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가격제한폭제도
1.가격제한폭제도란 무엇인가?
2.가격제한폭제도의 목적
3.유가증권 가격제한폭제도의 최근 역사와 그 배경
4.코스닥 시장의 가격제한폭제도 변화
5.프리보드시장(구 제3시장)의 가격제한폭제도
6.선물시장의 가격제한폭제도
3.매매중단제도
1.서킷 브레이커
2.사이드 카
4.결론
2.가격제한폭제도
1.가격제한폭제도란 무엇인가?
2.가격제한폭제도의 목적
3.유가증권 가격제한폭제도의 최근 역사와 그 배경
4.코스닥 시장의 가격제한폭제도 변화
5.프리보드시장(구 제3시장)의 가격제한폭제도
6.선물시장의 가격제한폭제도
3.매매중단제도
1.서킷 브레이커
2.사이드 카
4.결론
본문내용
사이드카 발동
2001년01월26일 - 종합주가지수가 전날보다 3.77포인트 하락한 623.68로 시작한 뒤 계속 하락, 오전 한때 20.60포인트 떨어진 608.85를 나타냄. 지수가 급락하면서 오전 10시 2분에 사이드카가 발동
2001년02월22일 - 오후 12시35분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04월11일-오후 12시34분 지수선물가가 63.25로 전일대비 2.45포인트(4. 02%) 급등한 상황이 1분간 지속되자 사이드카를 발동. 5분후인 오후 12시39분 자동해제
2001년04월18일 - 오전 12시 34분 선물가격이 66.20으로 어제보다 4.25%급등한 상황이 1분간 지속되자 사이드카를 발동. 5분후인 12시 39분부터 자동해제
2001년04월19일 - 오전 9시7분에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4.20% 급등한 상황이 1분간 지속돼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04월30일 - 오전 10시50분 6월물 선물지수가 4% 이상 급등함에 따라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04월30일 - 오전 10시50분부터 사이드카 발동. 미국 경기의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형주가 오르면서 선물가격이 4%이상 상승했기 때문
2001년11월28일 - 코스닥시장이 6%이상 급락하며 오후 1시17분에 사이드카가 발동
2001년12월10일 - 지수선물시장이 전일 종가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에서 1분이상 지속돼 오후 1시36분부터 5분간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12월10일 - 지수선물가격이 지난 주말 종가 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에서 1분 이상 지속돼 오후 1시 36분부터 사이드카 발동. 올 들어 열네 번째로 발동 시 선물가격은 지난 7일에 비해 4.75포인트(5.32%) 하락한 84.45였음
2001년12월27일 - 오후 12시 17분쯤 코스피 200지수선물이 급등해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 카 발동 시점의 지수선물가는 84.05로 어제보다 5.19% 오른 상태였음
2002년02월14일 - 선물가격이 급등, 올 들어 처음으로 오전 10시43분부터 사이드카 발동. 발동 시 3월물 선물가격은 96.25포인트로 4.65포인트(5.07%) 급등함.
2002년06월26일 - 26일 낮 12시22분부터 5분간 사이드카 발동. 9월물 선물가격이 전날 종가대비 5% 이상 하락한데 따른 것으로, 사이드카 발동은 올 들어 두 번째
2002년06월26일 - 선물이 전일보다 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간 지속되자 사이드카가 발동
2002년10월10일 - 코스닥선물시장에서는 기업실적 악화에 따른 미국증시 급락과 옵션만기일 도래에 따른 투자심리 냉각, 투신권을 중심으로 한 국내기관의 매물 출회로 코스닥50선물지수가 폭락하면서 사이드카가 발동
2002년10월18일 - 선물가격이 급등. 오후 2시16분부터 2시21분까지이고 발동 시 12월물 가격은 4.15포인트(5.15%) 치솟은 84.60포인트를 기록
2002년12월30일 - 선물시장에서 오전 11시44분 주가지수선물이 5.24% 급락한 79.45를 기록하자 사이드카 발동
2003년03월14일 - 오전 9시6분 주가지수선물이 5.39% 급등한 69.35를 기록하자 올들어 처음으로 사이드카가 발동됐고 오전 9시11분 해제
2003년03월17일 - 오전 12시57분 사이드카가 올 들어 두 번째로 발동. 발동 당시 선물가격은 기준가격보다 3.50포인트(-5.07%) 급락한 65.50을 기록
2003년03월18일 - 오전 9시6분경 코스닥50선물 최근 월물인 6월물이 6.84% 치솟은 51.85를 기록, 사이드카 발동
4. 결론
위에서 알아본 가격제한폭제도와 매매중단제도는 시장이 갑작스런 비정상적 움직임을 보이거나 가격의 등락이 큰 폭으로 이루어 지는 경우에 투자자들의 큰 손실을 막고 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매매중단제도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나라가 시행에 옮기고 있고 제도가 만들어진 사건이 있었기에 그 존재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가격제한폭제도에 관해서는 장단점이 있다.
일단 장점으로는 증권거래소는 투자자들의 주문에 의해전적으로 가격이 결정되는현재의 시장구조로는 가격제한폭을 폐지할경우 시장관리기능에 엄청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가격제한폭이 폐지된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우리와는 매매체결시스템이 전혀 다르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에는마켓 메이커라는 가격제한폭 폐지에 따른 완충시스템이있다는 점에서그러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예를 들어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주식에 대한 마켓메이커가 존재해 이 주식의 가격이 폭락할 경우 대량으로 주식을 사모으기도 하고 폭등할 경우 물량을 내놓아 가격의 급변동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 가격제한폭을 폐지하면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종목들의 경우 5만원이던주가가 1000원에 거래되는등 시장혼란이 발생할수 있으며 투자자들의 착오에 의해 거래가체결될 때 이로 인한 선의의피해자들까지 생길수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다 기관투자가의 비중이 70%가 넘는 미국과 30%에 불과한 한국시장과는 차이가 크다는 것도 간과할수 없는 점으로 꼽힌다.
특히 현물 주가급등락에 따라 지수선물시장에서 당일중 결제불이행에따른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또 가격제한폭이 없을 경우에는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불필요한주문까지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시스템에 엄청난 부담을 줄 수 있는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지적된다.
반면 가격제한폭 제도의 단점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가격제한폭때문에 정보변화에 따른 가격탐색기능이 지연될수 있으며 주가가 내재가치를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정보의 비효율성도 단점으로 꼽힌다. 또 가격제한폭때문에 주가변동폭이 오히려 더 확대되는 측면도 있다. 실제로 일단 팔고 보자는 심리로 하한가매도 주문이 누적될 경우 필요이상으로 주가가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만약 가격제한폭을 폐지할 경우에는 미국의 마켓메이커와 같은 시장조성자를 육성하고 기관투자자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현행 주가급등락시 매매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서킷 브레이커제도도 일부 보완해야 할 것이다.
2001년01월26일 - 종합주가지수가 전날보다 3.77포인트 하락한 623.68로 시작한 뒤 계속 하락, 오전 한때 20.60포인트 떨어진 608.85를 나타냄. 지수가 급락하면서 오전 10시 2분에 사이드카가 발동
2001년02월22일 - 오후 12시35분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04월11일-오후 12시34분 지수선물가가 63.25로 전일대비 2.45포인트(4. 02%) 급등한 상황이 1분간 지속되자 사이드카를 발동. 5분후인 오후 12시39분 자동해제
2001년04월18일 - 오전 12시 34분 선물가격이 66.20으로 어제보다 4.25%급등한 상황이 1분간 지속되자 사이드카를 발동. 5분후인 12시 39분부터 자동해제
2001년04월19일 - 오전 9시7분에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4.20% 급등한 상황이 1분간 지속돼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04월30일 - 오전 10시50분 6월물 선물지수가 4% 이상 급등함에 따라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04월30일 - 오전 10시50분부터 사이드카 발동. 미국 경기의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형주가 오르면서 선물가격이 4%이상 상승했기 때문
2001년11월28일 - 코스닥시장이 6%이상 급락하며 오후 1시17분에 사이드카가 발동
2001년12월10일 - 지수선물시장이 전일 종가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에서 1분이상 지속돼 오후 1시36분부터 5분간 사이드카를 발동
2001년12월10일 - 지수선물가격이 지난 주말 종가 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에서 1분 이상 지속돼 오후 1시 36분부터 사이드카 발동. 올 들어 열네 번째로 발동 시 선물가격은 지난 7일에 비해 4.75포인트(5.32%) 하락한 84.45였음
2001년12월27일 - 오후 12시 17분쯤 코스피 200지수선물이 급등해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 카 발동 시점의 지수선물가는 84.05로 어제보다 5.19% 오른 상태였음
2002년02월14일 - 선물가격이 급등, 올 들어 처음으로 오전 10시43분부터 사이드카 발동. 발동 시 3월물 선물가격은 96.25포인트로 4.65포인트(5.07%) 급등함.
2002년06월26일 - 26일 낮 12시22분부터 5분간 사이드카 발동. 9월물 선물가격이 전날 종가대비 5% 이상 하락한데 따른 것으로, 사이드카 발동은 올 들어 두 번째
2002년06월26일 - 선물이 전일보다 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간 지속되자 사이드카가 발동
2002년10월10일 - 코스닥선물시장에서는 기업실적 악화에 따른 미국증시 급락과 옵션만기일 도래에 따른 투자심리 냉각, 투신권을 중심으로 한 국내기관의 매물 출회로 코스닥50선물지수가 폭락하면서 사이드카가 발동
2002년10월18일 - 선물가격이 급등. 오후 2시16분부터 2시21분까지이고 발동 시 12월물 가격은 4.15포인트(5.15%) 치솟은 84.60포인트를 기록
2002년12월30일 - 선물시장에서 오전 11시44분 주가지수선물이 5.24% 급락한 79.45를 기록하자 사이드카 발동
2003년03월14일 - 오전 9시6분 주가지수선물이 5.39% 급등한 69.35를 기록하자 올들어 처음으로 사이드카가 발동됐고 오전 9시11분 해제
2003년03월17일 - 오전 12시57분 사이드카가 올 들어 두 번째로 발동. 발동 당시 선물가격은 기준가격보다 3.50포인트(-5.07%) 급락한 65.50을 기록
2003년03월18일 - 오전 9시6분경 코스닥50선물 최근 월물인 6월물이 6.84% 치솟은 51.85를 기록, 사이드카 발동
4. 결론
위에서 알아본 가격제한폭제도와 매매중단제도는 시장이 갑작스런 비정상적 움직임을 보이거나 가격의 등락이 큰 폭으로 이루어 지는 경우에 투자자들의 큰 손실을 막고 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매매중단제도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나라가 시행에 옮기고 있고 제도가 만들어진 사건이 있었기에 그 존재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가격제한폭제도에 관해서는 장단점이 있다.
일단 장점으로는 증권거래소는 투자자들의 주문에 의해전적으로 가격이 결정되는현재의 시장구조로는 가격제한폭을 폐지할경우 시장관리기능에 엄청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가격제한폭이 폐지된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우리와는 매매체결시스템이 전혀 다르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에는마켓 메이커라는 가격제한폭 폐지에 따른 완충시스템이있다는 점에서그러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예를 들어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주식에 대한 마켓메이커가 존재해 이 주식의 가격이 폭락할 경우 대량으로 주식을 사모으기도 하고 폭등할 경우 물량을 내놓아 가격의 급변동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 가격제한폭을 폐지하면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종목들의 경우 5만원이던주가가 1000원에 거래되는등 시장혼란이 발생할수 있으며 투자자들의 착오에 의해 거래가체결될 때 이로 인한 선의의피해자들까지 생길수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다 기관투자가의 비중이 70%가 넘는 미국과 30%에 불과한 한국시장과는 차이가 크다는 것도 간과할수 없는 점으로 꼽힌다.
특히 현물 주가급등락에 따라 지수선물시장에서 당일중 결제불이행에따른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또 가격제한폭이 없을 경우에는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불필요한주문까지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시스템에 엄청난 부담을 줄 수 있는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지적된다.
반면 가격제한폭 제도의 단점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가격제한폭때문에 정보변화에 따른 가격탐색기능이 지연될수 있으며 주가가 내재가치를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정보의 비효율성도 단점으로 꼽힌다. 또 가격제한폭때문에 주가변동폭이 오히려 더 확대되는 측면도 있다. 실제로 일단 팔고 보자는 심리로 하한가매도 주문이 누적될 경우 필요이상으로 주가가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만약 가격제한폭을 폐지할 경우에는 미국의 마켓메이커와 같은 시장조성자를 육성하고 기관투자자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현행 주가급등락시 매매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서킷 브레이커제도도 일부 보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