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도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인도에 대해서
1. 개관
2. 자연
1) 지형
2) 토양
3. 주민
1) 언어
2) 종교
4. 정치
5. 경제
1) 경제개황
2) 투자환경 및 제도
Ⅲ. 우리나라와 인도의 관계
1. 정치, 외교관계
2. 경제관계
1) 한국과의 무역관계
2) 교역동향
<참고문헌>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인도에 대해서
1. 개관
2. 자연
1) 지형
2) 토양
3. 주민
1) 언어
2) 종교
4. 정치
5. 경제
1) 경제개황
2) 투자환경 및 제도
Ⅲ. 우리나라와 인도의 관계
1. 정치, 외교관계
2. 경제관계
1) 한국과의 무역관계
2) 교역동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
1996. 2 김영삼 대통령 방문
1996.11 주 뭄바이 총영사관 개설
1999. 2 김종필 국무총리 방문
2000.10 Chatutala 주수상방한
2004. 4 Jaswant Singh 외교장관방한
2. 경제관계
1) 한국과의 무역관계
남북한 대치상황이 치열했던 과거 인도는 한국의 비동맹 외교의 주요 거점으로 양국관계에서 정치적, 외교적 측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나 한국의 경제성장 및 인도의 개방정책 추진, 국제정세의 변화 등으로 양국간 통상, 투자관계의 비중이 크게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양국간 교역규모는 2004년 말 기준으로 사상처음으로 54.8억불을 넘어섰고, 한국의 대인도 직접투자는 한국수출입은행 투자신고 기준으로 13억불에 달하고 있어 전체 대인도 직접투자에서 45위를 차지하는 등 인도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한국의 비중은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우리의 주요기업들이 직접 투자하여 현지에서 성공적인 경영을 하고 있으며, 이들 3개 기업의 현지 매출은 2004년 약 35억불에 달하여 2004년도 우리나라의 대인도 총 수출액(36.3억불)과 맞먹는 규모이다. 또한 이들 3개사는 2005년에도 전년대비 약3040%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생산제품이 가전, 자동차 등 소비자와 친숙한 내구소비재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한국 제품 전반에 대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 주요 가전제품분야에서 LG와 삼성을 합할 경우 대부분의 품목에서 이들 한국기업이 시장점유율 1, 2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성공적인 투자성과를 거두고 있다.
2) 교역동향
한국의 대인도 수출은 석유시추설비 관련 대규모 수주가 있었던 '93년도 1,804백만 불을 기점으로 97년도까지 지속 감소세를 시현하였으나 98년 들어 IMF위기에 따른 한국 원화의 평가절하로 인한 가격경쟁력 향상 및 인도 바이어들의 발 빠른 반응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한 1,668백만 불을 기록한 반면 수입은 급감, 603백만 불에 그쳐 약 10억불을 무역흑자를 시현한 바 있다. 2003년 들어서는 지난해부터 인도가 CDMA 방식의 무선통신기기를 본격 도입하면서 무선통신기기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데다, 2002년 수출이 37백만 불에 그쳤던 선박 수출이 2003년 241백만 불로 크게 증가하였고, 현대자동차, 삼성 및 LG전자의 설비 확장에 따른 주요 부품 수입의 증가 등으로 2003년 우리의 대인도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06% 급증한 2,853백만 불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증가세는 2004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36.3억불에 달했으며, 2005년 11월말 기준 25% 증가한 41.45억불에 이르렀다.
우리의 대인도 수입 또한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1년에는 대인도 수입이 처음으로 10억불을 상회하였고, 2004년에는 18.5억불을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인도간 교역은 향후 안정적인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2003년이래 우리의 대인도 수출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무역흑자가 2004년에 17.8억불, 2005년 11월말 전년기록을 넘어선 22.6억불을 기록하며 단기적으로는 무역 불균형이 심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기탄잘리 수잔 콜라나드, 2006, [인도], 휘슬러
스와미치트아난다사라스바티, 2005, [인도 신화], 북하우스
이광수, 2007, [인도 문화],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인터넷 사이트
인도 바로보기, http://maincc.hufs.ac.kr/~indo
주한인도대사관, www.indembassy.or.kr
1996. 2 김영삼 대통령 방문
1996.11 주 뭄바이 총영사관 개설
1999. 2 김종필 국무총리 방문
2000.10 Chatutala 주수상방한
2004. 4 Jaswant Singh 외교장관방한
2. 경제관계
1) 한국과의 무역관계
남북한 대치상황이 치열했던 과거 인도는 한국의 비동맹 외교의 주요 거점으로 양국관계에서 정치적, 외교적 측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나 한국의 경제성장 및 인도의 개방정책 추진, 국제정세의 변화 등으로 양국간 통상, 투자관계의 비중이 크게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양국간 교역규모는 2004년 말 기준으로 사상처음으로 54.8억불을 넘어섰고, 한국의 대인도 직접투자는 한국수출입은행 투자신고 기준으로 13억불에 달하고 있어 전체 대인도 직접투자에서 45위를 차지하는 등 인도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한국의 비중은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우리의 주요기업들이 직접 투자하여 현지에서 성공적인 경영을 하고 있으며, 이들 3개 기업의 현지 매출은 2004년 약 35억불에 달하여 2004년도 우리나라의 대인도 총 수출액(36.3억불)과 맞먹는 규모이다. 또한 이들 3개사는 2005년에도 전년대비 약3040%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생산제품이 가전, 자동차 등 소비자와 친숙한 내구소비재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한국 제품 전반에 대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 주요 가전제품분야에서 LG와 삼성을 합할 경우 대부분의 품목에서 이들 한국기업이 시장점유율 1, 2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성공적인 투자성과를 거두고 있다.
2) 교역동향
한국의 대인도 수출은 석유시추설비 관련 대규모 수주가 있었던 '93년도 1,804백만 불을 기점으로 97년도까지 지속 감소세를 시현하였으나 98년 들어 IMF위기에 따른 한국 원화의 평가절하로 인한 가격경쟁력 향상 및 인도 바이어들의 발 빠른 반응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한 1,668백만 불을 기록한 반면 수입은 급감, 603백만 불에 그쳐 약 10억불을 무역흑자를 시현한 바 있다. 2003년 들어서는 지난해부터 인도가 CDMA 방식의 무선통신기기를 본격 도입하면서 무선통신기기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데다, 2002년 수출이 37백만 불에 그쳤던 선박 수출이 2003년 241백만 불로 크게 증가하였고, 현대자동차, 삼성 및 LG전자의 설비 확장에 따른 주요 부품 수입의 증가 등으로 2003년 우리의 대인도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06% 급증한 2,853백만 불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증가세는 2004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36.3억불에 달했으며, 2005년 11월말 기준 25% 증가한 41.45억불에 이르렀다.
우리의 대인도 수입 또한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1년에는 대인도 수입이 처음으로 10억불을 상회하였고, 2004년에는 18.5억불을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인도간 교역은 향후 안정적인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2003년이래 우리의 대인도 수출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무역흑자가 2004년에 17.8억불, 2005년 11월말 전년기록을 넘어선 22.6억불을 기록하며 단기적으로는 무역 불균형이 심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기탄잘리 수잔 콜라나드, 2006, [인도], 휘슬러
스와미치트아난다사라스바티, 2005, [인도 신화], 북하우스
이광수, 2007, [인도 문화],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인터넷 사이트
인도 바로보기, http://maincc.hufs.ac.kr/~indo
주한인도대사관, www.indembassy.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