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악수를 할 때 나이 어린 사람이 먼저 악수를 청해야 하고 악수를 하면서 허리를 숙이지 않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막상 어른을 만나면 잘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어른을 만나면 꼭 어른들이 먼저 악수를 하셔서 처음엔 악수는 어른이 먼저 청해야 올바른 예의인줄 알고 있다가 나중에 책에서 악수는 아랫사람이 먼저, 여자가 먼저 청해야 한다는 것을 보고 놀란 적이 있다. 그 이후로는 악수가 참 어색해 졌다. 알고 있던 상식을 바꾼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일인 것 같았다. 이렇게 이론으로는 알고 있으면서도 왠지 어색하고 이상해서 지키지 않았던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리고 텔레비전을 봐도 어른들끼리 두 손으로 상대방의 손을 잡으면서 허리를 아주 많이 숙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분명 악수의 올바른 에티켓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위가 있는 사람들도 그렇게 인사하는 것을 보니 올바른 에티켓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다는 점에 항상 안타까웠다.
내가 나의 에티켓을 평가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이 바로 이런 것이었다. 알고도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 이제 우리나라의 예절만을 중요시 하고 우리나라 예절만 알아서는 올바른 에티켓생활을 한다고 할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앞으로는 세계 속에 올바른 글로벌 에티켓을 계속 더 공부하고, 알고 있는 한 꼭 그 에티켓을 지키는 것이 내가 글로벌 에티켓을 수행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이다.
이 과제를 찾은 것이 내가 글로벌 에티켓 강의를 들으면서 얻은 또 하나의 큰 보람이 아닐까?
에티켓 이해력 ●●●●◐
에티켓 실천정도 ●●●◐○
2007. 1. 20 조아람
그리고 텔레비전을 봐도 어른들끼리 두 손으로 상대방의 손을 잡으면서 허리를 아주 많이 숙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분명 악수의 올바른 에티켓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위가 있는 사람들도 그렇게 인사하는 것을 보니 올바른 에티켓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다는 점에 항상 안타까웠다.
내가 나의 에티켓을 평가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이 바로 이런 것이었다. 알고도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 이제 우리나라의 예절만을 중요시 하고 우리나라 예절만 알아서는 올바른 에티켓생활을 한다고 할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앞으로는 세계 속에 올바른 글로벌 에티켓을 계속 더 공부하고, 알고 있는 한 꼭 그 에티켓을 지키는 것이 내가 글로벌 에티켓을 수행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이다.
이 과제를 찾은 것이 내가 글로벌 에티켓 강의를 들으면서 얻은 또 하나의 큰 보람이 아닐까?
에티켓 이해력 ●●●●◐
에티켓 실천정도 ●●●◐○
2007. 1. 20 조아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