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cosity of liquids 액체의 점성도 측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Title : Viscosity of liquids

● Date :

● Purpose

● Abstract

● Theory

● Procedure

● Result

● Discussion

● Reference

본문내용

70
22.487
21.270
21.120
21.980
21.457
21.560
20.970
20.480
21.003
Glycerin
1M
평균
0.1M
평균
0.01M
평균
25℃
30.150
29.580
29.980
29.903
25.730
25.340
25.550
25.540
25.270
24.870
24.910
25.017
35℃
27.560
26.960
26.810
27.110
21.270
21.340
21.410
21.340
21.030
21.530
21.890
21.483
47℃
22.580
22.040
22.720
22.447
19.340
19.540
19.370
19.417
19.500
19.220
19.340
19.353
점성도(단위 : cP)
Methyl acetate
1M
0.1M
0.01M
25℃
1.129477
1.086508
1.039991
35℃
0.890013
0.892633
0.845715
47℃
0.70563
0.686276
0.678577
Acetic acid
1M
0.1M
0.01M
25℃
1.170879
1.176371
1.165254
35℃
0.94202
0.917485
0.929816
47℃
0.762175
0.727263
0.711898
Glycerin
1M
0.1M
0.01M
25℃
1.430595
1.22185
1.196814
35℃
1.221095
0.961201
0.967657
47℃
0.907878
0.785326
0.782765
온도에 따른 시료의 점성도
1) 25℃에서 시료의 점성도 (단위는 cP)
CH3COOCH3
CH3COOH
Glycerin
1M
1.129477
1.1708
1.430596
0.1M
1.086508
1.176371
1.22185
0.01M
1.03999
1.165254
1.196814
2) 35℃에서의 시료의 점성도 (단위는 cP)
CH3COOCH3
CH3COOH
Glycerin
1M
0.890013
0.94202
1.221095
0.1M
0.8926
0.9174
0.961201
0.01M
0.845715
0.929816
0.967657
3) 47℃에서의 시료의 점성도 (단위는 cP)
CH3COOCH3
CH3COOH
Glycerin
1M
0.70563
0.762175
0.907878
0.1M
0.686276
0.727263
0.785326
0.01M
0.678577
0.711898
0.782765
농도에 따른 시료의 점성도
1) 1M에서의 시료의 점성도(단위는 cP)
CH3COOCH3
CH3COOH
Glycerin
25℃
1.129477
1.170879
1.430595
35℃
0.890013
0.94202
1.221095
47℃
0.70563
0.762175
0.907878
2) 0.1M에서의 시료의 점성도 (단위는 cP)
CH3COOCH3
CH3COOH
Glycerin
25℃
1.086508
1.176371
1.22185
35℃
0.892633
0.917485
0.961201
47℃
0.686276
0.727263
0.785326
3) 0.01M에서의 시료의 점성도 (단위는 cP)
CH3COOCH3
CH3COOH
Glycerin
25℃
1.039991
1.165254
1.196814
35℃
0.845715
0.929816
0.967657
47℃
0.678577
0.711898
0.782765
용액의 점성도
1) Methyl acetate의 점성도 (단위는 cP)
1M
0.1M
0.01M
25℃
1.129477
1.086508
1.039991
35℃
0.890013
0.892633
0.845715
47℃
0.70563
0.686276
0.678577
2) Acetic acid의 점성도 (단위는 cP)
1M
0.1M
0.01M
25℃
1.170879
1.176371
1.165254
35℃
0.94202
0.917485
0.929816
47℃
0.762175
0.727263
0.711898
3) Glycerin의 점성도 (단위는 cP)
1M
0.1M
0.01M
25℃
1.430595
1.22185
1.196814
35℃
1.221095
0.961201
0.967657
47℃
0.907878
0.785326
0.782765
● Discussion
이번 실험에서는 Ostwald viscometer를 사용하여 3가지 용액에 대하여 온도와 농도에 대한 점성도를 측정하여 농도와 온도가 점성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점성도 측정은 상대 점성도 측정법을 이용하였고, 기준용액은 물을 이용했다.
항온조의 온도가 요구했던 온도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온도에 따른 점성도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론에서도 이해했듯이 실험결과에서도
점성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작을수록 크기가 감소했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농도가 클수록 그 크기는 증가했다.
35℃에서 Acetic acid의 점성도의 측정값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이론과 일치한 결과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용액들의 점성도를 비교해보면,
용액의 점성도는
Methyl acetate < Acetic acid < Glycerin
이었다.
이러한 용액에 따라 점성도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용액에 붙어있는 작용기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된다. 메틸기(CH3)보다는 OH기가 많을수록 점성도가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즉 OH기가 많을수록 용액간의 수소결합으로 인해 내부결합력이 강해져서 점성도가 커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실험이 정확한 값을 요구한다기 보다는 온도와 농도가 점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지만 오차가 생길 수 있는 원인을 생각해보면
1) 항온조 내에서 온도 평형
2) 시간 측정시 생기는 오차
3) 불순물에 의한 오차
4) 시약의 변질에 따른 오차 등이 있다.
● Reference
물리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1999
물리화학, LaidlerMeiser, 자유아카데미, 1997
Handbook of Physical&Chemistry, CRC 75th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8.0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