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온결합 : 양이온(=금속) + 음이온(=비금속)
1) 이온 : 중성의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전하를 띠는 입자
2) 이온화
3) 이온 결합성 물질의 성질
(2) 공유결합 : 비금속 + 비금속
1) 공유 결합의 표시
2) 공유 결합의 종류
3) 다중 결합이 나타내는 특성
4) 공유 결합 물질의 성질
(3) 금속결합 : 금속양이온 + 자유전자
1) 금속 결합의 결합력
2) 금속의 특성
3) 합금
1) 이온 : 중성의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전하를 띠는 입자
2) 이온화
3) 이온 결합성 물질의 성질
(2) 공유결합 : 비금속 + 비금속
1) 공유 결합의 표시
2) 공유 결합의 종류
3) 다중 결합이 나타내는 특성
4) 공유 결합 물질의 성질
(3) 금속결합 : 금속양이온 + 자유전자
1) 금속 결합의 결합력
2) 금속의 특성
3) 합금
본문내용
→ Cl-
결국 이 두 원자는 정전기적 인력(coulomb force)에 이끌려 결합하게 되는데 이를 이온결합이라고 부른다.
→
2.이온결합력
Coulomb force란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데, 이온결합력은 두 이온의 전하량 곱에 비례하고, 두 이온의 전하량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 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q1 . q2
* F = k ----------
r2
*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이 클수록 이온결합이 강하다.
NaCl< MgO< Al2O3
* 양이온과 음이온간의 핵간 거리가 짧을수록 이온결합이 강하게 된다.
NaI < NaBr < NaCl < NaF
* 두 이온의 전하의 크기가 클수록 녹는점이 높다.
3.이온 반지름
이온 반지름은 이온결정중에 있는 두 원자핵 사이의 거리로 구하는데, 주기성을 가지고 있다.
같은 족에 속하는 원소의 이온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커진다.
왜냐하면,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전자 껍질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 Li < Na < K < Rb
같은 주기 원소의 같은 종류의 이온은 원자 번호가 클수록 이온 반지름이 작아진다.
* Na > Mg > , S > Cl
등전자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클수록 작아진다.
* O2- F->Ne>Na+>Mg2+
5.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
일반적으로 원자가 양이온이 되면 이온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 보다 작아지게 된다.
왜냐하면, 원자가 양이온이 될 때 핵의 전하는 그대로 있는데, 전자를 잃어 버렸기 때문에 최외각 전자 껍질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그러나, 원자가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면, 이온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 보다 커지게 된다.이렇게 이온 반지름이 커지는 까닭은, 핵의 전하는 그대로 있는 반면에 전자를 얻었기 때문에 전자의 수 증가에 따라 전자 사이에 척력이 생겨 반지름이
4.이온 결정의 구조
염화나트륨(NaCl)형 결정 격자는 면심 입방 격자라고 부르는데, 정육면체 중심에 Na+이 있고, 각 면의 중심에 Cl-이 있는 결정 격자로 1개의 Na+ 주위에 6개의 Cl-이 둘러 싸고 있다.
이와같은 염화나트륨형 면심 입방 격자로는,
* CaO, KCl, KI, MgO 등이 있다.
염화세슘(CsCl)형 결정 격자는 체심 입방 격자라고도 부르는데 정육면체의 중앙에 Ca2+이 있고, 각 꼭지점에 Cl-이 있는 구조로 1개의 Cs2+에 8개의 Cl-이 둘러싸고 있다.
CsCl과 같은 결정으로는 CaBr, NH4Cl 등이 있다.
5.이온결합 물질의 성질
* 이온결합 물질은 두 이온 사이의 결합력이 강하므로 상온에서 결정상태로 존재한다.
* 이온결합 물질은 상온에서 전지 전도성이 없으나 용융시키면 활동이 자유로워 지기 때문 에 전기 전도성이 커진다.
* 이온결합 물질은 두 이온 사이의 전하로 세게 끌리기 때문에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높다.
* 이온결합 물질은 결합력이 강하여 단단하지만, 이온간의 반발력에 의하여 부스러지기 쉽 다
* 이온결합 물질은 극성 용매에 쉽게 녹는다.
* 이온결합 물질은 분자가 아니므로 실험식으로 나타낸다
결국 이 두 원자는 정전기적 인력(coulomb force)에 이끌려 결합하게 되는데 이를 이온결합이라고 부른다.
→
2.이온결합력
Coulomb force란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데, 이온결합력은 두 이온의 전하량 곱에 비례하고, 두 이온의 전하량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 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q1 . q2
* F = k ----------
r2
*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이 클수록 이온결합이 강하다.
NaCl< MgO< Al2O3
* 양이온과 음이온간의 핵간 거리가 짧을수록 이온결합이 강하게 된다.
NaI < NaBr < NaCl < NaF
* 두 이온의 전하의 크기가 클수록 녹는점이 높다.
3.이온 반지름
이온 반지름은 이온결정중에 있는 두 원자핵 사이의 거리로 구하는데, 주기성을 가지고 있다.
같은 족에 속하는 원소의 이온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커진다.
왜냐하면,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전자 껍질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 Li < Na < K < Rb
같은 주기 원소의 같은 종류의 이온은 원자 번호가 클수록 이온 반지름이 작아진다.
* Na > Mg > , S > Cl
등전자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클수록 작아진다.
* O2- F->Ne>Na+>Mg2+
5.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
일반적으로 원자가 양이온이 되면 이온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 보다 작아지게 된다.
왜냐하면, 원자가 양이온이 될 때 핵의 전하는 그대로 있는데, 전자를 잃어 버렸기 때문에 최외각 전자 껍질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그러나, 원자가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면, 이온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 보다 커지게 된다.이렇게 이온 반지름이 커지는 까닭은, 핵의 전하는 그대로 있는 반면에 전자를 얻었기 때문에 전자의 수 증가에 따라 전자 사이에 척력이 생겨 반지름이
4.이온 결정의 구조
염화나트륨(NaCl)형 결정 격자는 면심 입방 격자라고 부르는데, 정육면체 중심에 Na+이 있고, 각 면의 중심에 Cl-이 있는 결정 격자로 1개의 Na+ 주위에 6개의 Cl-이 둘러 싸고 있다.
이와같은 염화나트륨형 면심 입방 격자로는,
* CaO, KCl, KI, MgO 등이 있다.
염화세슘(CsCl)형 결정 격자는 체심 입방 격자라고도 부르는데 정육면체의 중앙에 Ca2+이 있고, 각 꼭지점에 Cl-이 있는 구조로 1개의 Cs2+에 8개의 Cl-이 둘러싸고 있다.
CsCl과 같은 결정으로는 CaBr, NH4Cl 등이 있다.
5.이온결합 물질의 성질
* 이온결합 물질은 두 이온 사이의 결합력이 강하므로 상온에서 결정상태로 존재한다.
* 이온결합 물질은 상온에서 전지 전도성이 없으나 용융시키면 활동이 자유로워 지기 때문 에 전기 전도성이 커진다.
* 이온결합 물질은 두 이온 사이의 전하로 세게 끌리기 때문에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높다.
* 이온결합 물질은 결합력이 강하여 단단하지만, 이온간의 반발력에 의하여 부스러지기 쉽 다
* 이온결합 물질은 극성 용매에 쉽게 녹는다.
* 이온결합 물질은 분자가 아니므로 실험식으로 나타낸다
추천자료
옥살레이트 철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반응
비단실의 화학적 성질
[예비] 전기화학실험
[a+]화학실험 [마그네슘의 연소]
폐기물의 화학적 처리 방법 및 각종 생성법(열분해공정)
생명공학과 화학공학이 접목된 연구분야 조사
[일반화학실험]평형상수의 결정
[화학실험]흡광도 측정<예비>
[일반화학실험] 고체의 녹는점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환경수질실험보고서)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ICP-MS (일반화학 실험1) 예비보고서
고등) <(화학ⅱ) 학습 지도안>
[물리화학] 깁스 프리 에너지와 평형상수와의 관계
사회문제론 C형 화학물질 비밀은 위험하다 레이첼 카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