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연주의의 개념
2. 자연주의의 성립 배경
3.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4. 자연주의 미술
5. 자연주의 문학
6. 서양의 자연주의문학
7. 한국의 자연주의문학
8. 맺음말
2. 자연주의의 성립 배경
3.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4. 자연주의 미술
5. 자연주의 문학
6. 서양의 자연주의문학
7. 한국의 자연주의문학
8. 맺음말
본문내용
이 있다. 이 시기에 이르러 본격적인 자연주의 작품제작단계에 이르렀으며 김동인의 감자나 전영택의 화수분은 대표적인 자연주의 작품이다. 또한 염상섭의 만세전은 자연주의 계열의 최초의 중편소설이다. 한국에서의 자연주의는 그것이 일본을 통해 수입된 점과 자연주의라기보다는 낭만주의에 가깝다는 점에서 자연주의로 규정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8. 맺음말
자연주의는 과학에서의 실험과 관찰, 사진기나 녹음기 같은 기록자의 역할을 작가에게 요구한다. 그러나, 예술가는 예술가요, 과학자는 과학자, 곧 창조와 과학은 혼돈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점에서 자연주의는 작가의 창조적 상상력을 배제하려는 반미학(anti-aesthetis) 운동이다.
중요한 자연주의 작가들은 자연주의의 원리를 뛰어넘는 데서 성공하고 있다. 이것은 역설적 성공이라고 할 수도 있다. "예술 작품이란 어떤 기질을 통하여 보여지는 자연의 한 조각"이라는 졸라의 말은 기질, 곧 작가의 창조적 주관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자연주의 이론을 보여준다. 현실의 관찰과 실험의 묘사에서 작가의 개인적 작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을 졸라 자신이 시인한 것이다. 과학적 극단은 반과학적인 방향으로 반전하기 마련이다. 다시 주관주의, 이상주의 쪽으로 전회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시대의 조류이다. 이리하여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쪽으로 나가게 된다.
◈참고문헌◈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사전』민음사 2001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1999
Peter N, Skrine 외 『 Naturalism』 (천승걸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8. 맺음말
자연주의는 과학에서의 실험과 관찰, 사진기나 녹음기 같은 기록자의 역할을 작가에게 요구한다. 그러나, 예술가는 예술가요, 과학자는 과학자, 곧 창조와 과학은 혼돈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점에서 자연주의는 작가의 창조적 상상력을 배제하려는 반미학(anti-aesthetis) 운동이다.
중요한 자연주의 작가들은 자연주의의 원리를 뛰어넘는 데서 성공하고 있다. 이것은 역설적 성공이라고 할 수도 있다. "예술 작품이란 어떤 기질을 통하여 보여지는 자연의 한 조각"이라는 졸라의 말은 기질, 곧 작가의 창조적 주관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자연주의 이론을 보여준다. 현실의 관찰과 실험의 묘사에서 작가의 개인적 작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을 졸라 자신이 시인한 것이다. 과학적 극단은 반과학적인 방향으로 반전하기 마련이다. 다시 주관주의, 이상주의 쪽으로 전회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시대의 조류이다. 이리하여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쪽으로 나가게 된다.
◈참고문헌◈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사전』민음사 2001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1999
Peter N, Skrine 외 『 Naturalism』 (천승걸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