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 발달과 적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사회성 발달의 개념 및 의의

2.Erikson의 사회성 발달 이론

3.에릭슨의 이론에 대한 비판

4.에릭슨 이론의 교육에의 적용

5.부모의 수용이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께 인간 발달을 수동적이고 비관론적으로 보았다.
4.에릭슨 이론의 교육에의 적용
첫째, 특정한 유형의 행동(行動)과 관계(關係)는 연령 수준에 따라 특별한 의의(意義)가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둘째, 나이 어린 취학 전 아동의 자율성(自律性) 발달을 조장하기 위하여 자유롭게 놀고 실험해 볼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아동이 회의감(懷疑感)을 경험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용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해 창피를 주는 일을 삼가 해야 한다.
셋째, 좀 더 나이든 취학 전 아동에게는 주도성(主導性)을 사용하도록 그들의 활동을 장려하고 성취감(成就感)을 갖게 해야 한다. 동기는 좋지만 난처한 질문이나 활동에 대해 죄책감을 갖게 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질투심이 있는 아동은 그들 자신의 행동을 통해서 만족을 얻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시기에는 어린이들이 성공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과제를 제공하여 근면성(勤勉性)을 경험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알도록 하기 위해 이와 같은 과제를 제공해야 한다. 열등감(劣等感)을 줄이기 위해 학생 상호 간을 비교하지 말고 자기경쟁(self-competition)을 조장해야 한다.
다섯째, 중등학교 수준에서는 학생 각자의 정체감 탐색(正體感 探索)의 중요성을 기억해야 한다. 학생들이 자기 자신의 용모를 수용하도록 도와주고, 지연된 직업 선택이 너무 위험하게 보이면 단기 목표를 설정하도록 자극하고, 학생들이 존중할만한 사람들을 소개함으로써 정체감을 조장해야 한다. 이와 아울러, 남성은 남성으로서 여성은 여성으로서의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바꾸기 때문에 어떤 특정 직업에 끝까지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여섯째, 좀 더 나이든 학생들의 무목적성은 그들이 심리사회적 유예기(猶豫期)에 처해 있다는 증거일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가능하면 이와 같은 학생들이 단기 목표에 초점을 맞추도록 격려해주어야 한다.
일곱째, 일부 학생들의 파괴적인 행동이 부정적 정체감의 연출에서 기인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인내심을 가져야 2한다. 다른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부정적인 행동을 통제해야 한다면, 말썽꾸러기는 말썽꾸러기로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식으로 처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교사가 이런 행동에 대해서 악의(惡意)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과 학급에서 긍정적인 공헌을 할 수 있는 학생들의 능력을 믿고 있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가능하다면, 앞의 말썽꾸러기 학생들에게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과제를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부모의 수용이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화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그들의 사회적 집단에서 기대되는 가치관과 행동규준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청소년들은 아동들에 비하여 동료관계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회에서 가정은 여전히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Symonds(1939) 이래 부모의 행동은 온정과 통제의 두 차원으로 구분되어왔으며, 그 중 온정의 차원이 청소년의 제반 특성을 보다 잘 예언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용은 온정의 차원에 속하며, 수용적인 부모는 자녀에게 언어적 및 신체적으로 애정을 표시한다. 부모의 수용은 자녀에게 자신이 가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녀가 스스로를 존중하게 만들고 자신의 행동에 자신을 갖게 한다. 수용은 부모가 언행을 통해서 자녀에게 가르치는 것을 자녀가 더 잘 배우게 하는 분위기를 제공함으로써 동기유발의 효과도 있다. 수용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데 비하여 수용의 결핍 또는 거부는 인간을 폐쇄적이고 방어적으로 만든다. Rohner(1980, 1984, 1986)의 이론에 의하면, 부모의 수용이나 거부는 자녀의 성격과 행동 경향 뿐 아니라 성인의 성격 기능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수용은 자녀의 내면적 가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반영함으로써 자존심을 높이는 반면에, 거부는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한다. 또한 부모의 수용은 자녀의 도덕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이타심과 친사회적 행동을 조장하지만, 거부는 부모의 반사회적 특징을 모방케 하여 자녀의 분노와 공격반항비행 등을 유발하며 정서적 무반응으로 인한 대인관계의 장애와 소외감부정적 세계관을 초래한다. 부모의 거부와 무관심 또는 적대감은 자녀가 성장한 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애정을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의 손상으로 그들의 자녀를 다시 거부하게 되는 악순환을 겪는다. 그러나 자녀가 자주성과 비개인화 능력이 있거나 부모의 거부를 중화시킬 수 있는 온정적인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부정적인 경향을 극복할 수도 있다. 부모와 자녀와의 문제는 흔히 초기의 문제가 확대 또는 연장된 것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우선 보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고영희 외, 심리학, 재판, 서울:양서원, 1990.
김성일, “부모의 수용이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미국 문헌 고 찰”, 한국심리학회지 제 13권 제 1호, 1994. pp.90-128.
김인자 역(1991). 적응 심리, 서울: 정민사.
대학교육심리연구회 편, 교육심리, 서울: 교육출판사, 1993.
손정락 역(1996). 성격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유안진(1992). 인간 발달 신강, 중판, 서울: 문음사.
한충효(1990). 교육심리학의 구조 탐구, 중판, 서울: 교육과학사.
한충효(1995). “Erikson 이론의 교육적 함의”, 교육연구정보, 제 20호, pp.41-49.
홍숙기 역(1990). 성격심리학, 중판, 서울: 박영사.
Biehler,R.F.,& Snowman,J.(1990). Psychology applied to teaching(6th ed.), Boston: Houghton Mifflin.
Woolfolk,A.E.(1993). Educational Psychology(5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가격4,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8.09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