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징의 두 형식
2. 상징의 기능-상징에서 기호로
3. 상징의 구조
2. 상징의 기능-상징에서 기호로
3. 상징의 구조
본문내용
리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실천적 기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징의 구조
1.'상징'이 '신호'와 달리 영속하는 보편적인 의미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상징은 그것을 구 성하는 요소의 배치유형 즉 논리구조 위에서 성립하는 기호라는 점 때문이다.(논리구조를 갖는 것은 말이나 문자를 비롯하여 회화나 도해(圖解) 그리고 시각적 상징마크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문자나 그림의 배치(어순,컴퍼지션)는 상징의 논리구조의 기초가 된다.)
2.우리가 사용하는 상징체계는 자유로운 컴퍼지션이 무수히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언 어나 도형의 컴퍼지션도 무제한적인 문법이나 컴퍼지션을 갖지 않고 그 논리구조의 구성에 관한 약속은 모종의 자연의 틀 또는 사고습관의 틀에 맞추어 지는 경향이 있다.(중국어,일 본어,영어등이 서로 다른 언어이나 주어와 술어에 의해 명제를 구성하듯)
3.상징체계의 위와 같은 약속이라는 틀에 의해, 자유로운 논리구조는 우리에게 해석 가능한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4.이렇게 상징의 논리구조에 관한 약속에는 첫째 자유로운 형식의 가능성과 둘째 그것을 우 리에게 현실의 유의미한 것으로 만드는 해석의 가능성의 조건이라는 두 측면이 있는데 모 리스나 카르납은 전자를 연구하는 기호론 분과를 '통사론'(syntactics)이라고 부르고, 후자 를 연구하는 기호론 분과를 '의미론'(semantics)이라고 부르고 있다.
5.통사론은 상징을 조합하여 커다란 상징체계를 만들기 위한 논리형식을 논하는 것이며 그에 반해 의미론은 인공적 상징체계가 의미를 나타낼 수 있게 하기 위한 조건 및 그 조건에 의 한 상징과 지시대상의 결합을 논하는 것이다.
6.'의미'란 인공지능연구의 지식에 의하면 두뇌 속에서 형성된 '개념' 또는 '이미지'의 연합의 망(network)으로 표현된다. hit -->a ball(물체o)>라는 예에서 보면 hit라는 말은 술어로서 동작주체 (a)인 생물체와 동작대상(o)인 물체 사이에 관계를 맺도록 중재 하여, 두뇌 속에서 그 연합이 형성된다.(필모어의 격格문법이론)
-->이러한 술어관계에 의한 연합의 망은 오그덴 리차즈가 삼각형 도식에서 referent의 세 계를 reference로써 두뇌 속에 관념적으로 전이시킨 해석내용을 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 다. 이와 같이 의미론은 상징구성에서 세계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구조이며, 통사론보다 더 엄격한 현실적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상징의 구조
1.'상징'이 '신호'와 달리 영속하는 보편적인 의미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상징은 그것을 구 성하는 요소의 배치유형 즉 논리구조 위에서 성립하는 기호라는 점 때문이다.(논리구조를 갖는 것은 말이나 문자를 비롯하여 회화나 도해(圖解) 그리고 시각적 상징마크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문자나 그림의 배치(어순,컴퍼지션)는 상징의 논리구조의 기초가 된다.)
2.우리가 사용하는 상징체계는 자유로운 컴퍼지션이 무수히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언 어나 도형의 컴퍼지션도 무제한적인 문법이나 컴퍼지션을 갖지 않고 그 논리구조의 구성에 관한 약속은 모종의 자연의 틀 또는 사고습관의 틀에 맞추어 지는 경향이 있다.(중국어,일 본어,영어등이 서로 다른 언어이나 주어와 술어에 의해 명제를 구성하듯)
3.상징체계의 위와 같은 약속이라는 틀에 의해, 자유로운 논리구조는 우리에게 해석 가능한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4.이렇게 상징의 논리구조에 관한 약속에는 첫째 자유로운 형식의 가능성과 둘째 그것을 우 리에게 현실의 유의미한 것으로 만드는 해석의 가능성의 조건이라는 두 측면이 있는데 모 리스나 카르납은 전자를 연구하는 기호론 분과를 '통사론'(syntactics)이라고 부르고, 후자 를 연구하는 기호론 분과를 '의미론'(semantics)이라고 부르고 있다.
5.통사론은 상징을 조합하여 커다란 상징체계를 만들기 위한 논리형식을 논하는 것이며 그에 반해 의미론은 인공적 상징체계가 의미를 나타낼 수 있게 하기 위한 조건 및 그 조건에 의 한 상징과 지시대상의 결합을 논하는 것이다.
6.'의미'란 인공지능연구의 지식에 의하면 두뇌 속에서 형성된 '개념' 또는 '이미지'의 연합의 망(network)으로 표현된다. hit -->a ball(물체o)>라는 예에서 보면 hit라는 말은 술어로서 동작주체 (a)인 생물체와 동작대상(o)인 물체 사이에 관계를 맺도록 중재 하여, 두뇌 속에서 그 연합이 형성된다.(필모어의 격格문법이론)
-->이러한 술어관계에 의한 연합의 망은 오그덴 리차즈가 삼각형 도식에서 referent의 세 계를 reference로써 두뇌 속에 관념적으로 전이시킨 해석내용을 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 다. 이와 같이 의미론은 상징구성에서 세계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구조이며, 통사론보다 더 엄격한 현실적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