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중동전쟁에 관한 원인과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분쟁의 배경
1. 제1차중동전쟁

2. 제2차중동전쟁

3. 제3차중동전쟁

4. 제4차 중동전쟁

5. 레바논 분쟁

6. 그 후의 정세

본문내용

반발하였고, 또 이집트 ·이스라엘의 당사국 사이에서도 기본적 입장의 차이가 해소되지 않아 평화조약의 조인기한인 12월 17일까지 양국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약교섭은 그 후로 난항을 거듭하였다.
교섭의 교착을 타개하기 위해 1979년 3월 대통령 카터는 총리 베긴을 미국으로 초치하여 새로운 제안을 한 다음 직접 이집트를 방문, 대통령 사다트와 회담 후 이스라엘로 가서 총리 베긴과 회담하였다. 교섭은 결렬 직전인 12일 타결로 향했으며, 13일 대통령 사다트가 미국의 신제안을 수락하고, 14일 이스라엘 각의도 그 제안을 수락, 26일 워싱턴에서 대통령 카터 입회하에 평화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30년 동안에 4회씩이나 대격전을 벌였던 양국의 전쟁상태에 종지부가 찍혔다.
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은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반환하며,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국가로서 승인하여 정상의 외교관계를 수립함을 골자로 한다. 조약 발효 후 이스라엘은 3년 예정으로 단계적으로 점령지에서 철수하고, 1980년 1월에 양국은 대사를 교환한다는 내용이다. 현안의 요르단강 서안지역과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의 자치에 관해서는 조약 발효 후 1개월 이내에 자치권부여의 교섭을 시작하여 1년 이내에 종료시키되, 최종적인 지위를 정하는 교섭은 1985년 4월 이후에 실시하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동분쟁의 중심이 되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해결이 아직도 모호하기 때문에 태반의 아랍 제국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는 심한 반발을 나타냈으며, 단독화평으로 나간 이집트의 배신을 비난하며 이른바 이집트 제재를 단행하였다. 그리하여 이 조약이 중동에 진정한 평화를 가져오며 아랍 제국과 이스라엘 사이의 포괄적 평화로 이어질 수 있는가가 의문시되었다. 게다가 1981년 10월 이집트대통령 사다트의 피격사망, 동년 11월 미국대통령 카터의 선거패배, 1982년 6월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그 해 8월 PLO 의장 아라파트의 베이루트 철수 등 격동하는 중동정세의 변화는 중동평화의 정착을 요원한 앞날로 밀어내고 있는 듯 하더니 1993년 팔레스타인을 대표한 PLO와 이스라엘이 9월 상호승인을 교환하고 팔레스타인 자치에 관한 타협안을 마련, TV화면을 통해 전세계인이 양측 수뇌의 서명장면을 시청하였다. 이 사실로 중동에 전면적 평화가 올 것이 기대되었으나 1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것은 먼 미래의 일로 여겨지고 있다.

키워드

중동,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전쟁,   레바논,   정세,   전망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9.19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