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II.본론
i ) 여성 리더십의 부각 배경
ii) 여성 리더십의 실례
iii)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iv) 아직 풀어야 할 숙제
III. 결론
*참고문헌
II.본론
i ) 여성 리더십의 부각 배경
ii) 여성 리더십의 실례
iii)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iv) 아직 풀어야 할 숙제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란 제안이 있었다고 한다. 즉 여성은 스스로 자신들의 생각 밑에 깔려있는 여성에 대한 수동적, 보수적 마인드를 던져버리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가 위와 같은 사고들로 인해 여성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한다면 여성의 감성적, 여성적 리더십 발휘는커녕 여성의 사회진출 조차 무리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런 한국사회의 부정적인 면과 대조적으로 남녀평등이 잘 이루어지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남성 못지않게 활발한 나라가 있다. 바로 북유럽의 국가들이다. 북유럽국가 중 핀란드의 정책을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자.
핀란드는 2000년 대선에 6년 임기의 대통령에 여성인 타르야 할로넨이 선출된 예를 비롯하여 사회구성원 개인을 소중히 여기는 복지정책을 통해 남성, 여성 그리고 동성애자를 모두 평등히 여기는 국가로 유명하다. 핀란드의 복지정책 중 눈에 띄는 정책은 모든 임산부는 주말을 제외한 105일의 유급휴가를 갖는다. 이때 아버지는 18일의 부성휴가를 쓸 수 있다. 그리고 158일의 육아휴직은 아버지와 어머니 중 한 사람이 쓸 수 있는데 아버지가 육아휴직을 했을 경우 부성휴가 12일이 추가된다. 이를 통해 1997년에는 60%의 아버지가 부성휴가를 이용해 아이의 탄생을 지켜보고 아내와 아이의 병원나들이에 동참하는 등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그 결과 어머니가 아이를 기른다는 전통적인 인식이 달라지고 있어 기업주는 더 이상 출산이나 육아를 이유로 여성을 차별할 근거를 점점 잃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핀란드는 정치, 경제 등의 분야에서 여성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여성만의 섬세한, 엄마 같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이를 뒷받침을 하고 있다. 한국은 핀란드의 이런 선진 복지정책을 본받아 한국사회의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여성이 떳떳이 일 하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노력이 정부 책임 하에 필요할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여성리더십이 21c를 이끌어갈 하나의 방안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조명을 받고 있는 이유와 과거와는 다르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여성리더십의 모습들을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여성리더 몇 분을 통해 살펴보았다. 더 이상 남성조직에 편승하여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남성리더의 모습을 차용함으로써 사회적 성공을 거머쥐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강점인, 부드러움, 친화력, 세심함을 갖춘 여성적 리더십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정보사회에서 여성리더로서 세상을 이끄는 것이다. 하지만 여성이 개인의 능력만으로 유능한 리더가 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남성이 여성보다 뛰어난 리더로서의 자질들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사회적 네트워킹이라 볼 수 있다.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여성리더에 대한 늘어나는 수요는 이에 걸맞는 차기 여성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정부차원, 기업차원 지원으로 이어져 실제로 공.사 교육기관을 통해 많은 여성리더십관련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초교육에서부터 이미 사회 곳곳에 진출해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한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여성리더 육성에 대한 노력들도 직업여성이 가지는 근본적인 에로사항을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면 ‘이 빠진 독에 물 붓기’나 다름없는 일이다. 돈은 돈대로 들이면서 현실적으로 여성이 리더자리에 웃는 얼굴로 설 수 없다면, 누구를 위한 여성리더십인지 생각해볼 문제이다. 그래서 우리는 여성의 90%를 웃도는 숫자가 사회활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핀란드정부의 예처럼, 미래 한국의 여성리더는 더 이상 ‘super women’이 아닌 "cool women’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여성과 조직 리더십 (강혜련, 학지사, 2005)
엄마형 리더십(우경진, 명진출판, 2004)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D&office_id=055&article_id=0000057014 "여성 100% 활용 인력 눈에 띄네"
http://i-soccer.co.kr/section-005100032/2005/01/005100032200501121754032.html "엄마형 리더가 세상을 이끈다"
http://www.iwomantimes.com/new/article.htm?idx=11842&newsedit_idx=&channel_check=%A1%BE%A9%F6
한국 사회가 위와 같은 사고들로 인해 여성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한다면 여성의 감성적, 여성적 리더십 발휘는커녕 여성의 사회진출 조차 무리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런 한국사회의 부정적인 면과 대조적으로 남녀평등이 잘 이루어지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남성 못지않게 활발한 나라가 있다. 바로 북유럽의 국가들이다. 북유럽국가 중 핀란드의 정책을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자.
핀란드는 2000년 대선에 6년 임기의 대통령에 여성인 타르야 할로넨이 선출된 예를 비롯하여 사회구성원 개인을 소중히 여기는 복지정책을 통해 남성, 여성 그리고 동성애자를 모두 평등히 여기는 국가로 유명하다. 핀란드의 복지정책 중 눈에 띄는 정책은 모든 임산부는 주말을 제외한 105일의 유급휴가를 갖는다. 이때 아버지는 18일의 부성휴가를 쓸 수 있다. 그리고 158일의 육아휴직은 아버지와 어머니 중 한 사람이 쓸 수 있는데 아버지가 육아휴직을 했을 경우 부성휴가 12일이 추가된다. 이를 통해 1997년에는 60%의 아버지가 부성휴가를 이용해 아이의 탄생을 지켜보고 아내와 아이의 병원나들이에 동참하는 등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그 결과 어머니가 아이를 기른다는 전통적인 인식이 달라지고 있어 기업주는 더 이상 출산이나 육아를 이유로 여성을 차별할 근거를 점점 잃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핀란드는 정치, 경제 등의 분야에서 여성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여성만의 섬세한, 엄마 같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이를 뒷받침을 하고 있다. 한국은 핀란드의 이런 선진 복지정책을 본받아 한국사회의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여성이 떳떳이 일 하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노력이 정부 책임 하에 필요할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여성리더십이 21c를 이끌어갈 하나의 방안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조명을 받고 있는 이유와 과거와는 다르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여성리더십의 모습들을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여성리더 몇 분을 통해 살펴보았다. 더 이상 남성조직에 편승하여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남성리더의 모습을 차용함으로써 사회적 성공을 거머쥐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강점인, 부드러움, 친화력, 세심함을 갖춘 여성적 리더십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정보사회에서 여성리더로서 세상을 이끄는 것이다. 하지만 여성이 개인의 능력만으로 유능한 리더가 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남성이 여성보다 뛰어난 리더로서의 자질들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사회적 네트워킹이라 볼 수 있다.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여성리더에 대한 늘어나는 수요는 이에 걸맞는 차기 여성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정부차원, 기업차원 지원으로 이어져 실제로 공.사 교육기관을 통해 많은 여성리더십관련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초교육에서부터 이미 사회 곳곳에 진출해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한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여성리더 육성에 대한 노력들도 직업여성이 가지는 근본적인 에로사항을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면 ‘이 빠진 독에 물 붓기’나 다름없는 일이다. 돈은 돈대로 들이면서 현실적으로 여성이 리더자리에 웃는 얼굴로 설 수 없다면, 누구를 위한 여성리더십인지 생각해볼 문제이다. 그래서 우리는 여성의 90%를 웃도는 숫자가 사회활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핀란드정부의 예처럼, 미래 한국의 여성리더는 더 이상 ‘super women’이 아닌 "cool women’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여성과 조직 리더십 (강혜련, 학지사, 2005)
엄마형 리더십(우경진, 명진출판, 2004)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D&office_id=055&article_id=0000057014 "여성 100% 활용 인력 눈에 띄네"
http://i-soccer.co.kr/section-005100032/2005/01/005100032200501121754032.html "엄마형 리더가 세상을 이끈다"
http://www.iwomantimes.com/new/article.htm?idx=11842&newsedit_idx=&channel_check=%A1%BE%A9%F6
추천자료
[여성평화운동][여성평화운동 활동][여성평화운동 과제][여성평화운동 전망][여성평화운동 추...
[여성운동][한국여성운동][한국여성운동 추진과제][여성운동의 방향][여성인권][여성권리]여...
[한국여성운동][여성운동][여성문제][한국여성]한국여성운동의 특징, 20세기 초의 한국여성운...
[여성운동][한국여성운동][한국여성운동 현황][한국여성운동 관련 제언][여성인권][여성권리]...
[여성운동][한국여성][한국여성운동 전개과정][한국여성운동 특성][한국여성운동 전망]한국여...
[여성농민][여성농민 증가][여성농민 실태][여성농민 문제점][여성농민 사례][여성농민 정책]...
[여성해방][여성해방론][여성운동][여성권리][여성인권]여성해방(여성해방론)의 목표, 여성해...
[여성해방론][여성해방]여성해방론(여성해방)의 종류, 여성해방론(여성해방)과 페미니즘, 여...
[여성직업훈련][여성직업훈련의 개선과제]여성직업훈련의 목적, 여성직업훈련의 실태, 여성직...
[여성발명활동][여성발명활동 기반구축][여성발명활동 촉진방안]여성발명활동의 현황, 여성발...
[여성흡연][여성흡연과 임신][여성흡연의 허와 실][여성흡연의 사례]여성흡연의 동향, 여성흡...
요보호 여성 (한부모 여성, 여성 장애인, 여성 노인, 미혼모, 성매매 여성 등 기타 포함) 중 ...
[여성전용임대아파트 과거와 현재의 의미] 여성전용아파트,여성전용임대아파트,여성전용
[여성복지론] 여성복지 관련 신문기사 스크랩하고 신문기사 바탕으로 여성관련 사회문제를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