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델 카스트로의 국제적 영향력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카스트로의 사상과 활동

Ⅱ. 본론
1. 쿠바 혁명을 통한 국제적 파장
1) 미국 중남미 정책 기조에의 영향
2) 중남미에 대한 서구의 인식 전환
3) 사회주의 운동에의 영향
4) 종속이론에의 영향
2. 냉전시기 카스트로의 국제적 파장
1) 쿠바 미사일 사태의 야기
3. 냉전 이후 카스트로의 국제적 파장
1) 사회주의 국가들에게 새로운 롤 모델을 제시
2) 자유무역협정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민중무역협정은 아직 이루어진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 이에 대한 성급한 평가는 어렵겠지만 적어도 자본주의 무역의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라는 측면에서 귀추가 주목되어지고 있다.
Ⅲ. 결 론
1. 중남미 시각에서 바라본 카스트로의 영향(필자의 견해)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카스트로의 활동은 국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남미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렇기에 결론에서는 중남미의 시각에서 바라본 카스트로의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카스트로의 영향이 중남미에 긍정적 이였는가 혹은 부정적 이였는가에 대해 단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시각들이 존재하는데 결론에서는 본 Report 내용을 바탕으로 필자의 생각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카스트로의 등장이 중남미에 부정적으로 다가왔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다고 부정적인 면만 있다는 것은 아니다. 카스트로는 이전 중남미 사회의 일관화 된 상황을 철저히 깨부숨으로써 중남미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그의 시도는 중남미 대외관계 그중 특히 미국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모순점들을 지적하면서 사회변혁을 야기 하였다. 쿠바혁명이 그랬고 냉전 종식 후 민중무역협정에서 그랬다. 이러한 시도는 그간의 모순점에 대하여 적극적인 반성의 계기를 주었으며 또한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부분은 그의 긍정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그의 시도가 긍정적인 결과를 수반하지 못했다는 것에 있다. 물론 이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할 점은 많으나 필자의 생각은 다음과 같다. 카스트로의 변혁시도는 시도 자체는 좋았으나 이전의 구조적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그가 주도한 탈종속화는 미국에의 탈 종속을 이루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다시 소련에의 종속을 야기 시켰고 결국 완전한 탈종속이 아닌 단지 종속의 대상만을 바꾸는데 그치게 된다. 또한 그들의 행위는 미국중남미정책의 전환을 이끌어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다 강압적인 미국중남미정책을 야기 시켰고, 그들의 혁명은 개혁을 통한 발전을 이루지 못한 체 오히려 중남미 사회의 혼란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렇듯 그들의 시도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 하지 못하며 오히려 문제점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카스트로는 중남미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악영향에도 불구하고 현재 쿠바는 재도약을 하고 있고 쿠바경제개혁과 민중무역협정 등 새로운 시도가 전개되어 지고 있다는데 있다. 20c 사회주의 실험이 대실패로 귀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남미 사회에서는 카스트로의 영향에 기인하여 다시금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시점에서 이러한 시도를 평가하기는 어려우나. 적어도 이러한 시도는 미국의 그릇된 중남미 정책과 국내적 모순을 바로잡는 것에 한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점의 개혁이라는 명목 하에 국제적 고립과 독재정권에의 폐해는 결코 정당화 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현재 카스트로의 영향에 기인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민중 무역 협정에도 우려 섞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쿠바가 비록 쿠바혁명을 통해 단기적 발전을 이루었고 냉전 종식 이후에도 재도약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그간의 국제적 고립으로 인핸 패해와 정권유지를 위한 국민의 자유 권리의 배제 등은 결코 잊어선 안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後藤政子(1985),「라틴 아메리카 현대사」, 미래사
리우스(1988),「쿠바혁명과 카스트로」, 오월
곽재성(2002), 「1990년대 이후 쿠바의 개혁과 대외개방」, 수업자료
북한경제개혁론 (후마니 타스, 2002)에 실린 논문 「북한의 경제개혁 모델 : 쿠바사례의 적용가능성」
리처드 플랫(2005), 「피델 카스트로」, 어린이작가정신
Coltman, Leycester/ Sweig, Julia E. (2003), 「Real Fidel Castro」, Yale University Press
*목 차
Ⅰ. 서론
1. 카스트로의 사상과 활동
Ⅱ. 본론
1. 쿠바 혁명을 통한 국제적 파장
1) 미국 중남미 정책 기조에의 영향
2) 중남미에 대한 서구의 인식 전환
3) 사회주의 운동에의 영향
4) 종속이론에의 영향
2. 냉전시기 카스트로의 국제적 파장
1) 쿠바 미사일 사태의 야기
3. 냉전 이후 카스트로의 국제적 파장
1) 사회주의 국가들에게 새로운 롤 모델을 제시
2) 자유무역협정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
Ⅵ.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9.1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