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과 자아, 자아의 개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격이론과 자아개념

2. 자아관련 용어와 이들의 상호관련

3. 적응 및 자아실현과 자아개념

4. 결 론

본문내용

4) 성숙한 자아 태도 증진 방법
적절하고, 성숙한 자아개념은 학교 및 사회생활을 통해 획득 될 수 있다. Hanackek는 청소년들에게 확신감과 능력감을 개발시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촉진적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 수용적 태도를 길러줄 것
② 교실에서의 상호 작용에 대한 기회를 넓혀 줄 것
③ 확고하며, 공정하고, 명시적인 규칙을 세우고 지킬 것
④ 성공에의 확신을 심어주고, 성공의 기회를 많이 만들 것
한 편, Purkey는 교사가 창출해야 할 분위기로 도전의 분위기 조성,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 혼화함, 통제, 성공의 기회 부여 등 5가지를 제시함.
① 우선 자기 자신을 칭찬하라
② 아동이 자신을 현실적으로 평가하도록 도와라
③ 아동이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도록 가르쳐라
④ 아동이 자신을 칭찬하도록 가르쳐라
⑤ 어린이가 타인을 칭찬하도록 가르쳐라
4. 결 론
자아개념이 개인의 성격과 이에 따른 행동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자아개념이 상태에 따라 인간 행동의 적절성-부적절성, 효능성-비효능성, 적응-부적응이 좌우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자아개념은 개인의 성격의 기저, 또는 중핵으로 작용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자아개념의 효용성은 가치 즉, 수행예언, 자기 효능감, 교사 효능감, 자아 가치감과 행동결과를 인정한다면 자아개념의 존재와 그 가치 또한 인정해야 할 것이다.
결국, 개인의 자아개념은 개인의 적응의 양태와 자아실현의 양상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개인에 대한 성격 및 행동의 이해 또한 그 개인이 지닌 자아개념의 이해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3,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8.02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