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대응방안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이버 범죄의 의의
1) 사이버 범죄의 개념
2) 사이버 범죄의 특징
3) 사이버 범죄의 유형
2. 사이버 범죄의 실태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이버 범죄의 의의
1) 사이버 범죄의 개념
2) 사이버 범죄의 특징
3) 사이버 범죄의 유형
2. 사이버 범죄의 실태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첫째,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적인 대응으로서 예컨대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을 막고 입력된 자료의 보안을 철저히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나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 사이버 도박, 스팸메일, 음란물, 기타 유해한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물론 기존의 안철수 연구소의 Ahnlab SpyZero나 Adaware프로그램 등 악성프로그램 차단 프로그램 등이 시중에 나와 있기는 하나 모든 사이트를 차단한다고는 할 수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터넷 이용자나 관리자는 사이버범죄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항상 정보처리장치의 관리에 유념해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둘째, 나날이 교묘해지고 증가하는 사이버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법적 제도적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사이버범죄를 처벌할 수 있는 법제화가 실행되어야 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수사기관의 수사능력 배양 및 전문인력 양성도 빠질 수 없다. 국가간의 공조수사 및 수사절차에 따른 상호 협력방안 그리고 수사의 편의를 위한 사용자의 인증절차 및 이용기록의 의무화 등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제도적정비가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령 지나친 수사 방범활동으로 인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거나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사이버공간에서의 활동이 지나치게 국가의 간섭을 받는 것이 개인의 자유의지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종합한 결과 정보화시대에 필수적으로 등장한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행위를 예방하고 범죄발생시 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열거한 두 가지 외에도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가 많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대응방안은 인간의 존엄과 인격권 등 기본권을 보장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다시 한번 명심하도록 해야겠다.
<참고문헌>
강동범, ‘사이버 범죄와 형사법적 대책’, 「형사정책연구」, 2006
조화, ‘국외기술 정책 동향’, 정보보호 뉴스 63호, 2005
2003년도 사이버침해사고 사례분석, 2004
2005년도 사이버명예훼손 성폭력 상담사례집, 2006
이승호, ‘사이버범죄의 제 유형과 형법적 대응방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이보영,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편 제22집
오용성,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대책연구’, 한남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이동곤, ‘사이버 테러 범죄에 관한 연구’, 영산대학교 법무대학원
-인터넷 사이트
사이버 경찰청 : http://www.police.go.kr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ctrc.go.kr/index.jsp
사이버 수사대 : http://www.cybercrime.go.kr
사이버 명예훼손 성폭력 상담센터 : http://www.cyberhumanrights.or.kr
인터넷 통계정보 검색 시스템 : http://isis.nic.or.kr
한국정보보호 진흥원 : http://www.kisa.or.kr/index.jsp
둘째, 나날이 교묘해지고 증가하는 사이버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법적 제도적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사이버범죄를 처벌할 수 있는 법제화가 실행되어야 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수사기관의 수사능력 배양 및 전문인력 양성도 빠질 수 없다. 국가간의 공조수사 및 수사절차에 따른 상호 협력방안 그리고 수사의 편의를 위한 사용자의 인증절차 및 이용기록의 의무화 등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제도적정비가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령 지나친 수사 방범활동으로 인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거나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사이버공간에서의 활동이 지나치게 국가의 간섭을 받는 것이 개인의 자유의지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종합한 결과 정보화시대에 필수적으로 등장한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행위를 예방하고 범죄발생시 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열거한 두 가지 외에도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가 많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대응방안은 인간의 존엄과 인격권 등 기본권을 보장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다시 한번 명심하도록 해야겠다.
<참고문헌>
강동범, ‘사이버 범죄와 형사법적 대책’, 「형사정책연구」, 2006
조화, ‘국외기술 정책 동향’, 정보보호 뉴스 63호, 2005
2003년도 사이버침해사고 사례분석, 2004
2005년도 사이버명예훼손 성폭력 상담사례집, 2006
이승호, ‘사이버범죄의 제 유형과 형법적 대응방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이보영,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편 제22집
오용성,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대책연구’, 한남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이동곤, ‘사이버 테러 범죄에 관한 연구’, 영산대학교 법무대학원
-인터넷 사이트
사이버 경찰청 : http://www.police.go.kr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ctrc.go.kr/index.jsp
사이버 수사대 : http://www.cybercrime.go.kr
사이버 명예훼손 성폭력 상담센터 : http://www.cyberhumanrights.or.kr
인터넷 통계정보 검색 시스템 : http://isis.nic.or.kr
한국정보보호 진흥원 : http://www.kisa.or.kr/index.jsp
추천자료
가상공동체(사이버공동체, 인터넷) 가치와 유형, 가상공동체(사이버공동체, 인터넷) 속성과 ...
[2016년최신자료]사이버대학교 학업계획서 합격예문[사이버대학 학업계획서 합격샘플][사이버...
온라인문학(사이버문학, 인터넷문학)의 정의와 성격, 온라인문학(사이버문학, 인터넷문학)의 ...
인터넷(사이버) 불건전정보 정의, 인터넷(사이버) 불건전정보 판단기준, 인터넷(사이버) 불건...
인터넷커뮤니케이션(사이버커뮤니케이션)의 특성, 인터넷커뮤니케이션(사이버커뮤니케이션) ...
가상공동체(인터넷, 사이버공동체)의 의의와 분류, 가상공동체(인터넷, 사이버공동체) 기원과...
인터넷공동체(가상공동체, 사이버)의 정의, 인터넷공동체(가상공동체, 사이버)의 출현과 특성...
가상대학(원격대학, 사이버대학) 개념과 필요성, 가상대학(원격대학, 사이버대학) 현황과 추...
원격대학(가상대학, 사이버대학)의 특성과 현황, 원격대학(가상대학, 사이버대학)의 교육방법...
온라인교육(사이버교육, 인터넷교육)의 개념과 유형, 온라인교육(사이버교육, 인터넷교육)의 ...
인터넷교육(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의 의미와 발전과정, 인터넷교육(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
온라인교육(사이버교육, 인터넷교육) 정의와 동향, 온라인교육(사이버교육, 인터넷교육) 패러...
인터넷 성폭력(사이버 성폭력)의 의미와 유형, 인터넷 성폭력(사이버 성폭력)의 발생장소와 ...
[인터넷범죄] 사이버불링 (cyberbullying) - 사이버불링의 개념, 사이버불링 특징, 사이버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