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탱의 생애와 항존주의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마리탱의 생애와 사상(1882―1973)

2. 항 존 주 의
Ⅰ. 항존주의의 개념
Ⅱ. 항존주의의 역사
Ⅲ. 교육이론
Ⅳ. 본질주의와 항존주의의 다른점
Ⅴ. 비판
Ⅵ. 대표적 사상가
Ⅶ. 한국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Ⅴ. 비판
지적 훈련을 강조하고 있는데 과연 모든 사람이 교육을 통한 전문교육을 해낼 수용자세가 되어있는가가 문제다.
지성의 귀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을 고전적 전통에 불합리하게 제한시켰다. 현실을 경시하고 급변하는 현실과는 관계없는 고전을 통해서만 이성을 훈련하려 했다.
항존주의가 절대적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는 반면 민주주의 원리는 상대적이므로 새로운 진리를 탐구하는 과학 정신, 자유시민을 육성하는 민주주의 요청에 위배되는 교육이다.
학문적 능력에 못지 않는 인간의 다른 특질들의 발달을 지연시켰다. 인간은 지적,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활동의 복합체인데 오직 지적인 면만 강조하게 되면 전인 교육에 위배된다.
Ⅵ. 대표적 사상가
허친스(무종교 대표), 아들러(개신교 대표), 마리뗑(가톨릭 대표), 커닝햄 등
Ⅶ. 한국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에 항존주의 교육철학이 미친 영향은 교육과정에서 현실과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게 한 점이다.
지역과 시대, 계층의 특질과 특징, 경향을 무시한 채 절대적인 명제로 제시된 한정된 지식을 교육과정의 주요과업으로 제시하면서 현장교육과 지역사회와 유리되어 고립된 지식을 학생들이 배우게 된 점을 들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8.1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