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환위험의 개념
(1) 환위험이란?
(2) 환노출과 환위험과의 관계
(3) 환위험 관리의 필요성
2. 환위험 관리기법
(1) 내부적 관리기법
(2) 외부적 관리기법
3. 환위험 관리의 성공과 실패 사례
(1) 환위험 관리 성공 사례
(2) 환위험 관리 실패 사례와 문제점
4. 환위험관리의 개선방향
1)효율적인 환위험관리 체제의 성립
2) 환위험 관리에 대한 인식 전환
3) 환위험 관리체제의 시스템화
4) 환위험 관리수단의 다양화
5) 정부정책의 개선
Ⅲ. 결 론
< 참고 문헌 >
Ⅱ. 본 론
1. 환위험의 개념
(1) 환위험이란?
(2) 환노출과 환위험과의 관계
(3) 환위험 관리의 필요성
2. 환위험 관리기법
(1) 내부적 관리기법
(2) 외부적 관리기법
3. 환위험 관리의 성공과 실패 사례
(1) 환위험 관리 성공 사례
(2) 환위험 관리 실패 사례와 문제점
4. 환위험관리의 개선방향
1)효율적인 환위험관리 체제의 성립
2) 환위험 관리에 대한 인식 전환
3) 환위험 관리체제의 시스템화
4) 환위험 관리수단의 다양화
5) 정부정책의 개선
Ⅲ. 결 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는 현물환 매입(매도)과 선물환 매도(매입)과, 선물환 매입과 선물환 매도(만기 상이), 현물환과 현물환의 스왑(Backward Swap : O/N, T/N)이 있다.
② 외환스왑전략의거래목적
외환스왑전략의 첫 번째 거래목적은, 일시적인 특정 통화자금의 과부족 처리로써 이는 외화차입과 유사하다. 두 번째 목적으로, 결제기일의 연장 또는 단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연장의 경우는 spot day의 £화 수입결제를 연장할 경우, 3개월만기 buy & sell £ swap거래를 함으로써, 결제일을 3개월 후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3개월 후의 수출결제를 앞당길 경우, 3개월 만기 buy & sell £ swap거래를 함으로써, 결제일을 spot day로 단축할 수 있다.
세 번째 목적으로는, 환위험 없이 외환시장과 자금시장을 이용한 차익거래로써, 단기간에 높은 수익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래의 외화자산, 부채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으로 외환스왑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외환스왑전략의 주요 특징
외환스왑의 특징에는 첫 번째로, 단기금융거래에 소요되는 대출관련 부대경비가 절감되며, 또한 보유 통화를 담보로 채무불이행 위험(default risk) 축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쪽 통화에 여유자금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 이와 같이 금융기관의 환위험 관리수단은 은행과 선물환매매 계약을 체결하거나 수취한 달러를 거주자외화예금으로 운용하는 방법, 또는 통화선물, 통화스왑 계약 체결 등 다양한 환위험 관리방법이 있으므로 대외거래 형태, 헤지방법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제 환위험을 헤지할 때에는 각종 헤지수단(hedging tools)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감안하여 각 기업이나 금융기관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론 3. 환위험 관리의 성공과 실패 사례
(1) 환위험 관리 성공 사례
①코오롱 상사
1. 환위험 발생상황
우리나라 대기업 가운데 효율적으로 환위험 관리를 하는 기업 가운데 하나가 코오롱 상사이다. 다른 종합무역상사와 마찬가지로 코오롱상사 역시 많은 외환거래를 하고 있다, 외환거래를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환위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대부분의 기업들은 외부적 환위험 관리전략을 이용하여 헤지 하려고 한다. 이에 반해 코오롱상사는 근본적으로 환위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내부적 환위험 관리전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물론 선물 환거래나 옵션과 같은 외부적 관리전략 또한 이용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코오롱 상사가 환위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던 것은 그룹의 외환거래를 담당하는 외환전문가로 구성된 재무팀의 역할을 들 수 있다. 이 재무팀은 29개 국 통화의 선물환율을 매일 각 부서에 제공하고 있다. 1988년부터는 수출입 부서와 재무팀간의 사내선물환거래를 통해 기업의 외환거래를 재무팀으로 집중시켜 환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사내 선물 환 제도는 영업부서 직원의 금융실력도 향상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둬들이고 있다. 코오롱 상사는 더욱더 효과적으로 외환거래를 관리운영하기 위해서 상계(netting)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즉, 매일의 외환거래에서 수입과 수출에 대해 상계시스템을 이용하여 많은 거래를 상계시켜 그 차액만을 결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코오롱상사의 환위험이 근본적으로 축소되는 효과를 얻고 있다. 구체적인 상계시스템의 예를 들면 [표1]과 같다.
[표1] 코오롱상사의 상계(netting)시스템
단위 : 미 달러화
구 분
3월 29일
3월 30일
3월 31일
수출네고
3,200,200
4,530,000
12,400,000
수입결제
450,000
3,200,000
150,000
로컬네고
150,000
215,000
50,000
로컬결제
213,000
0
2,500,000
총결제합계액
4,013,000
7,945,000
15,100,000
실제결제액
2,687,000
1,545,000
9,800,000
차 액
(%)
1,326,000
(33%)
6,400,000
(80%)
5,300,000
(35%)
코오롱상사가 상계시스템을 이용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수출네고(nego), 수입결제, 로컬(local)네고, 로컬결제 등의 외화 유출입을 통화별로 관리하고 있다. 둘째 영업일 이전 각 수출입 담당자들이 계획안을 입력하면 재무팀에서 외화 유출입을 총괄적으로 관리한다.
[표1]에서 보면 1997년 3월 29일에서 31일 까지의 미 달러화 거래를 나타내고 있다. 수출입 거래를 많이 하는 기업의 경우 주로 월초나 월말에 많은 거래가 있으며 환율도 이때가 심한 변동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3월29일 외환거래를 보면 수출네고가 U$3,200,000이며, 수입결제가 U$450,00, 로컬네고U$150,00, 로컬결제U$213,000으로 총거래 계액은 U$4,013,000이다. 그런데 상계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계시키고 나면 실제 거래액은 U$2,687,000으로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3월 29일의 경우에만 당초 거래액의 33%에 해당하는 U$1,326,000의 거래금액이 줄어들면서 자연히 환위험에 노출된 금액이 줄어들게 되었다. 3월 30일과 3월 31일 이와 같이 상계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 80%,35%에 해당하는 640만 달러, 530만 달러의 거래금액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환율변동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 금액은 당초에는 총거래 금액이었지만 상계를 한 후에는 그 금액만큼을 뺀 나머지 금액만이 환위험에 노출되게 된 것이다.
2. 환위험 관리의 성공요인
코오롱 상사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공적인 환위험 관리를 하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 은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첫째, 환위험 관리의 집중이다. 각 영업부서별로 외환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재무팀과 사내선물환을 통해 재무팀으로 집중시킨다. 외환전문가로 구성된 이 재무팀에서 기업내의 모든 환위험 관리를 도맡아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상계시스템의 이용을 들 수 있다. 복잡한 외한거래와 계약들을 시스템화된 프로그램에 입력시키면 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외환거래를 넷팅 또는 매칭시켜며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처리할
② 외환스왑전략의거래목적
외환스왑전략의 첫 번째 거래목적은, 일시적인 특정 통화자금의 과부족 처리로써 이는 외화차입과 유사하다. 두 번째 목적으로, 결제기일의 연장 또는 단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연장의 경우는 spot day의 £화 수입결제를 연장할 경우, 3개월만기 buy & sell £ swap거래를 함으로써, 결제일을 3개월 후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3개월 후의 수출결제를 앞당길 경우, 3개월 만기 buy & sell £ swap거래를 함으로써, 결제일을 spot day로 단축할 수 있다.
세 번째 목적으로는, 환위험 없이 외환시장과 자금시장을 이용한 차익거래로써, 단기간에 높은 수익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래의 외화자산, 부채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으로 외환스왑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외환스왑전략의 주요 특징
외환스왑의 특징에는 첫 번째로, 단기금융거래에 소요되는 대출관련 부대경비가 절감되며, 또한 보유 통화를 담보로 채무불이행 위험(default risk) 축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쪽 통화에 여유자금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 이와 같이 금융기관의 환위험 관리수단은 은행과 선물환매매 계약을 체결하거나 수취한 달러를 거주자외화예금으로 운용하는 방법, 또는 통화선물, 통화스왑 계약 체결 등 다양한 환위험 관리방법이 있으므로 대외거래 형태, 헤지방법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제 환위험을 헤지할 때에는 각종 헤지수단(hedging tools)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감안하여 각 기업이나 금융기관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론 3. 환위험 관리의 성공과 실패 사례
(1) 환위험 관리 성공 사례
①코오롱 상사
1. 환위험 발생상황
우리나라 대기업 가운데 효율적으로 환위험 관리를 하는 기업 가운데 하나가 코오롱 상사이다. 다른 종합무역상사와 마찬가지로 코오롱상사 역시 많은 외환거래를 하고 있다, 외환거래를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환위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대부분의 기업들은 외부적 환위험 관리전략을 이용하여 헤지 하려고 한다. 이에 반해 코오롱상사는 근본적으로 환위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내부적 환위험 관리전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물론 선물 환거래나 옵션과 같은 외부적 관리전략 또한 이용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코오롱 상사가 환위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던 것은 그룹의 외환거래를 담당하는 외환전문가로 구성된 재무팀의 역할을 들 수 있다. 이 재무팀은 29개 국 통화의 선물환율을 매일 각 부서에 제공하고 있다. 1988년부터는 수출입 부서와 재무팀간의 사내선물환거래를 통해 기업의 외환거래를 재무팀으로 집중시켜 환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사내 선물 환 제도는 영업부서 직원의 금융실력도 향상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둬들이고 있다. 코오롱 상사는 더욱더 효과적으로 외환거래를 관리운영하기 위해서 상계(netting)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즉, 매일의 외환거래에서 수입과 수출에 대해 상계시스템을 이용하여 많은 거래를 상계시켜 그 차액만을 결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코오롱상사의 환위험이 근본적으로 축소되는 효과를 얻고 있다. 구체적인 상계시스템의 예를 들면 [표1]과 같다.
[표1] 코오롱상사의 상계(netting)시스템
단위 : 미 달러화
구 분
3월 29일
3월 30일
3월 31일
수출네고
3,200,200
4,530,000
12,400,000
수입결제
450,000
3,200,000
150,000
로컬네고
150,000
215,000
50,000
로컬결제
213,000
0
2,500,000
총결제합계액
4,013,000
7,945,000
15,100,000
실제결제액
2,687,000
1,545,000
9,800,000
차 액
(%)
1,326,000
(33%)
6,400,000
(80%)
5,300,000
(35%)
코오롱상사가 상계시스템을 이용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수출네고(nego), 수입결제, 로컬(local)네고, 로컬결제 등의 외화 유출입을 통화별로 관리하고 있다. 둘째 영업일 이전 각 수출입 담당자들이 계획안을 입력하면 재무팀에서 외화 유출입을 총괄적으로 관리한다.
[표1]에서 보면 1997년 3월 29일에서 31일 까지의 미 달러화 거래를 나타내고 있다. 수출입 거래를 많이 하는 기업의 경우 주로 월초나 월말에 많은 거래가 있으며 환율도 이때가 심한 변동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3월29일 외환거래를 보면 수출네고가 U$3,200,000이며, 수입결제가 U$450,00, 로컬네고U$150,00, 로컬결제U$213,000으로 총거래 계액은 U$4,013,000이다. 그런데 상계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계시키고 나면 실제 거래액은 U$2,687,000으로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3월 29일의 경우에만 당초 거래액의 33%에 해당하는 U$1,326,000의 거래금액이 줄어들면서 자연히 환위험에 노출된 금액이 줄어들게 되었다. 3월 30일과 3월 31일 이와 같이 상계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 80%,35%에 해당하는 640만 달러, 530만 달러의 거래금액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환율변동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 금액은 당초에는 총거래 금액이었지만 상계를 한 후에는 그 금액만큼을 뺀 나머지 금액만이 환위험에 노출되게 된 것이다.
2. 환위험 관리의 성공요인
코오롱 상사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공적인 환위험 관리를 하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 은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첫째, 환위험 관리의 집중이다. 각 영업부서별로 외환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재무팀과 사내선물환을 통해 재무팀으로 집중시킨다. 외환전문가로 구성된 이 재무팀에서 기업내의 모든 환위험 관리를 도맡아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상계시스템의 이용을 들 수 있다. 복잡한 외한거래와 계약들을 시스템화된 프로그램에 입력시키면 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외환거래를 넷팅 또는 매칭시켜며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처리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