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철학과 비판적 존재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재철학과 비판적 존재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전통적 형이상학의 비판
3. 전통적 형이상학의 극복
4. 새로운 형이상학 : 비판적 형이상학
5. 맺음말

본문내용

궁극적으로 형이상학의 부정에 있지 않다. 이것은 형이상학을 일종의 학으로 정초시키기 위한 그 가능성 모색 이었다. 아니 모색의 이면에는 이를 확고하게 정초시키기 위한 일념이 함께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따라서 칸트의 비판철학은 표류하는 형이상학의 항로에 정확한 좌표와 방향을 제시하고, 그리하여 더 이상 이것의 표류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형이상학의 순항을 통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생산적인 학문으로서의 확립을 꾀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칸트 이후 많은 관념론 철학자들이 휘황찬 언어로 이러한 본지를 흩뜨려 놓았다. 존재하는 바의 것은 절대정신(Absolute Geist)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혹은 현 존재(Dasein)의 삶을 위하여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지향하는바 의식(Bewutsein)의 대상으로 존재하는 것 또한 아니다. 처음부터 도구성을 혹은 대상성을 존재성격으로 하는 존재자는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바로 특정한 존재자와 관계 속에서 비로소 규정 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즉 절대정신, 현존재 그리고 의식과 관련하여 각각 드러나는 존재자 일반의 존재성격 이다. 따라서 문제로 되는 것은 존재자 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존재자, 즉 절대정신, 현 존재 그리고 의식이다. 이들의 존재성격이 빠진 무한성, 실존성 그리고 지향성이 문제로 되는 것이다. 자신의 목적 실현에 동원될 유한자가 없는 절대정신이란 허수아비에 지나지 않으며, 관심을 쏟을 대상과 자신이 지향해야 할 대상이 없는 현존재와 의식은 자신들의 존재기반을 상실하게 된다. 이들은 처음부터 이렇게 태어난 것이다. 따라서 존재자 일반으로 하여금 도구성과대상성을 존재성격으로 갖는 존재자로 존재 하는 것은 다름 아닌 바로 이들 이었던 것이다. 이들이야 말로 존재 하는 바를 규정하는 규정자인 셈이다. 존재자 일반의 존재성격은 바로 이들에게서 비롯된 것이다. 존재하는 바의 것이 도구적 존재자로 혹은 대상적 존재자로 규정 될 수 있는 소이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존재와 존재자는 구별되어야 하겠다. 존재는 더 이상 한낱 존재자의 존재성격으로부터 규정 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존재자 일반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존재성격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든지 일종의 존재자로부터 일체의 존재하는바가 온전히 규정되기란 도저히 불가능한 것이다. 그것이 절대정신이든, 현 존재이든 그리고 의식이든 상관없이 말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8.23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