본문내용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건강 증진 목적으로 유용하다는 점은 좋았고, 병원 입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환자들에게 그것을 해소하는 목적으로 기체조 법을 임상에서도 이용가능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논문에서처럼 기치료 기계를 이용하는 임상활용은 아직까지는 현실성이 없는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에서도 약간의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스트레스를 줌에 있어 '시험'이라는 지나치게 주관적일 수 있는 요인을 사용했습니다.만약 시험을 잘 봤다면 스트레스는 덜 할 것이고 그 반대라면 오히려 기분이 더 좋아지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시기가 같지 않습니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학생들이 같은 D한의대의 학생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먼저 실험을 한 실험군의 학생들이 대조군의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미리 시험의 내용과 검사의 내용에 대해 알고 갔을 경우, 모르고 가는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 ‘기’ 자체의 특성을 놓고 볼 때, 실험기간이 너무 짧았습니다.
2. 기공치료의 전반적인 한계점과 앞으로의 전망
기공치료에 대한 발표를 준비하면서 저희 조에서 가장 아쉬운 점으로 꼽았던 점은, 우선 기공치료가 우리 간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간호학과이다 보니 웬만하면 간호학과에서 나온 논문을 사용하고자 했는데 결국 찾지를 못해서 대한 의료기공학회에서 나온 것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기공치료 역시 대체 요법 중에 속하다 보니 아직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어 있지 않아 임상에서의 응용이 활발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지 않아 기공치료를 미신에 가깝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기공치료에 대한 홍보를 통해서 일반인들에게도 편하게 다가갈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주요 과제로 보이며 그러기 위해선 정확한 과학적인 지식의 축적과 숙련된 기술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조사과정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접하다 보니, 각종 참고자료에서 기공치료에 대한 개념이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아직까지 기공치료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야 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선 일반화되고 통일된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조별 일지
권형지
김성혜
노유리
송미영
신수정
이슬기
정혜인
4월 8일
○
○
○
○
○
○
○
4월 10일
○
○
○
○
○
○
○
4월 12일
○
○
○
○
○
○
○
4월 14일
○
○
○
○
○
○
○
※ 참여도
1. 4월 8일 (3시 p.m~5시 p.m)
- 분석할 논문을 찾아보았다.
- 각자 조사할 부분을 정하여 분담하였다.
1) 기공체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의료기공과 일반기공의 차이 - 신수정
2) 의료기공의 종류 - 정혜인
3) 일반기공의 종류 - 권형지
4) 기공치유의 기능 - 권형지
5) 기공체조 - 김성혜
6) 논문분석 정리 - 송미영
7) 논문분석 결과 정리 - 노유리
8) 연구논문의 한계와 기공치료의 한계점과 전망 - 다함께
9) 보고서 정리 - 신수정
10) 파워포인트 - 이슬기
2. 4월 10일 (1시 p.m~3시 p.m)
- 조사한 내용을 모으고 조사가 미흡한 부분은 함께 더 찾아보았다.
3. 4월 12일 (3시 p.m~4시 p.m)
- 보고서와 발표문, 파워포인트 정리내용을 다함께 검토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 였다.
4. 4월 14일 (4시 p.m~6시 p.m)
- 최종 검토를 마치고 발표 연습을 통해 시간을 분배하였다.
♣ 4월 15일 - 최종 발표
--- 개 요 ---
1. 기공치료
2. 일반기공과 의료기공의 차이
1) 실시목적 2) 내용 3) 방법
3. 의료기공의 종류
1) 거사법 2) 보기법 3) 포기법
4) 포경법 5) 정공법 6) 신공법
7) 경혈 기공법
4. 일반기공의 종류
1) 연기공 2) 경기공 3) 자공
5. 기공치유의 기능
1) 심리적 안정(psychologic stability)
2)자율신경계의 안정(stability of automatic nerve system)
3) 호르몬의 조절(regulation of hormone)
4) 면역체계를 강화(strengthening of immunity system)
6. 기공체조
1) 강장 훈련 체조
2) 어깨가 뻐근할 때
7. 논문 분석
8. 논문의 결과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건강 증진 목적으로 유용하다는 점은 좋았고, 병원 입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환자들에게 그것을 해소하는 목적으로 기체조 법을 임상에서도 이용가능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논문에서처럼 기치료 기계를 이용하는 임상활용은 아직까지는 현실성이 없는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에서도 약간의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스트레스를 줌에 있어 '시험'이라는 지나치게 주관적일 수 있는 요인을 사용했습니다.만약 시험을 잘 봤다면 스트레스는 덜 할 것이고 그 반대라면 오히려 기분이 더 좋아지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시기가 같지 않습니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학생들이 같은 D한의대의 학생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먼저 실험을 한 실험군의 학생들이 대조군의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미리 시험의 내용과 검사의 내용에 대해 알고 갔을 경우, 모르고 가는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 ‘기’ 자체의 특성을 놓고 볼 때, 실험기간이 너무 짧았습니다.
2. 기공치료의 전반적인 한계점과 앞으로의 전망
기공치료에 대한 발표를 준비하면서 저희 조에서 가장 아쉬운 점으로 꼽았던 점은, 우선 기공치료가 우리 간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간호학과이다 보니 웬만하면 간호학과에서 나온 논문을 사용하고자 했는데 결국 찾지를 못해서 대한 의료기공학회에서 나온 것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기공치료 역시 대체 요법 중에 속하다 보니 아직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어 있지 않아 임상에서의 응용이 활발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지 않아 기공치료를 미신에 가깝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기공치료에 대한 홍보를 통해서 일반인들에게도 편하게 다가갈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주요 과제로 보이며 그러기 위해선 정확한 과학적인 지식의 축적과 숙련된 기술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조사과정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접하다 보니, 각종 참고자료에서 기공치료에 대한 개념이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아직까지 기공치료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야 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선 일반화되고 통일된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조별 일지
권형지
김성혜
노유리
송미영
신수정
이슬기
정혜인
4월 8일
○
○
○
○
○
○
○
4월 10일
○
○
○
○
○
○
○
4월 12일
○
○
○
○
○
○
○
4월 14일
○
○
○
○
○
○
○
※ 참여도
1. 4월 8일 (3시 p.m~5시 p.m)
- 분석할 논문을 찾아보았다.
- 각자 조사할 부분을 정하여 분담하였다.
1) 기공체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의료기공과 일반기공의 차이 - 신수정
2) 의료기공의 종류 - 정혜인
3) 일반기공의 종류 - 권형지
4) 기공치유의 기능 - 권형지
5) 기공체조 - 김성혜
6) 논문분석 정리 - 송미영
7) 논문분석 결과 정리 - 노유리
8) 연구논문의 한계와 기공치료의 한계점과 전망 - 다함께
9) 보고서 정리 - 신수정
10) 파워포인트 - 이슬기
2. 4월 10일 (1시 p.m~3시 p.m)
- 조사한 내용을 모으고 조사가 미흡한 부분은 함께 더 찾아보았다.
3. 4월 12일 (3시 p.m~4시 p.m)
- 보고서와 발표문, 파워포인트 정리내용을 다함께 검토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 였다.
4. 4월 14일 (4시 p.m~6시 p.m)
- 최종 검토를 마치고 발표 연습을 통해 시간을 분배하였다.
♣ 4월 15일 - 최종 발표
--- 개 요 ---
1. 기공치료
2. 일반기공과 의료기공의 차이
1) 실시목적 2) 내용 3) 방법
3. 의료기공의 종류
1) 거사법 2) 보기법 3) 포기법
4) 포경법 5) 정공법 6) 신공법
7) 경혈 기공법
4. 일반기공의 종류
1) 연기공 2) 경기공 3) 자공
5. 기공치유의 기능
1) 심리적 안정(psychologic stability)
2)자율신경계의 안정(stability of automatic nerve system)
3) 호르몬의 조절(regulation of hormone)
4) 면역체계를 강화(strengthening of immunity system)
6. 기공체조
1) 강장 훈련 체조
2) 어깨가 뻐근할 때
7. 논문 분석
8. 논문의 결과
추천자료
노인치매의 개념과 원예,미술, 음악치료 및 프로그램
신생아폐혈증, 유문협착증, 광선치료
레트 증후군의 특성 및 음악치료
[생활지도] 다섯명의 치료자와 한 명의 내담자를 읽고...
약물없이 살 수 없는 청소년 치료
섭식장애의 개념과 원인 및 섭식장애 치료방안 [A+추천 레포트]
머레이 보웬과 사티어의 상담기법을 통한 임신호 가족치료 해결방안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
섭식장애 (섭식장애란, 섭식장애원인, 식장애치료, 섭식장애사례, 신경성식욕부진증, 거식증,...
섭식장애의 개념과 원인 및 섭식장애 치료방안
(정신보건 프로그램) 문예요법 10회기 집단치료 프로그램 계획서 정신보건수련생프로그램
노년기 치매의 특성과 원인 유형에 대해 기술하고 예방 및 진단과 치료에 대해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