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할복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죽음에 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관점차이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생각
-죽음에 대한 일본인의 생각

3. 할복
-할복의 정의
-무사의 할복의 성격과 특징
(1)할복 자살 방식과 유형의 변화
(2)할복 장소가 따로 있었다?
-할복의 시대별 유형과 특징
(1)고대의 할복문화
(2)중세의 할복문화
(3)근세의 할복문화
(4)현대의 할복문화
- 할복문화가 일본사회에 끼친 영향과 일본인들의 생각

4. 결론

본문내용

다. 후기의 특징은 패장의 할복이며, 무사들에게 일반화되고, 처형의 수단으로 가이샤쿠가 등장한다. 근세에 이르면 주군이 노환으로 죽어도 순사를 했으며 무사들만의 형벌로 정착하기 시작함에 따라 형식과 절차가 형성되었으며 창자를 꺼내는 것은 강한 반발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내장표출을 금했다. 근ㆍ현대에 들어서는 배를 가르지 않는 할복 처형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렇게 시대에 따라 다르게 잔인하고 끔찍한 방법으로 이생과의 연을 끊는 이 신체 파괴형 자살은 부모가 주신 몸은 털 하나라도 소중히 여기는 한국인에게는 큰 충격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의 할복 문화를 끔찍하고 좋지 않은 풍습으로만 여기기엔 그들의 할복 문화에도 긍정적인 면과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책임감이라 생각한다. 일본 무사들이 자신들의 결백을 드러내고, 타인에게 자신의 용감함을 보이며, 주어진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다는 수치스러움을 떨쳐내기 위해 행한 할복의 바탕에는 이를 통해 책임을 지려는 일본인들의 의식이 잠재적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굳이 할복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일본 사회에 책임의식이 깊이 뿌리 박혀있음을 여러 가지 예를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회사가 망하는 일이 생기면 회장이나 사장 등 최고 경영자가 나서서 자신에게 탓을 돌리고 머리를 조아려가며 자신의 유능하고 훌륭한 직원들을 써 달라고 부탁하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망한 회사의 부하 직원이 회사가 망한 것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의 몫을 다하지 못해 회사가 망했다는 그 수치심으로 목숨을 끊는 일도 있다. 즉, 책임을 지고 모두가 자신의 몫을 거뜬히 해내면서 균형을 이루는 사회, 바로 일본 사회에서는 자기 일을 남에게 떠넘기거나 해야 할 일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무능력하고 사회에 불필요한 인간으로 낙인찍히게 되는 것이다. 바로 사회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던 간에 자신에게 주어진 몫을 다한다는 ‘이치닌 마에’(사회에서 자기에게 주어진 몫을 다하는 것이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사람구실을 다할 수 있는 도리임을 의미)를 이행할 때에 비로소 인간 대접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자신의 도리를 다하지 못한 사람은 인간으로서 체면이 깎기고 인간 대접을 받지 못하게 된다. 그 수치감을 견디지 못해 죽음으로서 자신의 몫을 갚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다.
때문에 우리는 더 이상 일본의 할복 문화를 야만적이고 저속한 문화라고 간주해서는 안된다. 일본인의 정신세계를 담고 있는 그들의 고유한 문화로 봐주어야한다. 한 나라의 문화를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상대주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보았을 때 우리는 그 나라에 대해 올바른 의식을 가질 수 있다. 때문에 일본을 무조건적, 맹목적인 증오의 대상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바른 시각으로 그들을 바라봐야하며 나아가 일본 문화의 장점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게 응용하여 적용해야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할복문화에서 나타나는 일본인들의 ‘책임감’ 역시 우리가 본받아야할 일본의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9.1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