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요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약물요법
Ⅰ. 정신약물학의 역사

Ⅱ. 투약 관리

Ⅲ. 항정신병 약물

Ⅳ. 항우울제

Ⅴ. 항조증 약물

Ⅵ. 항불안제

본문내용

잠재형 정신분열병의 병력을 가진 대상자에게 주의하여 사용해야 함(정신증 재발
빈도 증가)
노인대상자에 주의하여 사용해야 함(초조나 혼란이 증가될 수 있음)
운전하거나 위험한 임무를 가지고 있을 때 주의하여 사용하여야만 한다.
표 19. 리튬을 복용하는 대상자
간호진단: 리튬 부작용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약물복용 불이행
기대되는 결과: 리튬 부작용이 취소화되고 안전이 증진될 것이다.
부작용
중재
이론적 근거
독성
설사, 오심, 구토와 같은 초기 독성 증상에 대해 관찰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독성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약물치료 시작 전에 신장기능과 심맥관 기능에 대한 기준치를 얻는다(예:BUN,ECG).
치료적 수준과 독성간의 차이는 작다. 이런 초기 증상의 기록은 독성 예방을 돕는다.
리튬은 신장으로 배설된다. 신장의 비효율적 기능으로 독성이 축적될 수도 있다.
신장기능과 연관된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리튬 혈청 농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와 가족에게 추후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대상자는 마지막 용량을 복용한 후 12시간에 추출한 리튬 농도를 알 필요가 있다(예:8기 마지막 복용, 리튬농도는 다음날 아침 8시경에 측정, 검사까지 아침용량을 먹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어떻게 적절한 염분을 섭취할지, 발한, 구토, 설사를 통한 염부소실이 증가된다면 위사에게 알릴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이런 검사는 리튬의 혈청 농도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를 제공한다.
염분은 재흡수에 관하여 신장에서 리튬과 대응관계가 있다. 그, 때문에 염분의 감소는 리튬 독성 위험증가의
요인이 된다.
조증 행동의
재발
대상자와 가족에게 수다, 증가된 운동, 사고비약, 휴식불능, 집중감소와 같은 조증의 재발징후에 대해 교육한다.
정신과적 주목이 요구됨을 대상자와 가족이 인식토록 하기 위함이다.
우울의 재발
대상자와 가족에게 울음, 절망감,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부족, 에너지 부족과 같은 우울의 재발증상을 교육한다.
정신과적 주목이 요구됨을 대상자와 가족이 인식토록하기 위함이다
Ⅵ. 항불안제
불안은 일반적인 인간 행동의 정상적인 면임과 동시에 많은 정신질환의 주요 증상이다. 또한 불안은 두려움과 관련되며 정신생물학적 적응 목적을 위해 소용된다. 항불안제는 가장 널리 처방되는 약물 중의 하나이며 두렷한 불안이나 신체적 호소의 치료에 특효약이다. 또한 이 약물은 경련이나 근육경축의 치료에도 유용하다(표20,21)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은 가장 유용한 항불안제이다. 이 약에 가장 잘 반응하는 상태는 내과나 정신과 대상자의 불안반응 상태가 포함된다. 대상자의 불안에 기여하는 내과적 요인은 이런 약물요법이 시작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항불안제 투여가 간호에 시사하는 점은 신체적 정신적 의존과 남용 가능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 약물의 남용은 약 3~4주 후에 내성이 생기는 것이 부분적인 요인일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대상자는 처음의 안한 상태를 다시 찾기 위하여 처방된 용량 이상으로 양을 늘릴 있다. 대상자는 이 약물이 불안의 치료제가 아니며 불안의 근원을 찾는 것이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알고 있어야만 한다. 간호사는 또 대상자의 감정을 다루는 방법을 찾아냄으로써 도울 수 있다.(표 22)
과거 10여 년간 공황장애에 대한 관심은 크게 놓아졌다. 공황장애의 치료에서 벤조디아제핀의 단기 효능은 특히 증상조정에 효과적인 알프라졸람(Alprazolam)과 클로나제(Clonaze
-pam)을 이용한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 약물들은 공황장애의 치료에 예방적으로 이용되지만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할 때는 대상자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표. 20
분류
일반명
상품명
1일 용량(mg)
Benzodiazepines
Alprazolam
Diazepam
Lorazepam
Chlordiazepoxide HCI
Clorazepate dipotassium
Clonazepam
Clobasam
Oxazepam
Xanax
Valium
Ativan
Librium
Tranxene
Klonopin
Frisium
Serenid
0.5~4
2~40
2~4
15~100
7.5~60
0.5~10
20~60
30~120
Azaspirodecanedione
Buspirone HCI
Buspar
20~30
Propanediols
Meprobamate
Equanil/Miltown
1200~1600
표 21.
분류
항불안제-불안, 긴장과 초조를 감소시킨다.
작용
변연계, 시상,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진정효과를 낸다.
부작용
중추신경계-졸음, 운동실조증, 혼돈, 우울, 시야흐림
심맥관계-저혈압, 심계항진, 기절, 일시적 심전도 변화
위장관계-오심, 구토, 설사
조혈기관-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 세포증
내부비계-성욕변화
알레르기-피부발진
신체적/심리적 의존선-약물의 중단은 경련, 진전, 복부와 근육경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약물 상호작용
중추신경계 억제제-작용상승
금기
신장이나 간장애를 가진 대상자
표 22. 항불안제를 복용하는 대상자
간호진단: 항불안제의 부작용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약물복용 불이행
기대되는 결과: 항불안제의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안전이 증진될 것이다
부작용/문제
중재
이론적 근거
진정작용
취침시간에 약물을 복용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위험한 장비의 사용이나 운전을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진정효과를 최대화하고 수면을 증진시킨다.
사고와 손상의 가능성을 예방하고 최소화한다.
신체적, 정신적 위ㅈ의존
문제를 현실적으로 보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신체운동, 원예와 이완기술과 같이 불안을 다루는 다른 대안을 시험하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용량을 증가시키려는 욕구, 불안, 복부경련과 같은 의존성의 증상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의사의 지시없이 갑자기 약물복용을 중단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혼란과 불안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긴장완화, 목표설정, 이완을 증징하기 위함이다.
약물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대상자가 책임을 가지고 약물사용에 대한 통제를 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갑작스러운 중단은 발작과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8.23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